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적어놓은 이유만으로 기피해야 하는 충분한 사유가 됨..
여초랩이 무서워서 지원 못하시는 분들에게 남기는 글
49 - 무엇보다 중요한 건, 정말 훌륭한 지식인일수록 다른 사람들의 관점도 잘 수용하며 자신의 이론을 다듬는 사람입니다. 인간은 결국 자신만의 시각에 갇혀 살기 때문에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런 점에서 글쓴이는 시각이 매우 편협해보이며 자신만의 이론을 창안했다 한들 세상에 도움 되지 않는 것이 될 수 있어 보입니다. 천재인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건 그 사람이 얼마나 인류에 공헌을 할 수 있냐입니다. 아무도 알아들을 수 없는 천재의 함성은 그저 외계어일 뿐입니다.
제가 너무 천재인 것이 고민입니다.
44 - 읽는 사람이 무심코 웃게 만드는 글재주가 있네요.
요즘 연구가 힘든데 덕분에 크게 웃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모든 천재(天才)는 초기에 조현병(調絃病)취급을 받았습니다.
29 - 천재이시니 현실 세계 십만원 돈은 금방 벌 방도를 찾을 수 있지 않겠소? 그리고 검사 비용 얘기하는거 보면 스스로도 조현병 여부를 확신하지 못 한다는 소리인데.
모든 천재(天才)는 초기에 조현병(調絃病)취급을 받았습니다.
17 - 제 동기가 여초랩에 있다가 자살했습니다. 원인이 여초랩에 있는지는 모르지만 그 어느 누구도 신경1도 안쓰고 활발하게 웃고 잘사는거보고 여초랩에 선입견이 생겼습니다.
여초랩이 무서워서 지원 못하시는 분들에게 남기는 글
14 - 이사람하고 논답해봤는데 이사람 논리막히면 차단박던데..ㅋㅋ
모든 천재(天才)는 초기에 조현병(調絃病)취급을 받았습니다.
22 - 셀프 자문자답 상황극하면서 본인을 천재라고 칭송하는거 진짜 너무 오글거려서 못보겠음
엌ㅋㅋㅋ 철학자 a 신고 20회 돌파
23 - 지인이 서울대 붙어서 배아픈건 이해하겠는데 뭐 공정성 어쩌고 하는건 어이가 없네
다른 학생들이 모든 과목 다 풀고 스펙 빵빵한데 떨어진거면 불공정한거 인정해주는데 그런정황 잘 모르면서 그런말 하는건...
서울대 구술고사 전형 불공정한것 아닌가요?
14 - spk인가요? 입학면접은 어떻게보든 상관없지만 spk아니면(어쩌면 spk에서도) 어차피 석사입학생이 1시간동안 ml에 대해서 깊이있는 면접볼 지식이없을겁니다. 그리고 frontier lab출신 조교수가 아닌한 그정도 실력을 가진 학생이 다른 셋업된 교수님 랩 대신 선택할 이유도 별로없을거같거요. 혹시 빅테크에 연줄 대주실수 있으면 얘기가 다를거같긴합니다. 전반적으로 기대치를 낮추는게 좋을거같고 daily stand up은 지속가능하기 어려울거같네요. 스타트업도 아니고 연구해야되는 연구실에서 굳이 매일 진도를 확인할 필요가 있나싶습니다. 어거지로 학생들이 컨텐츠 쥐어짤텐데 스트레스만 주고 비효율이라고 봅니다.
랩 운영 피드백을 듣고싶습니다
13 - 뭐가 고등학생 마인드냐면, 어떤 공정하고 절대적인 시험 (i.e. 수능) 이 있어서 해당 시험의 성적 순으로 사람을 줄세울 수 있다고 믿는게 한국식 입시생 마인드입니다.
과목 두 개중 하나만 답변을 했는데 해당 답변이 매우 우수했다면, 혹은 다른 과목이 해당 학생의 지망 연구와 전혀 연관이 없다면?
아니면 교수와 컨택하는 과정에서 오랜 기간 교수와의 토론과 면접으로 본인의 우수성을 충분히 입증했는데 면접에서는 하필 모르는 질문이 나와서 망쳤다면, 떨어지는게 공정한가요? 그것이 '시험' 이니까?
서울대의 목표는 우수한 학생을 뽑는거지, 구술고사를 잘 보는 학생을 뽑는게 아닙니다. 미묘한 차이인데, 사실 심사당하는 입장에서는 납득하기 어렵기도 하죠.
서울대 구술고사 전형 불공정한것 아닌가요?
18 - 그놈의 '불공정'.
그 지인분은 미리미리 교수님과 컨텍하고 자기를 증명하는 노력을 했던거고. 그 정도 노력도 하지않고 합격하기를 바라는 분도 불공정 아닐까요?
시험도 꼭 답을 적어내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 아니었을지도 모르구요. 아는 것에 대해서 얼마나 논리적으로 자세히 설명하는지. '모르는 것에 대해서 얼마나 겸허히 모른다고 할 수 있는지'가 평가 지표였을 수도 있죠
서울대 구술고사 전형 불공정한것 아닌가요?
15 - 좌파정권이라서 제2의 조국, 조민이 나타나게되는건 당연한 이치임. 이래서 투표를 잘해야돼
서울대 구술고사 전형 불공정한것 아닌가요?
