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인데 석사 졸업논문을 왜 국내학회만 논문쓰는 걸까요?
그분야가 해외저널 입구컷이 높아서 그런걸까요?
석사선배님들이 sci는 없고 다 국내저널에 한편쓰고 졸업합니다
왜그런지 알고 계시면 설명부탁드리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Aaron Copland*
2021.02.07
석사 선배한테 물어보세요.. 분야도 모르고 실적을 어느정도 내는지 모르는 랩에 대해서 어떻게 답이 되겠어요..
저희랩은 교수님 기준치땨문에 석사졸업할때 해당주제로 최소 ra-l에는 제출합니다. 근데 주변보면 저희랩같은 곳이 대부분 없더라고요.
2021.02.07
신고 50개면 그정도는 알아야지
James Tobin*
2021.02.07
석사때도 (심지어 학부때) 해외저널 쉽게 쓰는 분야가 있고
박사때도 한 편 쓰기 힘든 분야도 있습니다.
2021.02.07
저도 기계공학과인데 제가 현재 속한 연구실은 유체역학 분야입니다. 구체적인 분야는 노코멘트하겠습니다.
저희 연구실 선배들 봐도 석사 때는 SCI급 논문을 쓰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고 학부연구생 때부터 오랫동안 연구실에 참여했던 자대생 혹은 유학을 준비하는 에이스급 학부생 정도만 2년 내에 SCI급 논문을 썼고 그 외에는 국내 저널에 한 두번 정도 투고하고 졸업하는 경우가 대다수였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저희 연구실이 연구도 안하고 제대로 굴러가지 않는 비정상적인 랩이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대학원생들 다 연구실 업무 및 연구에 치여 바쁘게 살고 있는데에도 불구하고 분야 자체가 좀 고여있다 보니 논문 한편 쓰기가 쉽지 않다는 평이 압도적입니다.
2021.02.07
모두들 답변감사드립니다
2021.02.08
머신러닝/딥러닝 쪽은 sci 쓰는거 어떤지 아시는 분 있나요?
장학금 조건인데 석사기간 내에 한편쓰는게 어느정도 어려운지 알고싶습니다 ㅠㅠ
Alfred Wegener*
2021.02.08
ㄴ 장학금 조건에 써있을거아냐 그정도는 알아서 찾아야지;
2021.02.08
ㄴAlfred Wegener
아니요... 제말은 sci가 장학금/졸업 요건인데 해당분야에서는 sci한편 쓰는게 어느정도 어려운지가 알고싶은거에요 ㅠㅠ
교수님 단독으로는 1년에 2~3편 정도 쓰시는거같은데 석사과정 내에 한편 쓰는게 얼마나 어려울지는 저는 안해봤으니깐 알 수가 없어서요.
Alfred Wegener*
2021.02.08
ㄴ AI 분야는 워낙 트렌디해서 프로시딩이나 학회 위주로 돌아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sci저널이 쉽긴함. 석사 sci 게재가 조건이면 1편정도는 충분할 것 같음
Alfred Wegener*
2021.02.08
ai도 주제따라 다르니까 잘 알아보셈. 세팅 오래걸리는건 초반에 시간 많이걸림
Seamus Heaney*
2021.02.08
ㄴㄴㄴ SCI 쓰는 난이도는 사람마다 다릅니다. 연구형 인간인 애들은 학부때부터 탑저널 턱턱내고 미국 유학가고, 연구에 안맞는 수동적인 인간은 5,6년을 해도 논문 하나도 못냅니다. 물론 운도 따라줘야되구요.
2021.02.07
2021.02.07
2021.02.07
2021.02.07
2021.02.07
2021.02.08
2021.02.08
2021.02.08
2021.02.08
2021.02.08
2021.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