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재료공학도의 상태도 과제 질문 올립니다…

2025.06.18

1

193

1번의 경우 선이 매끄럽게 이어질 것
2번 ???
3번 순수한 상태이므로 같은 온도일 것
4번 ???
5번 ???
6번 등온선, 수평선

몇개는 유추해봤는데 나머지는 도저히 모르겠읍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개

2025.06.18

1 번( a‑b 수평선 )
의도된 의미: 1차 페리텍틱 반응 L + α ⇌ β 가 일어나는 삼상 평형선.

문제점

수평선의 왼쪽 끝 a가 β + L 영역 내부에 찍혀 있다. 삼상 평형선의 왼쪽 끝은 ‘액체+α’ 영역의 경계(= 액체 조성 C_L₁)여야 한다.

오른쪽 끝 b도 β + L 내부에 있으며, β 고상(單相) 경계(C_β₁)를 넘어가 버렸다. 삼상 평형선은 C_L₁‑C_α₁ 구간까지만 존재해야 하고 β 조성 쪽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교정: a, b 두 점을 각각 액상선(액체 · 액체+β 경계) 과 α · α+β 경계에 정확히 맞추고, 그 사이만 수평으로 그린다.

2 번( β+L 부분 액상선의 꺾임 )
문제점: 액상선이 β+L 영역에서 갑자기 꺾여 직선처럼 이어진다.

액상선·고상선은 열역학적으로 연속·완만한 곡선이어야 하며, ‘코너’나 불연속 기울기는 허용되지 않는다( dT/dC = –ΔS/ΔH 관계 위배 ).

실제로는 페리텍틱점 P₁에서 β+L ↔ L (단상) 구역으로 부드럽게 접해야 한다.

교정: 꺾인 부분을 매끄러운 곡선으로 연결해 β+L 영역 위쪽을 감싸도록 수정.

3 번( c‑d 수평선, β 단상 영역 안 )
문제점: β ­단상 영역 안에 무의미한 수평선이 들어가 있다.

단상 영역에서는 임의의 온도에서 단 하나의 조성만 존재하므로 tie‑line(평형선)이 있을 수 없다.

교정: c‑d 선을 지우고, β 단상 영역은 오로지 액상선·고상선으로만 둘러싸이도록 한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