뮌헨공대 가시면 TVöD Eingruppierung 13으로 계약서 쓰실 가능성이 높은데 그럼 대충 세후 월급 2200-2400 유로 들어올겁니다. 거기에다 독일에서 제일 월세 비싸다는 뮌헨이니까 월세로 혼자사시면 최소 700-800 유로 나갈거고 기타 다른 물가도 다른 독일지역에 비해 뮌헨은 모든게 다 비싸니 저축할 여유가 생각보다 없으실겁니다.
2020.10.26
개인적으로는 뮌헨가실 실력되시면 델프트나 RWTH를 추천드립니다.
2020.10.26
뮌헨공대가 낫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고 델프트 공대가 낳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카이스트 나오는게 한국에서는 제일 났다고 생각해요 ㅎㅎ
2020.10.26
났다는 좀...
Alfred Korzybski*
2020.10.26
유럽박사는 특정분야 빼고는 국내에서 아무도 인정안해줌. 차라리 미박을 가는걸 추천함
2020.10.26
카이스트 아니면 미박인데
본인이 독일이 마음에 들면 독일
2020.10.26
분야는 로봇, 메카트로닉스 쪽이에요.
2020.10.26
André Gide/ rwth를 추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잘모르지만 랭킹이 좀 뮌헨보다 낮게 잡혀셔요
2020.10.26
메카트로닉스 쪽인데 한국에서 잘 안해서 가는겁니다...ㅎ
IF : 3
2020.10.26
여기 댓글다는 사람들중에 이런 진지한 고민 들어줄 사람 별로 없습니다...미국 100위권 밖이어도 미국박사니까 TU 델프트보다 좋다고 생각할 사람들일걸요. 여기 사람들 의견은 진짜진짜 참고만 하시고 소신대로 하세요.
John Ray*
2020.10.26
André Gide // 50%로 계약하면 그거에 절반밖에 못 받음. 니가 말하는건 100% 계약인 경우인데 보통 그렇게 안해줌. 뮌헨공대 물리과나 화학과 같은 경우는 50% 계약임.
John Ray*
2020.10.26
독일 박사 생각보다 salary 별로 안 좋음. 국내박사보다 월급 면에서는 오히려 별로임. 게다가 뮌헨이면 생활비 엄청 비쌈. 월세 700-800유로라는것도 쉐어 하면 그정도이고, 혼자살려면 1000유로까지 나감. 본인이 뮌헨에서 석사했음.
2020.10.26
한국 돌아올거면 닥 카이스트
2020.10.26
제가 지금 100%로 계약해서 저 정도 받고 있습니다만? 채용공고봐서 50%라고 돼있으면 지원하면 안하면 됩니다. 그리고 왜 초면부터 반말이세요?
2020.10.26
그리고 기계과는 대부분 75%-100% 정도로 채용공고 올라옵니다. 자연대는 모르고요.
2020.10.26
글쓴분께: RWTH를 추천드리는 이유는 뮌헨하고 아헨하고 거의 수준차이가 없는데 뮌헨에서의 생활이 더 비싸기 때문입니다. 공대의 경우 어지간하면 100%로 채용공고 올라오는데 이대로 받으시면서 저축하시면 생각보다 많이 모으실수 있고 박사마칠때 조금 더 여유롭게 사회생활 시작하실수 있습니다.
2020.10.26
andre gide/ 델프트 뮌헨 취리히 셋중에 보고 있었는데 조언 감사합니다 ^^
2020.10.26
영국에서 초등학교부터 학석사 끝내고 독일에서 박사하고 있습니다. 제가 보기엔 델프트가 가장 나아보이네요. 근데 문제점은 네덜란드가 얼마나 비싼지 다들 모르시는거 같군요. 숙식비하며 세금까지 보면 정말 미쳤습니다. 삶의 질은 정말 좋은데 이정도 감수 가능하신다면 저는 델프트 꼭 추천드리고싶네요.
