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SPK 서울대 포항공대 카이스트 논란 종결

2019.10.24

21

22484

1점 2점 3점으로 매겨봅니다.

요인: 위치, 인건비, 군대, 비 SPK 학생들의 TO, 연구실적


1. 위치

서울대 3점 포항공대 0점 카이스트 2점(포항..디메릿은 심각하다 생각)


2. 인건비, 생활비

서울대 2점 포항공대 3점 카이스트 3점


3. 군대

서울대 1점 포항공대 3점 카이스트 3점


4. 비 설포카 학생들에 대한 TO(자교생 상대적으로 덜뽑는 정도)

서울대 2점 포항공대 2점 카이스트 3점 (근데 이거를 능가하는 경쟁률이 문제..)


5. 연구실적은 설포카 랩바이랩이나 설포카인만큼 3점으로 생각.


종합

서울대 11점 포항공대 11점 카이스트 14점


이런 요인들로 인해 카이스트가 서울대나 포항공대에 비해 타교생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제 설포카 논란 제발 그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1개

Nevill Francis Mott*

2019.10.24

전제는 "타교생"

2019.10.24

ㄴㅇㅈ 설포카 자교면 거의 다 자교 감...
Nevill Francis Mott*

2019.10.24

타교생은 국내 대학원 어딜 가봐야 의미없음
Richard Feynman*

2019.10.24

https://phdkim.net/board/free/1455/

2019.10.24

서울대 포공 동점인거에서 그냥 거릅니다 ㅅㄱ

2019.10.24

ㄴ그럼 어떤 부분이 SP차별 만듦? 기업이나 대학은 SP 차별 안하는데 님 혼자 꼬이신듯
Nevill Francis Mott*

2019.10.24

서카포 학석박은 같은티어 맞음
학벌세탁하려는 타교생들이 열심히 비교질하는데
어딜 가봐야 학부학벌로 평가받는거 달라지는거 없음

2019.10.24

인건비가 카이랑 포공이 왜 동점인가요;;
포공 돈 별로 안나옵니다; 카이는 stipend 제도 실시해서 많이 나오고요

2019.10.24

ㄴ포공은 최소 석사 100, 박사 250 준다고합니다. 거기다 과제 금액은 별도 추가되구요. Stipend 제도는 석사 70, 박사 100으로 카이스트 내에서도 과제 많이 따봐야 소용없다는 등 논란이 있는 제도인걸로 아는데요?
Nevill Francis Mott*

2019.10.24

대체 무슨 수로 박사에게 250을 주나요? 재원이?

2019.10.24

박사한테 250 ㅋㅋㅋㅋㅋㅋㅋ 멍멍이소리 ㄴㄴ요
포공 석사는 등록금제외 47 나오고 기숙사비내면 30만 남고
박사는 기숙사비빼면 60만원 남습니다 여기에 세금빼면 더 적겠죠?

2019.10.24

ㄴ제가 전자과 비인기랩(광학)에서 타교생으로 인턴하면서 직접 본 지급표인데요 ㅎㅎ 심지어 거긴 석사 180 박사 250+알파였는데 뭐가 진실일까요? ^^

2019.10.24

ㄴ심지어 자교도 아니고 연고도 없는 타교 학부생으로 비인기랩(나중에 교수님 인성 별로인거알고 다른 랩 컨택) 갔음에도 인건비 월 50줬는데 ㅋㅋㅋㅋ 석사가 47이라구요? 정말 눈물짜겠네요.
Nevill Francis Mott*

2019.10.24

포닥도 250 못 받습니다. 상식적으로 말이 되는 이야기를 해야

2019.10.24

법적으로 박사 250 제한인걸로 아는데 250+@? 어디에요 알려주세요 신고하게

2019.10.24

포공 전자과간 친구한테 물어봤는데 학식만 먹고 겨우겨우 산다는데 저건 뭔 헛소리지 돈없어서 헬스장도 못간다는구만

2019.10.24

등록금제외 석사 월 47이 라니까요? 한글 못읽는거에요 아니면 읽고 싶은 부분만 읽는거에요??
등록금 포함하면 월 120 이상 받습니다

2019.10.25

포스텍 재학생입니다. 대학원 인건비 관련해서 몇자 적습니다.
학고를 맞지 않으면 학교에서 주는 최소 금액이 석사 130/ 박사 미니멈 150 정도 됩니다.

그러나 위 금액은 각 랩에서 인건비가 부족한 경우 학교에서 저정도는 보장해 주겠다는 의미로 일반적인 경우 각 랩에서 저 금액은 주고도 남을 정도의 인건비가 있습니다.
(BK 되있는 연구실은 국가에서 인건비가 나오기 때문에 넉넉히 줍니다.)

그러나 각 연구실의 Rule에 따라 연차별로 받는 돈이 올라가는 경우도 있고, 처음부터 Full로 채워서 주는 연구실도 있습니다. (Full 기준 석사 180 / 박사 250)
(학과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창공은 입학과 동시에 Full로 받고, 철강대학원은 등록금 지원 + 인건비 Full 입니다)

주변에 물어보면 다수의 랩은 Full에 가깝게 돈을 받으나 몇몇 랩들이 최소금액을 받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평균으로 따지면 석사 160+a 박사 200+a정도이나 편차가 크게 때문에 물어보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대충 정리하자면 윗분의 '등록금 제외 석사 월 47'은 랩에 과제가 하나도 없으면 가능한 경우입니다.
(제 친구만 하더라도 학부생 때 연구실 출퇴근하면서 월 50씩 받았습니다.)

2019.10.29

솔직히 인건비는 랩바이 랩입니다.
저는 포공 생명인데 250주는 랩도 있구요, 저도 이번에 세금만 아니었어도 200 찍는데 세금이 뭐그리 많이 떼가는지 20넘게 나갔네요. 이번에 등록금 제하고 세금 제해도 180은 받았네요. 랩 바이 랩이니 일반화는 어려워요.

2019.10.29

Väinö Linna/ 등록금 제외하고도 BK랑 이것저것 같이 받으면 200받기는 쉽던데. 과제 몇개하는랩인지냐에 따라 다른듯

2020.01.04

인건비는 연구실마다 크게 다릅니다. 극단적인 예시지만 포항공대 창의it라는 학과는 석박1년차부터 250 줍니다. 제가 있는 포공 연구실은 1년차 170으로 시작하고 박사자격 통과하면 200줍니다. 포닥은 250부터 시작하구요. 제 주변에서 가장 적게 받는 곳은 1년차 기준으로 월100이었고 제일 많이 받는곳은 180이었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