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김박사넷에서 새로 출시 했음 하는 서비스

재빠른 쿠르트 괴델*

2021.12.31

21

1834

김박사넷 플러스도 좋지만 여기 오는 교수, 연구원, 포닥들 섭외 해서 오픈챗룸 같은데서 컨설팅 같은 서비스 하면 좋을거 같다.

의외로 대학원생 혹은 포닥 진로 상담 서비스는 별로 없다. 한국은 전무 한듯 하고, 예전에 한 서비스가 있긴 했던거 같은데 기억이 잘.., 미국은 은퇴한 미국 교수님이 하는 professor is in 이라는 서비스가 제일 유명한데 그거 정도.

주변에 뜻 맞는 사람들과 해볼까도 했는데 플랫폼이 해결 되야 하는데 김박사넷은 이미 플래폼이 있으니 전문 인력 충원만 하면 될 듯.

나름 니치 마켓 같은데.. 김박사넷 플러스랑 연결해서 유학 서비스 더하기 학위 후 커리어 상담. 포닥 나가는 사람도 많아지고 학위 후에도 지도 교수와는 별개로 상담할 서비스가 있는건 좋은 듯.

만약 이런 서비스 있음 이용하 쉴? 가격만 적당하다면? 국내외 교수와 연구원, 포닥과 개인 진로 상담. 그냥 개똥 같은 이야긴가...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1개

2021.12.31

보통 포닥은 연구실 인맥으로 가지 않나?

대댓글 2개

2021.12.31

인맥도 어느정도지, 결국 본인 실적으로 말해야돼요.
A교수가 B대가랩 출신이라고, A교수출신이 다 B랩가지는 못합니다. 같은실적을 갖는 사람이면, A교수의 추천서를 갖고있는 사람이거나, A교수연구실선배가 좋은모습을 보여서 후배가 들어갈때 유리한 정도죠.
물론 인맥+본인장학금 들고가면 연구실입장에서는 굳이 안받을일은 이유는 없겠죠.

2021.12.31

실력은 당연하고.... 근데 보통 선배들보면 선배 네트워크랑 본인 네트워크해서 알아서 잘 가던데...포닥이 원래 어려운건지 몰랐음

IF : 5

2021.12.31

세부분야나 지역이나 실적이나 개인사정에 따라 조언해줄 수 있는 범주가 많이 specific해서... 진짜 엄청 다양한 경험풀이 만들어지지 않으면 제대로 될까 모르겠습니다.

대댓글 4개

재빠른 쿠르트 괴델작성자*

2021.12.31

어차피 여기 익명으로도 조언 받는데 그걸 투명화하고 전문성을 더 하자는거죠. 실명제로.

2021.12.31

저는 당시준비할때 하이브레인넷에서 큰틀에서는 많은 도움받았습니다.
김박사넷 자체가 대학원입학을 위한것인데, 굳이 여기를 확장하기보다는 그 취지에 맞는것을 더욱 잘 관리하는게 좋을것같습니다. 차라리 하이브레인넷같이 현직자 많은 플랫폼에서 해당내용을 더욱 잘 다루는게 좋죠.

IF : 5

2021.12.31

전 개인적으로 입시 고민하던 여기 학생들이 시간이 지나 연구실에서 갈등 생기고 진로고민하고 이러는 이 과정이 재밌어요 ㅋㅋ같은걸 몇 년씩 앞서서 겪은 입장에서 나를 보는 것 같기도 하고... 꼭 입시는 여기, 그 이후는 저기 하는 식으로 나눌것까진 없을 것 같습니다. 그냥 지금처럼 익명으로라도 글 올리면 댓글로 상담 내지 얘기는 열심히 해줄 순 있을 것 같아요. 저도 실명제는 무섭
체한 가브리엘 마르케스*

2021.12.31

익명성 때문에 그나마 조언 받는거임. 실명제로 투명하게 얘기해 줄 사람은 별로 없지. 사기 칠 사람은 많아도.

2021.12.31

바이오쪽은 K-BioX에서 아주 활발하게 하고 있어요.

대댓글 1개

2022.01.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좋은 사이트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선배님!

2021.12.31

컨설팅 해주면 돈을 줘야할텐데, 그정도 운영비용이 나올지가...

대댓글 3개

재빠른 쿠르트 괴델작성자*

2021.12.31

네이버 지식인처럼 하면 얼마 안 들텐데..
하려는 사람들이 얼마나 있을지. 개인 컨설팅 말고도 어픈 챗에서 단체로 하는 방법도..

2021.12.31

박사하면서 느낀게, 내 시간과 활동은 모두 돈임.. 여기와서 글쓰고 하는건 간간히 재미로 하는거지, 각잡고 컨설팅하는건 다른 차원이라... 박사들은 꼭 기억하길,,, 자네들이 움직이는 모든건 돈이라고,,, 그냥 무료로, 선의로 해주면 나중에 호구됨,,
체한 가브리엘 마르케스*

2021.12.31

동감

2021.12.31

힘들것 같다. 컨설턴트 하려면, 그 사람 신상이 공개되야하는데, 신상공개도 부담이고, 상담받은 사람이 결과가 안좋다고 나쁜마음 먹을 수도 있잖아.

2021.12.31

박사급 상담원을 모시려면.. 현실적으로 불가능함. 비용이 너무 비쌈.
재빠른 쿠르트 괴델작성자*

2021.12.31

약이 와서 글 쓰는 교수들, YouTube에서 알려주는 박사급 연구원들 교수들 돈 조금만 줘도 간담회 정도는 해줄 거 같은데. 너무 순진한 생각인가.

대댓글 1개

재빠른 쿠르트 괴델작성자*

2021.12.31

약이-> 여기
노래하는 쇠렌 키르케고르*

2021.12.31

자발적으로 유튜브 올리고 고민글 답변다는 것과, 김박사넷이 그걸로 개꿀빨면서 꽁으로 돈 먹는 거 보는거랑은 다름

대댓글 1개

노래하는 쇠렌 키르케고르*

2021.12.31

돈이 엮이는 순간 고민글을 올리는 사람도 최소한의 서비스 퀄리티를 기대할 것이고, 그걸 박사급 인력이 맞춰서 답변하다보면 비용이 당연히 오르게 됨. 그렇다고 퀄리티 컨트롤 안하면 그게 지금 김박사넷 커뮤니티랑 다를게 뭔가 싶기도 하고

2021.12.31

좋은 의견입니다만, 저는 참여 안할것 같아요. 죄송 ㅎㅎ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