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이야 말 참 예쁘게 한다
인턴 지원자가 우리 연구실 논문을 싹 읽어왔네요
50
- 그 어떤 학과던지 한국은 spk/yk가 압도적이죠. 아주 마이너한 학과나 분야 빼면.
AI 관련 대학원들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10
- ist 중 하나인데 저 숫자는 아닌거 같은데 가까운데만 봐도 저 숫자 보다는 많음.
개인적으로는 생각 하는 이유는 비전 하는 사람 인원수가 아예 다를거임.
ai 신생랩이 더 많은거 같아서 인원수가 적은 느낌임
ai에서 비전이 메이저 같아 보이지만 nlp랑 vision 합쳐도 전체 파이의 20프로임. 비전 외에 다른 류의 ai를 연구 하는 연구실이 많은거 같음. 다학제학문에 응용하는 연구나 코어 한 연구를 할수도 있음.
AI 관련 대학원들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10
- 학생들에게 일부러 받을 돈 보다 많이 주고 그걸 다시 돌려 받아서.. 공금으로 쓴거면 다들 그러지 않나?? 특히 공식 처리 어려운 공금이 필요할 때도 있으니.. 그냥 운영의 묘 아닌가? 개인 착복도 아니고
KAIST 교수가 직전 근무 대학서 학생에게 연구실 운영비 걷어
18
- 성한이 기업 프로젝트 많이 하는 건, 학교 구조와 인식 상 어쩔 수 없고 약간... 학풍 (?) 비슷합니다.
일단 학교가 사립인데, 포공처럼 대학원생들에 대한 지원이 쩌는 것도 아니고~
수도권에서는 서연고에 굵직굵직한 연구비 수주에 있어 밀리다 보니, 기업체 프로젝트를 많이 하게되죠.
교수 입장에서도 학교 차원에서 지원이 약하니, 대학원생들 먹여살리려면 기업체 프로젝트를 많이 할 수 밖에 없어요.
그리고 프로젝트 따라 다르지만, 목적이 논문인 학술 연구와는 달리 프로젝트는 그 목적이 좋은 논문이 아닌 경우가 많기에... 논문 쓰기에는 불안정한 환경일 수 있습니다.
(이건 프로젝트 by 프로젝트 이긴 합니다...)
성한 대학원 가면 기업 프로젝트 많이 하나요??
16
한국 인기랩 vs 미국 top5 랩 체감 비교
2021.07.08
34
70804

다이렉트로 미국 top 5 대가랩으로 유학온 사람임.
일단 연구 환경 몇가지 비교해드림.
[1] 연구 실적
우리 분야에서 한국에서는 제일 잘나가는 랩도 NS 본지를 매년 쓰는 랩을 본적이 없는데 (아주 잘해야 2,3년에 1편쓰는 정도)? 여기는 체감상 존재하는 랩 중에 절반 이상이 매년 NS 본지에 논문을 냄. 그중에서도 제일 잘하는 랩은 더 많이 내고. 전체 논문 개수는 한국이나 여기나 은근 별 차이 없음. 근데 실적에서 차이나는 건 펀딩 규모를 보면 당연한 거라 생략하겠음.
[2] 학생 수준
일단 대학원생이 외국인 절반, 미국인 절반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입학 전에 SCI 논문 1저자로 쓰고 온 사람이 60% 이상은 되는 듯함. 특히 외국인 (외국 학부 출신) 이면 거의 80% 이상에 가까움. 그래서 교수가 학생을 뽑을 때 그 학생의 전문 연구 분야를 보고 랩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를 계산해서 뽑음. 물론 학부/석사때 한 분야랑 많이 다른 연구를 하는 랩에 입학하는 사람도 적지는 않음. 학생들이 입학할 때부터 어느 한 분야를 줄줄이 꿰고 있는 경우가 많다보니.. self-motivation 측면에서 한국보다 우위에 있는 듯함. 지식이나 학업 수준은 한국 학생들과 비교하여 생각보다 큰 차이가 나진 않음.
