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spk 랩실은 신생랩실이어서 젊은교수님이시지만 ist에 비해 돈도없고 아직 태어난 신생랩이라 선배도 없음
어디가는게 더좋을까요?
물론 둘다 관심있는 분야고 교수님도 좋으시다는 가정하에
(박사까지 할건지는 고민중입니다. Spk 가게되면 무조건 석박통합으로 갈거고 ist는 석사만할생각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George Orwell*
2020.10.04
박사까지 할 건가요?
2020.10.04
보편적인 기준으로 전자가 좋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후자가 교수님이 너무 쩔어서 혼자서 다 캐리하면서 저자 끼워주면 그건 넘사벽이지만 보통 자기 앞가림하기에 바쁜 교수님들이 많고 그래서요. 특히 장비가 요구되는 실험베이스쪽 학문인 경우에는 정말 후자는 비추입니다. 그리고 전자를 판단하실 때에도 그 랩에서 나온 좋은 저널들의 저자에 학생비율이 어느정도인지 보세요. 실제로 NSC급에 학생이 저자로 들어가있는지 막상 보면 교수님만 달랑 들어가있고 학생들은 그 밑에 저널에만 투입되어 있는 경우도 더러 있습니다.
2020.10.04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박사까지 할건지는 고민중입니다. Spk 가게되면 무조건 석박통합으로 갈거고 ist는 석사만 할생각입니다. 좋은 저널 학생비율을 보니 높더라구요.. 정말 퍼포먼스는 장난아니더라구요 그래서 더 고민이 됩니다 ㅠㅠ
Ben Jonson*
2020.10.04
석사만 할껀데 퍼포먼스가 뭔 소용인가요. 둘 다 석박통합일 경우는 비교 대상이 되지만 ist에서 석사만 할거면 좋은 저널에 논문 쓰는거 크게 상관없습니다. 서포카 석사 지스트 석사 일경우 서포카 가는게 좋지만, 서포카 석박 ist 석박일 경우 퍼포먼스 고려하면 ist도 좋은 선택이라 생각합니다. Spk의 네임벨류를 뛰어넘는 논문을 쓸 수 있는 랩실인 것 같네요
2020.10.04
S인 모양인데...
Jacques-Louis David*
2020.10.04
박사까지 할거면 -ist 쪽이 훨씬 나아보이는데 석사까지 할거면 spk 가세요 그냥
2020.10.04
Richard Kuhn // 왜 그렇게 생각하시죠? 카이스트 일 수 도 있지않나요?
2020.10.04
글쓴이 분께서는 spk 중 어디인지 정도는 말씀해 주셔야 정확한 조언이 가능할듯합니다.
Gaetano Pesce*
2020.10.04
ist에서 석사하고 미국 박사 갈꺼면 추천.
2020.10.04
랩에 돈이 없다면 카이스트는 아님
기본적인 생활비 지급과 랩운영은 되는곳임
2020.10.04
s아니고 pk입니다. 두곳다 인턴쉽을 겪어봐서 재정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고있어요. 물론 두분다 좋으신교수님인건 확실합니다. 다만 재정 및 랩실규모 혹은 퍼포먼스는 아무래도 ist가 훨씬 더 좋았어요. 물론 상대적으로 다른 랩실보다 재정적으로 풍부하지 않다는 것이지 돈이 부족하다는 것은 아닙니다. 희망사항이지만 Ist를 간다면 더 좋은 저널에 논문쓰고 해박도 생각하고 있어요. 하지만 pk가려 학점 좋게 만든게 아깝고 대한민국 사회에서 간판이 중요한데 자대와 비슷한 ist를 가야하나 생각이 들기도해서 무엇이 정답인지 모르겠습니다. 선배님들 조언부탁드릴게요.
2020.10.04
본인이 네이처나 사이언스 논문을 쓸자신이 있어면
어디를 가든 마찬가지 아닌가요?
Pk를 가든 ist를 가든
본인이 가고 싶은곳 가면 될것 같음
문제는 없어보임
George Orwell*
2020.10.04
ist에서 석사를 하고 해박을 한다는 발상 자체가 나쁘다고 생각하지는 않아요. 다만 먼저 주의해서 알아보아야 할 게, 석사 2년 만에 실적을 내고 그 실적을 기반으로 해외 박사에 도전한다는 것이 얼마나 현실성이 있는 지를 따져봐야한다는 점입니다. 님이 어느 분야를 생각하시는 지는 알 수 없지만 석사 2년동안 SCI는 커녕 논문 한편도 못쓰고 졸업하는 연구실도 꽤나 많습니다. 써봤자 국내 논문에 한정되거나요.
또 ist 연구실 실적이 굉장히 좋다고 하셨는 데 그 실적이 석사 과정 학생들로부터도 나온 것인지, 박사 과정 학생들에게만 나온 건 아닌지 구체적으로 따져봐야 합니다. 만약 후자의 경우가 좀더 많다면 님이 ist에 진학하고 석사 2년을 마칠 동안 투고할 수 있는 논문 수의 기댓값 역시 0에 수렵할 수 밖에 없겠죠. 그럴 경우 학부가 어디 출신이든간에 그냥 석사를 ist에서 한 학생으로 끝날 가능성이 큽니다. 그렇지 않기를 바라겠지만요.
2020.10.05
신생랩이면 교수님께서 연구실적 내려고 노력하시지 않으실까요?
저라면 PK
2020.10.05
솔직히 석사까지여도 실적 많이 뽑을 수 있다면 보편급 spk보다 나을것같은데..? 괜히 ist에서도 국립대 교수 나오는건 아니죠
2020.10.04
2020.10.04
2020.10.04
2020.10.04
2020.10.04
2020.10.04
2020.10.04
2020.10.04
2020.10.04
2020.10.04
2020.10.04
2020.10.04
2020.10.04
2020.10.05
2020.10.05
2020.10.05
2020.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