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스펙 평가 부탁드립니다.

2019.05.14

12

8833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재학중입니다.

3학년 1학기 재학중이며 서울대, 카이스트 고민중입니다.


~2학년 2학기 성적: 3.75 (재수강 포함)

~4학년 1학기 성적: 4.05(예상)


스펙은

겨울방학 연구실 인턴쉽.


현재성적, 예상성적으로 서울대, 카이스트 전기전자공학부 합격 가능한지 예상부탁드립니다.


제일 걱정인거는 4.0 극초반대로 서울대 원하는 랩실에 갈 수 있나요?

반도체 연구하고 싶어서 카이스트 갈려고 했는데 최근 진로가 흔들려서 인공지능 또는 돈 잘버는 랩실 서울대로 가고 싶더라고요. 서울대 가면 교수평 좋은 교수님한테 가고 싶고요. 어느 수준의 교수님까지 저를 통상적으로 받아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Mary Shelley*

2019.05.14

요즘 AI lab은 어딜가나 경쟁률이 높습니다. 다만, 학부 인턴쉽을 타겟랩에서 수행하여 그 결과가 훌륭하다면 교수님들께서 비교적 잘 선발하시는 듯 하더군요. 카이스트 AI lab은 교수님마다 TO가 정해져있어서 아무래도 더 힘든것으로 알고있구요. 결론적으로 논문 쓰세요 top conference에 submit할 수준 연구만 타겟랩에서 학부 인턴쉽에서 수행하셔도, 교수님께 좋은 인상을 드릴 수 있습니다.

2019.05.14

3.75, 4.05 학점 때문에 컷 당할 수도 있나요???
Mary Shelley*

2019.05.14

제가 입학 커미티가 아니고 최근에는 대학원 입시가 어찌돌아가는자 모르기 때문에 정확하게 답변드리긴 힘들 듯합니다만... 고대 4.05를 학점컷 하는데가 있을까요? 그정도면 석차도 상위권일 가능성이 높을 듯 합니다만. 다만, 카이스트는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사전 컨택을 안받으셔서 학부 인턴을 해야하는 것으로 알고있고, 포항공대는 16년도에 AI랩에 들어간 친구가 그 점수보다는 확실하게 낮았습니다.
Mary Shelley*

2019.05.14

어렵게 생각 마시고, 뽑는 교수입장에서 생각해보시길. 제일 확실한 방법은 학생의 연구 역량을 교수님께 입증하는 것 입니다. 너무 학점에 일희일비 하지마시고, 실력을 키우고 특히 관심 분야 연구 집단에 소속되어, 논문을 출판하세요. 비현실적이지만, 탑 컨퍼러스 1저자 논문이 있으면 많은 교수님들이 학생에게 좋은 인상을 드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꼭 탑 컨퍼런스가 아니더라도 연구경력이 있고, 논문을 출판했다면 이는 충분이 다른 경쟁자에 비해 더 깊은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

2019.05.14

저는 포항공대랑 카이스트 준비하는데 작성자님은 혹시 포스텍 준비하시나요..?
Siegfried Sassoon*

2019.05.14

님 졸업할때쯤이면 AI 거품 꺼져있을 겁니다.
Siegfried Sassoon*

2019.05.14

그리고 탑 컨퍼런스 제1저자 논문이 있는 학부생은 CSAIL에서 모셔갈겁니다 -.-
Mary Shelley*

2019.05.15

뭐 Siegfried Sassoon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다만 그런 학생이 없는건 또 아니라서... 그럴수도 있다라고 생각해주세요. 그래서 저기 비현실적이다라고 적어놨어요.

2019.05.15

포스텍은 너무 서울과 멀어서 마음이 가지 않는군요 ㅠㅠ 석박사 할꺼라 7년은 연구해야 할탠데 주말만큼은 외부사람들 만나고 싶어요
다들 조언 감사합니다! 연구 할 주제 천천히 찾아봐야겠군요

2019.05.15

현실적으로 학부생이 탑 컨퍼런스를 쓸 만한 환경은 안되겠지만.. 한 번 써보겠다는 마음으로 도전하는 자세라면 정말 좋을 것 같아요 ㅎㅎ

2019.05.15

저기요... 탑컨퍼런스가 개나 소나 쓸 수 있는 곳입니까 말이 되는 소리를 하세요... 거참
Mary Shelley*

2019.05.16

제가 오해의 소지가 있는 말을 한 것 같은데요. 반드시 탑 컨퍼런스 논문이있어야 한다는 건 절대 아닙니다. 학부생이 탑 컨퍼런스에 1저자로 논문을 내는것이 극히 힘든일이란 건 잘 알고있습니다. 다만, 뛰어난 학생이 좋은 지도를 받아 연구해서 탑 컨퍼런스에 논문을 내는 경우가 없진 않으니, 서브밋할 수 있을 정도로 해보면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얘기였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