14 - 점마 블로그글 보면 지피티가 남긴 볼드체 마크다운 그대로 남아잇음
철학자 A의 비참한 현실
18
[GIST 광주과학기술원 융합기술학제학부] 지능형의료로봇연구실 대학원생 및 학부연구생 모집
2024.04.12

메카트로닉스 및 로보틱스를 기반으로 환자 재활 및 치료에 적용될 재활 및 나노 로봇 연구를 중심으로, 전방향 트레드밀/전방향 모바일로봇/4족로봇/센서 등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IMR Lab(Intelligent Medical Robotics Laboratory)입니다.
🔸연구 목표
로봇의 지능과 물리적인 서비스를 통한 인간과 로봇사이의 인터페이스 기술을 통해 인간 복지를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촉각 장치, 근력증강, 재활 시스템, 걸음 인터페이스, 약물전달 등 메카트로닉스 시스템과 정보기술의 융합을 통해서 인간과 로봇의 상호작용을 연결 시켜주는 지능형 의료 로봇 분야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연구 분야
- 촉각 장치, 재활 시스템, 걸음 인터페이스 등 인간-기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 연구
- 하지재활및 작업자 지원용 외골결 로봇
- 지능형 시스템에 기반한 가상현실 상호작용 시스템 개발
- 약물전달/뇌자극/온열치료용 나노로봇 제어 및 인터페이스 구축
- 직병렬 로봇의 기구학 및 최적화
🔸IMR Lab YouTube Link
https://www.youtube.com/@GIST-IntelligentMedicalRobotic/featured
🔸대우 조건
- 등록금(국비장학생)
- 장학금
- 생활비
- 인센티브
- 학술/세미나 참가 적극 지원
- 연구장비 지원
- 기숙사
🔸졸업생
- 국내외 교수 임용 다수 배출
- 정부출연연구소 연구원 다수 배출
(연구실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자격 조건
토익 700 점 이상 혹은 이와 상응하는 공인 영어 점수
🔸2024 GIST 대학원 가을학기 전형 안내
2024.4.9.(화)~4.22.(월)
https://www.gist.ac.kr/gadm/html/sub04/0401.html?mode=V&no=213284
🔸연구실 홈페이지
https://iit.gist.ac.kr/medrobotics/index.do
🔸인턴지원
https://iit.gist.ac.kr/medrobotics/sub01_81087.do
https://forms.gle/P6ogFVeK7cLmuCr17
🔸문의
jyoon@gist.ac.kr 혹은 minkyoung@gm.gist.ac.kr
-
151 54 29269
심리학 연구 참여자 모집 !! 김GPT 0 0 1326-
5 17 15098
약대생 인공지능대학원 김GPT 0 0 780-
44 29 7364
수술 로봇 김GPT 3 5 1155-
0 13 1236
의대에서 인공지능 대학원 진학 김GPT 16 12 7189
의료 영상/멀티모달 AI 연구실 추천 김GPT 1 11 1777
저는 연구실 생활이 너무 행복합니다.. 명예의전당 285 45 70700
내 석사생활 참 많은일들이 있엇네요^^ 명예의전당 200 34 66669-
141 26 28056
연구실(PI) 홍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연구실(PI) 홍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대략 보니까 워라밸 주제가 핫한데요. 교수입장에서 보면,
87 - 아무리 강사라도 상명대 출신이 서울대 교단에 서는 건 말이 안되지 않나???
134 -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66 - 포스텍 AI대학원 합격했네요..!
37 - UNIST 현실 (feat. 폭풍 1박사반점)
35 - 여초랩이 무서워서 지원 못하시는 분들에게 남기는 글
35 - 제가 너무 천재인 것이 고민입니다.
72 - 박사진학하게 되었는데 지도교수님이 돌싱
30 - 엌ㅋㅋㅋ 철학자 a 신고 20회 돌파
32 - 대하기 너무 힘든 (짜증나는) 박사과정 선배 - 전문연 2+1
10 - 저거 철학자A글 보고 적는건데
19 - GPT가 조현병 만들기 쉽습니다. 조심하세요
12 - 만 51세 여성 지인이 미국 박사유학 상담을 해온다면... 뭐라고 말해줘야 하나요?
2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Top 30 기계/로봇 석사과정 합격 가능할까요..?
29 - 미박 지원서를 몇 개를 써야할 지를 모르겠습니다
27 - 미국 유학 외 선택지?
21 - 수학, 철학 잘하는 메타인지 높은 사람 보셈
46 - 모든 천재(天才)는 초기에 조현병(調絃病)취급을 받았습니다.
75 - 어떤교수가 더 능력좋은거임?
14 - 서울대 구술고사 전형 불공정한것 아닌가요?
19 - 취업 못할거같아서 대학원 석사 어케생각하나요?
18 - Advanced Materials vs. Advanced Energy Materials
11 - 랩 운영 피드백을 듣고싶습니다
20 - 난이도) 서울대 공대 석사 입학 vs 학부졸업 후 대기업 연구개발 입사
15 - 철학자 A의 비참한 현실
14 - 진로 고민이 많은 고3입니다 (의대 / 이공계열)
13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