[3] 수업
한국에서 학부할 때, 대학원 수업을 꽤 많이 들어봐서 직접 비교가 가능한데, 일단 수업 난이도나 배우는 내용은 별 차이가 없음. 다만 미국은 한과목을 30년 이상 강의한 고인물 교수들이 직접 교과서 써서 그걸로 가르치는 수업도 있는데, 그런 수업은 내공이 엄청나다고 들음. 과제는 매우 어렵거나 시간을 많이 들여야 되는 경우가 많음. 한국처럼 솔루션 베껴서 제출하는 형태가 아니고, 꽤 많은 시간을 고민해야 되는 과제가 주어짐. 필요하면 코딩도 많이 해야함. 교수와 TA들이 수업에 적극적이기 때문에 이메일이나 강의 플랫폼 (piazza, slack 등등)에 질문을 올리면 거의 24시간안에 답변이 올라옴.
[4] 포닥 수준
내 생각에 한국 랩과 미국 랩의 가장 큰 차이가 질좋은 포닥의 유뮤인 것 같은데, 축구로 따지면 허리라인 (미드필더)에 해당함. 탑스쿨 교수들은 무척이나 바쁘기 때문에 포닥을 대학원생만큼이나 고용하여 프로젝트의 리딩을 맡김. 포닥들은 전세계에서 고르게 오는데, 한명 한명이 이미 교수여도 전혀 이상하지 않은 스펙이며, 초급 대학원생들은 포닥과 주로 소통하며 일을 하게 됨. 그리고 [1]에서 언급한 NS 본지에 해당하는 연구 실적은 대부분 포닥들로 부터 나옴 (최근엔 포닥 1명과 원생 1명이 공동1저자로 쓰는 경우가 많이 보임).
[5] 연구 수준
일반적으로 한국랩들보다 주제가 많이 확장되어 있음. 혼자 북치고 장구치고 다하려는 교수님들이 많고, 같은 랩인데 학생마다 하는 분야가 다 다른 랩도 있음. 학생들이 열정이 없으면 망하기 십상인데, 다행히 학생들이 어떻게든 해오니까 유지가 되는듯. 지도교수가 미국/유럽 전역의 연구 중심대학, 내셔널랩 PI들과 고루 친해서 코워커를 구하기가 굉장히 쉬우며, 거의 치트키 수준이라는 생각이 들 때도 있음.
[6] 졸업 후 진로
취업할 사람은 bay area나 그에 준하는 대도시 대기업에 진출하고, 교수하고 싶은 사람은 현재 랩과 동등한 명성이 있는 비슷한 분야의 랩으로 많이감. 박사 때 실적이 화려하지 않아도 포닥까지는 잘 보내는 느낌임. 박사를 동부에서 했으면 포닥을 서부, 박사를 서부에서 했으면 포닥을 동부로 가려는 경향이 있음.
[7] 그외 차이점
학생들이 생각보다 논문에 목을 메지 않고, 다양하고 자유롭게 진로를 모색하는 느낌임. 수업을 많이 듣는 사람도 있고, 학생회 활동을 열심히 하는 사람도 있고, 여름방학때마다 회사가서 인턴하는 원생도 있음. 물론 유학온 동양인들은 대체적으로 워라밸 무시하고 연구에만 올인함. 아, 참고로 지도교수나 과를 바꾸는 것이 쉬움. 1년 다녀보고 마음에 안들면 다른 랩으로 바꿔도 됨. 랩 로테이션이 의무적으로 요구되는 학과도 있음. 공동 지도교수 (2명의 지도교수)를 가진 학생도 많음.
김박사넷 추천 PICK! 김박사넷AI가 추천하는 게시글도 읽어보세요!
명예의전당
학회가서 우연히 포닥인터뷰까지 보고 온 후기172
34
35347
명예의전당
내 석사생활 참 많은일들이 있엇네요^^97
29
33539
명예의전당
무엇인가를 관두고 싶어하는 분에게106
20
29945
-
130
25
38911
명예의전당
대한민국 학계는 이게 문제임166
34
58269
명예의전당
인턴을 여러 군데에서 해봐도 될까요?
11
3
969
고전인기
공식 박사학위 받고 회사생활 소감95
26
56905
고전인기
초심자들을 위한 논문 쓰는 팁487
69
78759
-
153
23
56590
고전인기
대학원 웬만하면 오지마라 (장문)128
53
151113
고전인기
너무 열심히 살지 마세요.74
18
30225
-
95
412
84530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건대 공대가 어느 정도 위치인가요?
3
27
대학원도 아이비리그면 전공랭킹과 상관없는 prestige가 있나요?
0
17
- 인생을 돌아보며...
10
23
- AI 관련 대학원들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6
18
- 제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할지 조언을 구합니다.
1
17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1.07.08
2021.07.08
2021.07.08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