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산학하면서 기업 담당자 공저자 들어간게 실력인가요?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5.04.01

18

769

마치 자기 실력 마냥 페북에 자랑하던데…

부럽다 ㅋㅋ 나도 돈주고 공저자 들어가고 싶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5.04.01

1. 산학과제 페이퍼 잘 나오는 SPK 에 주거나, 2.인턴 채용 후에 부하직원이랑 논문 쓰게하기
위에 1, 2 논문 제출시에 공저자 들어가기.
그러면 자연 스럽게 페이퍼 늘어나면, 페북에서 돈으로 친해진 교수님들과 친목질 & 자기 자랑 ㅋㅋㅋ

참 편하다, 누구는 피땀눈물 논문 쓰는데... 에효
슬기로운 척척박사*

2025.04.01

뭐.. 자랑할수도있죠.
기업이 펀딩하는데.
열심히쓴논문은 그자체로 저자에게 의미있는거아닌가요?
펀딩주고 플젝관리해주고해서 이름올린분들 질투할필욘 없다봅니다.'기업에서 논문쓸때 이름몰아서 20 30명씩올리고 연구는 연구원이 했지만 주저자는
연구소장이름으로 논문나가고 하는것도 많은데요

대댓글 1개

2025.04.01

과연 플젝관리를 할까요? ㅋㅋ 담당 직원이 하겠죠? ㅋㅋ
질투가 너무 나네요. 부러워요.

2025.04.01

사실 이래서 1저자 아니면 논문으로 인정하면 안되요..최대한 친다해도 연구책임자인 교신 저자까지는 포함한다 하더라도, 공저자는 거의 하지도 않으면서 숟가락 얻는데 열중인 분들이 있어서 보기 아주 안 죻죠. 본인들은 그거 보기 안 좋은 줄도 모르고. 특히 일부 회사분들

대댓글 2개

2025.04.01

그러게요. 페북에 엄청 자랑하시던데요.
슬기로운 척척박사*

2025.04.01

교신저자까지는..이란표현이 재밌네요.
1저자와 교신저자는 같은주저자이고 사실 방향제시 펀딩 연구자관리 등을 해주는 교신의 역할을 모르는게 철부지로 보입니다. 타인의 자랑에 긁힐시간에 주변에 감사부터 해보세요.

2025.04.01

;; 어느정돈 동의하나 자격지심 아닌지
프로젝트 펀딩이 얼마나 큰 기여인지에 대해 잘 모르는 분인듯

대댓글 4개

2025.04.01

그러게요. 펀딩은 교수가 따는 건데,,, 사사만 달아주면 되고, 실무 책임자만 공저자로 들어가면 되는거 아닌가요?
자격지심 맞는거 같아요. 부러워서요.

2025.04.01

저도 "돈"만 대주고 공저자 들어가고 페북에서 AI 스타 되고 싶어요.
슬기로운 척척박사*

2025.04.01

돈이 어디서 굴러오는지 아는거같은데
나가서 1억이라도벌어보고 펀딩 운운해봐요
PI밑에서 연구하는거자체가 행운이고 기회임을 먼저 배우세요

2025.04.01

고작 공저자에 부러워하지 마시고 본인이 우수한 논문의 주저자로 작성해서 해당 펀딩 관련자들을 공저자로 넣어주는 사람이 되면 됩니다.
결국 대학원생이시면 주저자 논문이 중요한 것 아니겠습니까? 아무리 좋은 논뮨 공저자 10편보다 Q1 주저자 1편이 본인에게 더 큰 의미입니다.
힘내고 계속 나아가세요

2025.04.01

뭐 실력이라기보단 걍 운빨이지ㅋㅋㅋㅋ 기업이랑 하면 그런경우 많긴한데, 사실 논문 퀄리티랑은 별개인듯. 너무 신경쓰지마셈

2025.04.01

음 근데 산학이면 기업 쪽에서 데이터나 리소스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서 저자 들어가는 게 이상한 건 아니긴 해
너무 신경쓰지 말구 너는 네 실력 잘 쌓아가면 되지 않을까 싶네

2025.04.01

나도 누가 나한테 큰돈주고 논문 쓰고 공저자 넣어달라고 이야기 하면 바로 해줄거 같긴 한데

2025.04.02

나도 산학하다가 기업분들 공저자 넣어준 적 있는데, 그냥 그러려니 함ㅋㅋㅋ 너무 신경쓰지 마세요

2025.04.02

저자에는 Funding만 하여도 저자로 넣을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있습니다. 산학과제를 너무 쉽게 생각하시는데, 담당자는 과제 기획부터 내부 심사 통과한 뒤에, 적절한 과제 담당자를 찾고 연결됩니다. 당신은 그저 그 과제 담당자의 일개 학생일 뿐인데 자의식 과잉이지 않나 생각듭니다. 어디 감히 일개 학생 따위가 당신 돈 주는 사람 연구실에 돈 투자하는 사람들한테 그딴식으로 평가하는지 알 수 없네요.

대댓글 2개

2025.04.07

Funding만 하여도 저자로 들어갈수 있다니 머리 털나고 처음 들어본 소리군요...그러니 논문 저자에 대한 윤리적 기준이 약화 되었죠. 저도 지금 학교 교수로 있으니깐..지금은 다른 사람 저자로 넣어주고 기업과제 받고 싶습니다. 하지만 박사 과정 학생일때 산학하고 있는 기업 분이 저를 콘택해서 저에게 본인을 저자로 넣길 push해서 매우 기분 안 좋았던 기억이 (20년 전 일입니다) 생생하네요..

2025.04.07

네이처만해도 저자 기여 파트에 펀딩이 있는데 아마 본인이 알고 있는 지식이 아직 부족한가싶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