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원은 네임벨류가 중요한가요 ?

2022.03.05

40

2317

산업공학분야 ( 세부 전공은 데이터마이닝 ) 대학원을 고려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현재 경기권 대학교에 재학중이며, 학부 인턴으로 일하고 있는데, 교수님 실력과 진행하는 프로젝트도 다양하고 괜찮습니다.
그러나 주변에서 대학원은 네임 벨류가 무시 못한다는 말을 많이하는데,
그렇게나 중요한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0개

깜찍한 존 내시*

2022.03.05

네 하지만 학부보다 덜중요

대댓글 1개

2022.03.05

갈 수 있다면, 그래도 경기권보다는 서울권 대학으로 가는게 멀리 봤을 때 나을까요?
어딜가던 제가 하기 나름인것도 있겠지만...
쇠약한 블레즈 파스칼*

2022.03.05

A학생: MIT 박사
B학생: 영남대 박사

느낌 다르죠

대댓글 2개

2022.03.05

신고 20개 다운 비교군요.

쇠약한 블레즈 파스칼*

2022.03.05

인정하세요 현실을 이야기할 뿐입니다
이기적인 마키아벨리*

2022.03.05

설카포 아님 무의미

대댓글 1개

2022.03.05

그렇게 생각하시는 이유도 궁금합니다 !

2022.03.0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박사는 1,2티어 출신 랩 중요성을 무시 못하고(연구실적과 진로 좋음) 석사(연구실적 별로 안나옴)는 아무래도 1티어가 이름값을 하는데, 2티어라도 상위랩은 석사도 취업진로가 1티어 석사랑 비슷하게 나간다고 보면 되요...길게 보면 1티어 상위랩이 최고 낫긴하죠

대댓글 8개

2022.03.0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해당과 랩들 1,2티에 연구실 홈페이지 서치해보면
본인이 스스로 감을 잡을 수 있어요...취업한 후에는
교수든 정출연이든 기업이든 본인실력+대인관계+운빨(인연)로 거의 승부나요

2022.03.0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어떻게 보면 실적외는 운빨(인연)이 최고 작용을 많이 할 수도 있는데, 상사가 학연, 지연, 혈연이 될 수도 있고, 시기가 잘 맞는 수도 있고, 같은 부서 같이 근무한 상사일수도 있고, 여러가지 운때가 승진이나 보직에 작용 할때가 많아요

2022.03.0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석사는 1,2티어 모두 보통랩만 되면 모두 대기업행이고, 일부 분야는 생기연등 정출연으로 가는 경우도 있음(랩 홈페이지 alumni 검색하면 알 수 있는 내용들임) 박사는 교수, 정출연, 대기업 연구소로 진로가 나누어짐

2022.03.05

조언 감사드립니다
경기권이지만 교수님 명성이나 프로젝트는 괜찮은데,
비슷한 명성과 프로젝트라면 서울권 대학이 더 나을까요?
산업공학 쪽에서는 저희 대학교 / h 대학교 / p 대학교가 그래도 이름 알아준다고해서요...

2022.03.05

조언 감사드립니다
경기권이지만 교수님 명성이나 프로젝트는 괜찮은데,
비슷한 명성과 프로젝트라면 서울권 대학이 더 나을까요?
산업공학 쪽에서는 저희 대학교도 알아준다고 하긴해서요...

2022.03.05

p는 당연히 알아주는 대학교인데 오해의 소지가 있을 것 같네요 ! 댓글 삭제가 안되어서 그냥 냅두었습니다 ㅠ

2022.03.0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무래도 경기권보다는 서울권 랩이 취업이 잘된다고들 해요 , H/p 생각하는 랩 두군데 모두 컨택을 보내 티오 상황이나 입학 가능성을 타진해 보세요

2022.03.05

넵넵 진심어린 조언 감사드립니다 !
최대한 서울권 갈 수 있도록, 준비를 많이 해야겠네요

2022.03.05

음....유능한 교수님이라는게 이미 유능한 교수님들은 설포카 셋학교중에 교수시니까....크흠...
쇠약한 로버트 후크*

2022.03.05

미박+spk 미만 다 똑같음

대댓글 2개

2022.03.05

그렇게 생각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
쇠약한 블레즈 파스칼*

2022.03.05

이렇게 현실을 말해줘도 비공 박히는 김박사넷...
재빠른 임마누엘 칸트*

2022.03.05

본인이 교수될 거 아니면 대학원 학벌은 크게 상관없고, 분야 일치하면서 약간의 실적만 있어도 대기업 이상 취업엔 문제 없음.

그러나 교수 임용은 다름. "서카포연고(학부) + 미박" 미만이면 괜찮은 대학(지거국 이상)에서 교수될 확률 극히 적다고 보면 됨. 그 외 경우는 실적이 넘사거나 자대 우대 일부 있는 정도.

주변에서 대학원 네임밸류 중요하단 건 아무래도 상위권 대학에 실력있는 교수/인프라/연구과제가 쏠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나온 말로 판단됨.

대댓글 1개

2022.03.05

학벌이 중요하다 / 아니다 얘기가 많아서 많이 고민되네요
현재 있는 연구실이 교수님 명성과 프로젝트는 괜찮은데
면학 분위기가 그렇게 좋은 것 같지 않아요..
이 부분은 제가 더 다녀보면서 고민해봐야할 것 같아요

2022.03.05

회사에서 안뽑는 분야 하면 나가리 되는거죠. 커리어 페어 할 때 가서 가서 잘 물어보세요.
산공 학사인데 회사에서 인턴으로 아예 안뽑은 적도 있었어요.

