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원래 진지하게 고민을 안하고 있었고 대학원도 무조건 국내로 가야지 하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우연히 코스 소개하는거 보니까 정말 좋은 곳인 것 같고, 관심에 두고 있었던 분야 연구실도 있어서 관심이 생겼습니다.
두 학교 모두 저는 미국 명문대 정도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실제 입시도 미국유학 입시 만큼 힘든 편인가요?
예를들어 미국유학 간 선배들말로는 미국 유학 가려면 무조건 학부생 때 publish가 된 논문실적이 있어야 하고.. 그런게 중요하다고 들었어서요. 이런 저런 입시 관련 정보들을 찾아보고는 있는데 후기가 많지는 않네요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5개
2021.10.08
미국에서 잡구할때는 홍콩과기대같은곳을 더 좋게 평가할수도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국내 리턴할때는 솔직히 아시아권 탑대학들에서 박사학위받는게 큰 매리트는 없는것같습니다. 현직에서는 아직도 미국 특정대학들을 선호하는게 커요. 그게아니면 그냥 국내spk나와서 주변인맥이라도 쌓아두는게 좋죠. 국내대학이 적응하는데 해외만큼 어렵지도 않고, 분위기도 논문 많이쓰려는 분위기가 있다보니 좋은실적인 사람들도 많아요. 미국 명문대를 어느정도 선으로 보는지 모르겠지만, 아시아권에서 다른아시아권 탑대학 가는건 그리 어렵진 않은것같은데요..
대댓글 2개
IF : 1
2021.10.08
친절하게 답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학부 yk인데 자대가는게 오히려 국내에 있을거면 더 좋은 선택일까요? 아직 사회에 안나가봐서 잘 체감이 안되네요ㅠㅠ
2021.10.08
spk를 가시거나 자대 좋은랩을 가시는게 더 나을것같아요.. 저도 많은사람을 만나본건아니지만, 박사졸업하고 현직에 많은사람들이 미국명문대는 인정해주지만, 아시아권 탑대학은 굳이 spk에 비해 좋게 인정하지는 않는것같아요. 특수분야에서는 다를수도 있겠죠.
그리고 미국유학도 다이랙트박사가 아니라도 석사거쳐서 가는케이스도 많을것같아요.
팔팔한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1.10.08
가는 게 나아요. 국내 네트워킹이 너무 과대평가받는 거 같음.
대댓글 1개
2021.10.0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22 괜히 탑인가.. 이쪽분야면 다아는 학교들을
방탕한 아담 스미스*
2021.10.08
홍콩 싱카폴 쪽은 노벨상도 하나 없는데 대부분 영어빨로 국제순위 올려서 큰거임
가려면 당연히 미국쪽가는게 낫고 돈없으면 독일 일본 프랑스가 차라리 낫지
대댓글 3개
IF : 1
2021.10.08
근데 홍콩사람, 싱가폴 사람중에 노벨상이 없는거지 홍콩 과기대 교수랑 난양공대 교수들 중에는 노벨상 수상자 많지않아요? 검색해보니까 난양공대 교수중에 노벨상 수상자 10명이라고 나오는데
IF : 1
2021.10.08
아무리 생각해도 10명은 너무 많은 것 같아서 더 찾아보니까 adviser랑 교수가 다른가보죠..? 쨌든 찾아보니까 과기대도 노벨상수상자 있는것같은데.. 국내에는 노벨상 수상자 없잖아요
방탕한 아담 스미스*
2021.10.08
찾아보니까 난양대 동문은 없는데 교수는 1명 있는듯
노벨상으로 모든걸 평가할 수 있지는 않지만 글쎄.. 미국대학이나 영독일프 탑대학 버리고 갈 필요가 있는지는 모르겠음
물론 한국에서만 있는 것 보단 당연히 가는걸 추천함
샤대보단 연구환경은 확실히 더 좋을거고 유학으로 국제적인 시야가 넓어지고 하는건 있는 듯
2021.10.09
난양공대 박사과정 재학중입니다. 싱가폴 시스템은 미국과 유럽의 중간 정도라고 생각하는데 저는 교수님이 일찍 내정을 해 주셨고 입시 자체는 크게 어렵지 않았습니다. 제 기억으로는 학교에 지원을 하려면 받아주는 교수의 이름을 적어 내야 했던 것 같네요. 혹시 더 궁금한거 있으신가요?
