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주저자가 아닌 공저자는 본인 실적으로 치나요?

2025.11.01

7

1472

공저자 실적에 만족하는 분들이 있던데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보통 주저자 1-2편인데 공저자가 수십편인분들은 어떻기 평가받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5.11.01

공동1저자 아니면 공저자가 많든 적든 실적으로 안쳐줍니다.
너무 많은것도 좋지많은 않지요. 해당 연구실이 프라리이딩이 일반적으라고 생각될수도 있구요

2025.11.01

업는거보다야 나으지뮴 주저자엔 비할바못되뮴🤤🤤🤤🤤

2025.11.01

취업전에윰 큰이미업구윰 취업후에는 KPI로는 인정이되윰😉😉😉😉

2025.11.01

공저자도 실적으로 치긴 칩니다만 공저자 실적만 많은 경우 대부분은 연구에서 손을 놓은지 좀 됬구나 생각할 것 같습니다.

2025.11.02

CV 한 줄용

2025.11.02

정량적 점수는 주지만 정성적으로는 인정 안하죠

2025.11.02

본인실적으로 치냐 안치냐는 상황이 많기때문에 어렵습니다. 공저자숫자를 통해서 구글스칼라에서 citation 숫자가 많은걸 보여주는건 어느정도 의미있는 지표가 될순있겠죠.
근데 그게 아닌 본인이 학계(교수/정출연)에 지원할때를 기준으로 말씀하시는거면 대체로 주저자 실적만 카운팅을 합니다.
PI가 된이후 과제평가할때 대표실적 내라고 할때에도 하브넷에 가보셔도 알수있지만 NCS 공저자라 하더라도 그냥 주저자 실적을 내라고 합니다.
비슷하게 아무리 탑저널이여도 주저자로 리뷰논문 낸걸 주실적으로 내면 편견이 있는사람들도 분명 있습니다.
여러가지로 잡을 구하든, 본인 과제평가를 당할때 한헤서는 주저자 실적이 거의 대부분이 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