대댓글 1개

2022.03.06

분야는 제가 열심히 한다면 취업은 잘 될 것 같습니다

2022.03.05

왜이렇게들 비추천들만 많지.. 당연히 모든 의견도 사람에따라서 동의 비동의가 가능하지만, 유독 심하네요..
실적도 중요하고, 학부/대학원 간판도 중요하고, 미박 혹은 포닥 유무도 중요한데, 본인이 뭘 목표로 하는지에 따라서 그 중요도 차이는 있는것같아요.
그래도 결과적으로 실적이 뒷받침안되면 최근에는 아무리 학부대학원이 좋아도 인정못받는 추세긴해요.

대댓글 1개

2022.03.06

넵, 조언해주신 것 처럼 제 목표를 좀 더 뚜렷이 할 필요도 있을 것 같아요.
조언 감사드립니다 :)

2022.03.05

다른것보다 당장 alumni차이를 보세요...alumni가 그 연구실 나오면 미래에 내가 갈 진로정도로 생각하실수있는데 내가 가고싶은 기업이나 연구소 심지어 교수까지 있는 연구실이면 당연히 그쪽으로 가는게 맞죠. 애초에 높은 대학원 학벌이 다는 아니지만 alumni가 spk가 좋고 yksshist가 그냥저냥 인서울학교보다 좋은건 부정하기 힘들겁니다..

대댓글 1개

2022.03.06

조언 감사드립니다. alumni 차이는 있는 것 같아요.
한가지 궁금한 점이 있는데,
저희 학교의 경우 올해 9월 입학이 어렵지 않을듯한데,
사실 서울권대학원의 경우 쉽지는 않을듯해서, 내년 3월 입학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반년이 늦어지는 것이지만 그래도 서울권 대학이 나을까요?
현재 나이가 26이어서 시간이 촉박하게 느껴지는듯합니다...

2022.03.06

산공 석사과정중이고 개인적으로 궁금한데 산공에서 자연계분야라는게 무슨 의미인가요??

대댓글 9개

2022.03.06

아 제가 말을 잘 못 썼을 것 같아요 ! 데이터 마이닝 분야를 말했던것이긴 합니다..
혹시 대학원 네임벨류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2022.03.07

저는 네임밸류는 모르겠고 리소스, 교수지도, 주변인맥 등의 영향이 큰 것 같아요. 저도 ssh에서 spk 산공온 케이스인데 자대간 동기들보다 더 좋은 환경에서 공부하는것같아서 만족합니다. 네임밸류보다 본인 실력을 잘 키울서있는 환경이라 좋다는점??

2022.03.07

학벌은 성형과 같다고 생각해서 자기만족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고 봅니다.

나쁘게 말하는게 아니라 학벌에 대해 신경쓰다보면 살면서 앞으로도 계속 신경쓰기 때문에 본인이 원하면 높은티어로 도전하는것 자체는 존중합니다!
깜찍한 존 내시*

2022.03.07

여보세요... 성형과 비교는 아니죠. 전신성형한 여자들 신ㅈㅇ, 강ㅇㄱ, 손ㅁ 이런애들 인생 자체가 바뀌었는데 ㅋㅋㅋ

2022.03.07

음 오해의 소지가있네요ㅋㅋㅋ 성형보다 그냥 쌍수나 치아교정처럼 신경안쓰면 상관없지만 신경쓰다보면 계속 신경쓰이는 느낌? 결국 자기만족이죠

2022.03.07

저도 지금은 학부연구생 신분으로 다른 연구생들 그리고 석사, 박사생과 일하고 있는데, 면학 분위기가 더 좋은 환경으로 가고싶다는 생각이 드는 것 같습니다.
또한, 석사 월급이 월 50만원인데, 리소스는 그에 몇배로 들어보이기도하구요...

사실 현재 교수님과 프로젝트는 괜찮은 것 같은데, 6개월 줄이겠다고 미리 수업 들어두기보다는 그 시간에 서울권 대학 도전해보아도 괜찮겠죠 ?? ( 자대학으로 갈 경우, 지금 수업들어두면 1학기 줄어드는 상황 )
괜히 네임벨류 따지다 늦어지는걸까봐 걱정도 되긴해서요 ㅠㅠ

2022.03.09

음 보니까 26이시면 나이도 그닥 안늦으셨고 석사 서울권에서 해보는거 당연히 큰 도움됩니다. SSH까지는 그래도 bk다 뭐다 해서 장학금도 많이 나오기때문에 잘 알아보시고 도전해보세요. 피버팅은 할수있을때 해야한다고 생각해요

2022.03.20

안녕하세요 제가 댓글 알림을 너무 늦게 봤네요 ! 조언 너무 너무 감사드립니다.
궁금한게 생겨서 다시 댓글 남깁니다 :)
산공 석사과정 밟고 계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학부 졸업이랑 석사 졸업이 향후 맡는 업무나 진급등에 차이가 있나요 ???

2022.03.27

아 네네 저는 가고싶은 R&D 회사가 있는데 대부분 특정 테크를 전문으로 해야하더라구요. 그래서 좀 더 인공지능이나 최적화를 공부해야겠다 싶어서 석사 들어왔어용.

사실 그냥 제조업회사 생산이나 품질, 데이터마이닝 취업하라면 할수는 있을거같은데 딱히 제조업에 관심이 없어서ㅎㅎ
약삭빠른 노엄 촘스키*

2022.03.07

교수하려면 학부가 중요합니다. 대학원 학벌은 미미함. 대학원은 학벌이 아니라 연구실적으로 얘기하는거.

대댓글 1개

2022.03.07

꿈이 교수는 아닙니다 !
연구실적이라면, 석사 기간동안 작성하게되는 논문일까요 ? 아니면 교수랑 같이하는 프로젝트일까요 ??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