대댓글 10개
2021.10.09
입시를 제외하고는 학교에 만족 중입니다. 애초에 지도교수를 보고 온거라 연구적인 측면에서는 불평할 점이 없고 생활도 서울과 크게 다르지 않아 적응하는데 힘들지 않았습니다. 월급은 첫 1년 (QE 통과전) 월 2200SGD, 그 다음부터는 2700SGD를 받는데 첫 해에는 기숙사가 거의 보장되어 한 달에 300-400SGD정도 남기면서 생활이 가능합니다. 식비도 한국에 비해 저렴해 한국 대학원을 다니는 것 보다는 넉넉할 것 같네요.
2021.10.09
대댓글을 좀 이상하게 썼네요.
입시를 제외하고는 -> 입시 이후 생활에서는
2021.10.09
난양공대는 영어쓰나요? 중국어? 언어가 어떻게 되요?
2021.10.09
둘다쓰는데 오피셜영어
2021.10.09
오 어떻게 똑같이 맥스웰이나오지
2021.10.09
학생들끼리는 중국어를 쓸 때도 있는 것 같지만 수업, 공지, 세미나 등은 모두 영어로 진행됩니다.
속편한 제임스 와트*
2021.10.09
혹시 NUS나 난양공대 컴공 석사 학비는 어느정도인가요? 제가 찾아본거로는 거의 1년에 3천이라고 써있는것 같은데 제가 생각한거보다 너무 비싸서요... 박사도 설마 이 금액내고 다니는건가요?
2021.10.09
석사는 잘 모르겠네요. 저는 다른과지만 박사로 입학해서 학비는 면제입니다.
2022.05.16
안녕하세요! 인서울 대학 학부 2학년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난양공대에 관해 여쭤 보고싶은게 있는데 가능하실까요??
2024.12.24
안녕하세요! 혹시 석사 하시고 박사 가셨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싱가포르는 석사없이 박사가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어서요.. 그리고 SINGA scholarship 지원하신 건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2021.10.09
홍콩과기대 및 난양 공대 입학은 미국 유학보다 무조건 쉽습니다.
Spk 학부생 출신인데, 제가 졸업할 당시만 해도
Spk 석박은 전문연 메리트라도 있었지만 ntu랑 hkust 는 굳이요?
Spk 진학을 차라리 추천드립니다
2021.10.09
미국유학이랑은 비교가 안됩니다. 국내 SPK 대학원과 비교시에도 큰 메리트가 있다고 말하기는.. 글쎄요. 본인의 시야를 국제적으로 넓히는 장점은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그럴거면 미국으로 가는게 낫겠죠. 외국박사하고 국내에서 자리잡으실 생각이시면 미국, 유럽도 아닌 홍콩/싱가폴 박사로는 국내 네트워크, 과제경험이 없어서 국내에서는 디메리트일 수 있습니다.
2021.10.09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교수 할려면 국내 박사, 미 포닥 케이스가 적당한 것 같음(경제적, 육체적, 정신적으로) ,아닌 케이스도 많음
춤추는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1.10.09
유학갈거면 미국가세요.
대댓글 1개
IF : 1
2021.10.09
미국 좋은건 저도 알지만, 미국은 경제적인 부담도 크고 홍콩으로 가면 외가가 홍콩이라 생활비 절약도 되고 덜외로울 것 같기도 하고.. 싱가폴은 장학제도가 괜찮다고 들어서요. 또 미국은 위에서 말했듯 뭐 연구실적이 필요하다거나 그런식으로 당장 입학이 어렵다고 들었는데 저는 논문으로 된 실적도 없고..
2021.10.08
대댓글 2개
2021.10.08
2021.10.08
2021.10.08
대댓글 1개
2021.10.08
2021.10.08
대댓글 3개
2021.10.08
2021.10.08
2021.10.08
2021.10.09
대댓글 10개
2021.10.09
2021.10.09
2021.10.09
2021.10.09
2021.10.09
2021.10.09
2021.10.09
2021.10.09
2022.05.16
2024.12.24
2021.10.09
2021.10.09
2021.10.09
2021.10.09
대댓글 1개
2021.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