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에 진학해서 학위는 KAIST, 연구는 정출연에서 하고 싶습니다. 다만 KAIST에는 학연과정이 없고
대신 정출연에 기타연구생 제도가 있는데, 장학금 문제로 파견이 주1회만 가능하다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두 PI께서 서로 합의하에 5일 파견을 보내는 형태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이 때 장학금 이나 인건비 문제등등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가령 합의하에 주 5일 정출연에서 연구를 할 때, 장학금 문제로 서류상으로는 무엇인가 다른 형태일텐데
인건비는 학교 과제에서 나오는 건지, 정출연 과제에서 나오는건지.. 등등입니다.
괜히 두 PI분들을 귀찮게 하는 것 같아서 컨택메일 보내기도 망설여집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5.10.04
되게 간단하게 생각하시는데 그렇게 하려면 좀 문제가 될 부분이 많아서 mou도 맺고 해야할겁니다. 따라서 비현실적이라고 보고요. 가능한 방법은 교수님 인맥을 통해 파견나가는 것으로 이것은 저도 경험이 있긴 합니다. 다만 과제랑도 관계 없는데 무턱대고 파견가고 싶다고 보내주겠다고 하시는 분이 계실지는 모르겠네요.
대댓글 1개
2025.10.04
조언 감사합니다. 즐거운 추석 되십쇼.
2025.10.04
정출연이 아무리 날고기어도 카이스트보단 아닐텐데 굳이 가려는 이유가 뭔가요?
대댓글 4개
2025.10.04
수업은 카이스트 수업이 압도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연구실은 너무 인기랩이라 교수님께 배우기 힘들기도 하고, 제가 하고싶은 분야는 정출연 박사님이 업계에서 독보적이십니다. 다른 주요대학 교수님들을 포함해도요.
물론 업계에서 지위는 카이스트 교수님이 현역 교수님들 중 다섯 손가락 안에 드시지만요
2025.10.04
카이 자대생임? 자대생이면 충분히 교수랑 상의해서 딜쳐볼만할듯
타대생이면 걍 정출연 박사한테 먼저 컨택해서 카이 말고 다른학교 학연으로 가는게 베스트일듯
2025.10.05
자대생이 아닙니다..
2025.10.05
그럼 서울대출신이 아닌이상 카이 교수가 안받아요 정출연 박사한테 카이 교수 연결해달라고 하는게 그나마 나을듯
2025.10.05
학연은 아마 안되고 위촉이 될걸요? 인건비는 높은 확률로 지도박사님 과제에서 나가구요. 카이스트 지도교수님은 아주 좋으신 분이 아닌한 거의 안내주시는걸로 압니다. (장학금포함) 그리고 1일은 카이에서하고 4일은 정출연에서 한다고 하는데 말만 그렇지 5일내내 정출연에서 보통 연구합니다. 정출연 위촉 인건비는 꽤나 많이 주긴 하거든요. 확실한건 카이에서 받는거보단 많이 받으실거에요.
다만 컨택하실때 카이쪽 교수님은 별로 안좋아하실수도 있어요. 티오하나를 잃고 정출연에 보내주는거니까요. 아마도 지도박사님과 카이 교수님 사이에 친분이 있거나 사제관계거나.. 이런게 있어야 보통 해줍니다.
대댓글 1개
2025.10.05
학위내내 하려는 건 아니고요 석박을 둘다할건데 석사기간/박사 수료후 교수님 연구년타이밍 각 1년정도씩 생각하고 있습니다.
기관이랑 카이스트랑 차로 15분거리 정도입니다.
컨택시부터 말씀드리면 교수님께 부정적 인상을 드릴 수 있겠네요...
정보 감사드립니다.
2025.10.05
저도 공동연구할때 파견처럼 일주일 한번했습니다. 정출연에서 주1일 출근에 해당되는 금액 받앗고요. 카이스트 장학금 관련해서 주5일출근이 안되는데, 어떻게 주5일치를 기관에서 받으셧다는건지는 모르겠네요. 저는 그렇게 하고 졸업후 같은기관 입사햇엇습니다
2025.10.04
대댓글 1개
2025.10.04
2025.10.04
대댓글 4개
2025.10.04
2025.10.04
2025.10.05
2025.10.05
2025.10.05
대댓글 1개
2025.10.05
2025.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