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h-index랑 i10-index 높은 교수님

2025.05.07

10

1824

안녕하세요

제가 연구하고 싶은 연구를 하는 분이 s, p에도 계시고 지거국에도 계신데

지거국에 계신 교수님이 h-index랑 i10-index가 전체 기간과 2020년 이후 기간 모두 더 높으시다면

학생의 개인 역량이나 교수님의 지도력 등의 변수를 제외한다고 했을때, 지거국에 계신 교수님 연구실에 가는게 더 좋은 선택일 확률이 높은게 맞나요?

잘 몰라서 여쭤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5.05.07

더 실력있을 확률이 높긴 함

2025.05.07

h index를 보는게 아니라 어떤 저널/컨퍼에 냈는지를 먼저 봐야지...

2025.05.07

나이도 보셔야 합니다. 지거국 교수님이 경력이 더 오래됐다면 공정한 비교는 아니에요

2025.05.08

본인이 박사과정으로 신경쓸거는 지도교수의 hindex보다도 최근에 교수가 교신저자로 (해당연구실 구성원이 주저자로) 어느정도 저널에 매년 몇편정도 게재했는지 입니다.
대충 먀년출판된 논문수를 해당연구실의 밧사과정 숫자로 나눈값이 본인의 미래 퍼포먼스일 확률이 높고요.
예를들면 로저스랩 포닥출신들 큰기여없이 공저자로 몇편 얹다보면 2-3년 포닥하고나면 h-index나 총 citation이 2-3k 쉽게 넘는데 그게 뭔의미가 있을까 싶어요. 결국 본인이 주저자(1저자/교신)로 참여한 논문만 의미가 남게됩니다

2025.05.08

특이사항이 없다면, 가능하면 S 추천합니다.
이후, P 그리고 이후 지거국 추천합니다.

특이사항으로
1. 전체 h-index는 나이에 영향을 많이 받긴합니다. 대략 나이 곱하기 1.5 이상이면 대가로 보이며, 특히, 나이무시하고 100이상 또는 그 정도에 준하는 수준이면, 다른요소 대부분 무시해도 될 정도의 대가라 보면 될 것 같습니다.
2. 아니라면, 소속된 멤버들 또는 졸업자들이 주저자로 얼마나 많이 작성하느냐도 봐야합니다. 해당 과정(석사 또는 박사 등)의 기 졸업자의 평균정도의 논문을 님이 쓸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유
단순히 h-index나 i10 등은 추후 얼마나 많이 피인용되었나인데, 실제로 연구실에 들어가는 멤버입장에서는 어디에 출판하느냐가 중요합니다. 즉, 어느정도 차이가 납니다.

대댓글 2개

2025.05.08

연구경력도 아니고 나이곱하기 1.5라뇨ㅠ 30살에 45찍는사람 못본거같은데ㅠ

2025.05.08

ㄴㄴ 30살에 세계적인 대가가 되긴 어렵기에 잘 못 보신듯. (30대에 교수가 되는 사람은 많아도 30살에 교수인 사람도 흔하지 않습니다.) 교수가 되고나서 자신의 연구실 셋업해야하고, 자기주제로 세계적으로 인정받으려면 보통은 시간이 좀 필요하기에 30대에 대가가 되기에는 보통은 쉽지 않을 듯 싶네요.

그리고, 기본적으로 "대가"라는 기준이 사람마다 차이가 있는데, h 인텍스만으로 나머지를 다 극복할 수준이라는 글의 취지를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과거에는 나이 x 1.0이면 대가라 보기도 했는데, 막상 요즘 저도 그 기준을 넘어서고 보니, 주변에 저 정도는 많아서 연구잘한다 정도이지 대가까지는 아닌 것 같더라고요. h 인텍스 100넘어시는 분들도 간혹 계시는데, 그분들은 모두 메이져학회 기조연설급의 대가급이긴 하더라고요.)

2025.05.08

지거국에 계신 교수님이라면 상대적으로 열악할 수 있는 환경인데도 그런 성과를 내셨으니, 공력이 훨씬 높으신 것으로 보셔도 됩니다.

2025.05.08

서로 비슷한 분야고 내는 저널도 비슷한데 h-index가 높으면 일반적으로 더 논문을 잘쓰시는 건 맞습니다(예외는 있지만).
아 위에 덧글들도 말하듯이 나이 영향을 받아서 나이가 비슷할 때 입니다. 나이 차이가 나면, 그냥 1년에 몇편정도 내시는지 비교하세요. h-index는 교수 아니고 박사받고 그냥 사기업 연구원가서 그 이후부터 논문 안쓰시는 분도 10년 넘어가면 대학원 때 썼던 논문들 인용수가 누적되서 신임교수보다 높아지는 경우도 있거든요.

만약 분야, 나이가 비슷한 상황이라면,
h-index 40이냐 50이냐 정도는 차이 없구요, 40~60 정도와 100넘어가는 사람은 좀 차이가 있죠. 솔직히 아직 40~50대에 h-index 100넘어간다? 그럼 그 연구실 들어가기만 하면 엄청 힘들지언정 논문 수준과 quality는 보장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위에 분들이 h-index보다 논문 저널을 주로 보시라는 말들이 많은데 맞는 말이구요, 근데 첨언하자면 원래 좋은 저널일수록 인용이 많이 되기 때문에 h-index가 저널 퀄리티도 어느정도 내포하고 있긴합니다.

2025.05.09

고견 감사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