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선행연구 및 학계 패러다임 파악법

2025.10.21

7

377

안녕하새요. 이제 막 석사 1학기 다니는 경영대입니다.

논문에 대한 욕심이, 열정이 많은데... 중요한 건 지금 학계의 추세?연구가 진행되는 초점이 어디인지를 잘 아는것 같습니다.

혹시 그래서 학계의 패러다임 깉은걸 파악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메타 분석이라는게 이런 용도에 사용되는건가요?

그리고 실제 논문을 작성하는 단계별로 사용하시는 툴들이 있으시다면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학계.추세 파악법도 궁금하고 논문 작성 시 피악해야 할 선행연구 조사 법도 궁금합니다...

넘 기초적인 질문인거 같은데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5.10.21

1) 다른 방법이 있는 게 아니라 그냥 논문 읽고 학회 참석하고 하면서 파악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교수들도 다 그렇게 합니다.
2) 개인적으론 관련 키워드 논문들을 최대한 많이 검색하고 추리는 작업부터 합니다.
3) 논문 작성 툴은 적을 수록 요즘은 overleaf만 있으면 됩니다.

대댓글 3개

2025.10.21

답변 감사합니다!
역시 많이 읽고 직접 파악하는 방법 뿐이군요... 제가 괜히 요행을 바란것 같아서 다시 한번 정신 차리게 되네요

선행연구는 키워드로 검색해서 추리는 작업을 하는군요 감사합니다

혹시 overleaf가 라텍스 변환 작업 툴이라고 나오는데 어느 부분에서 쓰이는지 알 수 있을까요?

2025.10.21

정확히는 조판 프로그램인데(출판물을 출판하기 위하여 포맷팅 하는 프로그램), 학계에선 대부분 저자에게 조판 업무까지 떠넘기는 게 있다 보니 워드 대신 널리 쓰이는 툴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2025.10.21

아 그렇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2025.10.21

분야가 어떤 분야인지 몰라서 설계-공정-측정-분석 사이클 돌리는 분야 기준으로 말씀드립니다.
사실 학계 추세는 큰 분야 안의 세부분야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본인이 연구하는 세부분야를 명확히 규정하는게 필요합니다. 석사 1학기 차면 아직 그정도로 세분화 되진 않았을 거라고 짐작되어 큰 분야 (e.g. 포토디텍터)에서 논문을 많이 읽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후 연구 주제가 명확해지면 세부분야가 결정되고, 그럼 세부분야 (e.g. 2D material gate 포토디텍터) 관련 논문을 시간대 순으로 정리해서 읽다 보면 어떻게 바뀌어가고 있는지 이해가 됩니다.
논문 작성시 사용하는 툴은 최근 핫게시글에 올라왔던거 같아서 찾아보시면 될 것 같구요.
선행연구 조사는 저 같은 경우에는 내가 연구하는 분야에서 요구하는 정량적 수치 등을 최근 10년 연구 논문에서 찾아서 정리해 놓습니다. 이때 양식은 논문 제목, 연도, 저널, 교신저자명, 정량적 수치값들으로 정리해놓고 내 연구의 novelty 및 성능 지표 제시 필요시 조사해놓은 문헌으로 그래프 plotting 합니다. 어느정도 표본은 필요하니까 적어도 20개 이상의 선행연구는 정리해놓는 편입니다.

대댓글 2개

2025.10.21

쓰고나서 보니까 경영대네요
경영대쪽은 어떻게 연구 사이클 돌아가는지 모르겠습니다 ㅋㅋ;;;

2025.10.21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세부분야를 규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씀 정말 맞는 말 같습니다. 아직 많이 읽어서 이 과정을 잘 하는게 중요한 것 같네요.
말씀해주신 내용 잘 참고하겠습니다.!
개인적으론 제가 당장 각오부터 바꿔야 할것 같네요 하하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