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수학교육과 교대원 석사에서 수학과 박사 도와주세요

2025.05.03

12

730

저는 30대초반 현직 교사로 원래 수학자가 되는게 꿈이었으나 현실과 타협해 임용을 쳤고
이제 조금 여유가 생겨 대학원에 도전해보려합니다.
원래 휴직하고 일반대학원 수학과에 가고 싶었으나 교육대학원 학비지원을 해준다는 공문을 보고
일병행하면서 다닐 수 있는 교대원 수학교육과에 지원하게됬습니다.
석사취득 후 연수휴직을 이용하여 수학과 박사과정에 도전해보고 싶은데
수학교육과 석사에서 수학과 박사로 간 사례가 있을까요?
불가능하다면 그냥 휴직하며 석박통합이 맞는걸까요?
마지막으로 수학과 박사과정으로 넘어가기 위해서 석사과정중 제가 추가로 공부해야 할건 어떤게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5.05.03

교육대학원 석사는 그냥 학부때 교직이수 못한 분들이 라이센스 따는 프로그램 아닌가요?
그리고 하고 싶은 분야를 먼저 찾고 그에 맞는 지도교수와 프로그램을 찾아야지, 수학자가 되고 싶다는 목표는 너무 막연합니다.

대댓글 1개

2025.05.03

답변 감사합니다 교대원에서 교직이수하는 석사과정이랑 안하는 석사과정이 따로 있어서요... 교직이수자격이 필요없는 사람들은 수학전공관련해서 30학점 들으면 수료가 된다고 합니다 관심 분야도 있어서 석박으로 간다면 가고싶은곳이 있긴합니다.

2025.05.03

프로 수학자로 평생 안정적으로 먹고 살 수 있는 길은 엄청나게 좁습니다. 그런 석사 프로그램이 큰 도움이 될 것 같지 않고, 하시려면 정말 제대로 집중해서 할 것을 권합니다.

2025.05.03

전업 아닌이상 잘 안받아줄겁니다.

대댓글 1개

2025.05.03

그리고 입학시험이 대부분 있고 그 시험 통과를 기본적으로 하셔야합니다. 기출문제도 공개되어있으니 각 대학 홈페이지 찾아보세요

2025.05.04

수학, 물리학 박사학위 취득 평균소요 햇수는 다른 전공에 비해 상당히 긴 편입니다. 더군다나 수교과 커리큘럼만 이수한 학생이 휴직기간만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한다는건 말도 안되는 소리인거 같네요.

2025.05.04

넵 위에 분들 모두 조언 감사합니다 수학은 취미로 공부하고 박사에 도전한다면 수교과로 가는게 현실적일듯 하네요....

2025.05.05

국어쪽이긴 한데, 학부 때 강사 한 분이 ㅇㄷ대 교육대학원에 있다가 ㄱㅂ대 국문 박사 따신 분이 계시긴 합니다. 케바케인 듯

대댓글 1개

2025.05.05

양쪽 다 컨택해보시고 되는 데 가셨으면 좋겠습니ㅣ다

2025.05.06

일단 해보는거지 다들 왜그리 부정적이신지 모르겠네요. 박사과정 준비과정에서 입학시험 있거나, 학위기간이 길거나 하는 부분은 작성자가 경험해서 결정할 일이지 단언할 필요가 있나요? 작성자분은 일단 해보시죠. 직업이 생긴뒤에도 공부에 대한 미련이 남은다면 이후에도 계속 남을겁니다

대댓글 2개

2025.05.08

하려면 각잡고 제대로 해도 될까말까인데 이도저도 아닌 선택을 해도 되냐고 묻고 있으니 부정적으로 말하는거죠.
30초반에 교육대학원 석사 가서 수학자 된다는건 고등학교때 방과후 취미반에서 축구 시작해서 프로선수 되겠다는 소리나 다를 바 없습니다.

2025.06.12

글쎄요 예시가 적절한진 모르겠네요. 작성자가 수학교사인진 모르겠지만 적어도 이과 베이스니 수학 박사 얘길 하는건데 그걸 방과후 취미반이랑 비교하는게 맞는지.
나이에따라 퍼포먼스 차이가 나는 운동이랑 공부를 비교하는게 맞는지도 공감이 안되네요.
답에 대한 확인이 늦었지만 지금와서 다시봐도 안될 이유가 있나 싶습니다. 본인이 확신이 있다면 이런글도 안적었겠지만 필즈상을 타겠다는것도 아니고 박사하겠다는걸 말릴 이유가 있나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