2020.10.26
아 맞다 ETH Zurich도 엄청난 공대이긴한데 이 나라는 유로를 안쓰다보니 다른 유럽국가들 갈때는 좀 불편하실거에요. 심지어 최근엔 스위스가 EU상대로 꽤 폐쇄적으로 나아가는 추세라 조금 더 지켜봐야할지도 모르겠네요.
2020.10.26
ㄴ네덜란드도 많이 비싸군요. 아직 네덜란드는 가본적이 없어서 잘 몰랐습니다.
John Ray*
2020.10.26
André Gide// 글쓴이 전공도 모르면서 무조건 100%로 가정하고 댓글다는 꼴 봐라.
니깟놈한테는 반발이 어울려서 반말함 ㅇㅇ
John Ray*
2020.10.26
Jon Postel//
네덜란드는 처음 오는 외국인한테는 5년간 연봉에 70% 에만 해당하는 세금 메기기 때문에 박사과정이나 포닥은 세금 거의 없다싶이 함. 본인이 현재 네덜란드에서 일하고 있음. 세금이 비싸다니?
2020.10.27
여기 사이트 왜 이래요?
2020.10.27
John Ray// 글 쓰시는거 보면 수준이 딱 보이네요. 그런 인성으로 계속 사시면 언젠간 후회하실겁니다. 네, 제가 영국에서 일하면서 냈던 세금보다 네덜란드가 더 비쌉니다.
2020.10.27
André Gide// 대학원생들 스트레스 받아서 성격 이상해지고 그런거 이해해주세요.
윗댓들에 분야도 적혀있긴 하지만 분야 상관없이 학교 레벨 (위상, 수준, 연구 환경)만 놓고 물어보는거라 생각하고 답할게요. 참고로 저는 SKP 중 하나 졸업하고 뮌헨 공대에서 석사했습니다.
독일인들 인식상으로 좋은 공대하면 뽑히는 대학이 몇개가 있긴 한데 거기 아헨공대(rwth)랑 뮌헨공대(tum)은 거의 들어갑니다. 칼스루에 공대(kit) 같은 곳도 한번씩 언급되지만요. 그렇다보니 위상이나 학생들 수준에서 rwth와 tum 사이에 큰 차이가 느껴지지는 않았습니다. 제 분야에서는 rwth 에 계시거나 거기 출신 중에 유명한 분들도 많았었고요. 연구 환경도 두 학교 간에 큰 차이는 없다고 듣기는 했습니다. 다만 독일이 박사 월급이 매우 짜서 epfl과 eth랑 비교하면 월급은 매우 적은 수준일 겁니다.
그러면 결정할 때 참고해야하는게 생활 환경입니다. 뮌헨이 렌트가 비싸고, 집 구하기도 어렵기는 하지만 거기서 살면서 괜히 '세계에서 살기 좋은 도시 ㅇㅇ위'는 아니라고 느꼈습니다. 만약 대도시 생활을 조금이라도 동경할거 같으면 조금더 지출하게 되더라도 뮌헨도 고려해볼만하다고 생각합니다. 아헨은 살아본 적이 없어서 뭐라고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여기까지 보면 뮌헨공대를 추천하는거 같지만 저는 tum, rwth보다는 어떻게든 미국을 가거나 적어도 eth나 epfl에 가라고 추천하고 싶습니다. 독일에서 교수님 중 eth 박사 출신이 많았습니다. 마치 한국에서 많은 교수들이 서울대 출신인거처럼요. tum에서 만난 독일인 친구 중에서도 eth로 박사 진학하는걸 목표로 하던 친구가 많았고요. 또 제 학부 동기들이 박사유학간 학교들 분포가 좋은 커리어테크에 대한 어느정도의 참고 정보는 된다고 생각하는데 tum,rwth를 포함한 독일 박사보다 eth 박사가 훨씬 많습니다.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7
2020.10.27
2020.10.27
2020.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