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돈벌면서 연구하려가는거지 연봉1억도 못받으면서 열정이란 단어만으로 살아가는걸 낭만이라 생각하는사람 없을텐데
석사 월150.. 이거받고 대학원생활하는게 현타 ㄹㅇ
31 - 탄탄한 허리층이 받쳐줘야 되는건 당연하죠. 그런데 무시하는게 아니라, 혁신은 기업 톱니바퀴로서 묵묵히 일하는 직장인들이 하기 어렵습니다.
새로운 기술을 활용해 시장을 새로 만들고, 해외와 기술력으로 경쟁하는건 결국 한두명의 우수한 인재들 중심으로 돌아갑니다.
해외에서도 탐낼만한 박사급 인력의 경우, 한국인 인재가 1년에 몇명 배출 안됩니다. 인공지능분야 국내박사 졸업생이 최근에 많아졌지만, 그 중에서 우수한 국박은 몇 안되는데 잘한다고 소문난 사람은 거의 미국으로 갑니다. 결국 남는 사람이 없어요.
나머지 괜찮은 인재들도... 기술력 바탕의 스타트업 창업등으로 새로운 시도를 해야되는데, 그냥 국내 대기업 들어가서 평범한 직장인으로서 대기업의 부품이 되고 맙니다. 미국과 중국처럼 우수 인재들을 바탕으로 기술중심의 신시장 창출은 잘 안됩니다.
이게 무슨말이냐면, 지금 우리나라 학생들 지원 프로그램이 이미 탄탄한 허리층 두텁게 하는데 많은 역할을 하는데 그치고 있고, 혁신을 해 줄 수 있는 특출난 한두명은 잘 키워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최근 인공지능 중심의 산업은, 더더욱 소수의 천재들이 주도합니다 .괜히 메타가 최근 천문학적 금액으로 인재 영입을 하는게 아니에요.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34 - 지나가다 재밌어서 남겨봅니다.
최상위권 인재보다 허리 즉 다수의 우수한 박사 인재들도 더 대우해줘야 한다는 의미일까요?
아시는지는 모르겠으나 우리나라 대부분의 대기업에서도 같은 박사라해도 핵심인재로 분류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심지어 작성자님이 말하는 최상위권 인재는 입사 전부터 인사팀이 핵심인재 풀에서 정리하고 주기적으로 컨택하고 연봉도 훨씬 후하게 줍니다.
최상위권 인재는 왜 최상위권 인재로 분류될까요? 바로 리더 역할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분야의 전문성, 경험, 실적, 커리어 등 누구나 인정하고 결정을 따를 수 있다는 점에서요. 크게보면 상위권 박사들도 할줄 알고 쌓아갈 수 있지만, 결국 누구나 납득할만한 사람이 되는 것은 천지차이입니다. 그 차이를 알면 핀트를 바꾸는게 쉽지 않다는 것을 아실겁니다.
저는 산업을 이끌고 있는 수많은 상위권 우수 박사들이 최상위권 인재가 되기 위해 안주하지 않고 노력해야 인정받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최상위권 인재로 핀트가 맞춰져있는 것은 그들이 그만한 노력으로 그 자리에 있고, 역사로도 서수 엘리트들의 중요성이 검증됐으니까요.
어떤 조직이든 태양은 하나입니다. 누군가는 태양이 되려고 노력하는 사람이 있고 누군가는 자긴의 농작물을 빨리 자라게해달라고 열심히 해가 비추기만 바라고 있는 사람들이 있죠.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19 - 솔직히 그런 랩실 추천하지않음
원래 연구실이 이런건가요?
12 - 대학원 가는데 학점이 중요한가?
대기업다니면 그만큼 현장에서 굴러서 어지간한 학사보다 나을 수 있는데?
친구 학점 3.5인데 서울대 컨택이 되었다던데 거짓말..?
15 - 대기업 다닐 사람이면 인증이 되었나보죠..
친구 학점 3.5인데 서울대 컨택이 되었다던데 거짓말..?
16 - 님 애새끼같다는 뜻이요
친구 학점 3.5인데 서울대 컨택이 되었다던데 거짓말..?
45 - 교수님께서 신고를 많이 당하셨네요...
폐급 대학원생 특징 정리
20 - 대학원은 배우는 곳이 아니라 스스로 깨우치는 곳임
폐급 대학원생 특징 정리
22 - 배워서 깨우치라고 교수가 있는 거 아님? ㅋㅋㅋ 깨우치기만 하는 곳이면 교수는 왜 있음? 애들 실적 빨아먹으려고?
폐급 대학원생 특징 정리
34 - 11. 본인이 정해놓은 기준에 안맞으면 그 사람은 폐급이라생각하고 커뮤니티에 그 기준들을 올려서 공감받고 싶어한다
폐급 대학원생 특징 정리
31 - 이런 식으로 글 쓰는 사람들 저의가 뭘까요? 그냥 YK 적응 못해서 카이 가신 분 인 것 같은데 카이 입장에서 봐도 굳이 이렇게 글을 쓸까 싶네요. 저도 YK 있다가 주제 맞춰서 카이 온 입장이지만 YK가 다 그런 건 아니예요. 글쓴님 자신에게 맞지 않는다고 다 나쁜 곳은 아니예요.
yk에 있다가 카이 가니까 천국이 따로 없다
24 - 그러게요
YK와 K의 문제라기보단 랩바랩의 문제인거죠.
K에도 썩은랩이 많습니다.
yk에 있다가 카이 가니까 천국이 따로 없다
13
설카 vs ssh 자교
2025.03.29

3학년 여름때 자교 인기랩에서 학부인턴을 시작했습니다.
교수님이 그 분야에서 국내 다섯 손가락 안에 드시기도 하고,
Faculty, 출연연, 기업연구소 골고루 잘 보내는 랩이고,
랩에서 일하는 선배들 실적도 좋아서 컨택을 했습니다.
처음에는 여기서 석박까지 하려고 다짐을 하고 들어왔는데
막상 4학년이 되니 고민이 생겼습니다.
교수님이 너무 착하신게 문제입니다. 학생들에게 음.. 딱 잘라서 뭐라고 안하시기도 하고, 학생을 딱히 크게 가려받지 않으신다고 해야할까요.
그러다보니 연구실에 뛰어난 선배들도있지만 악성재고같은 선배들도 있습니다.
일을 열심히 하는 선배들이 다 몰아서 하고 배째라 하고 열심히 안하는 선배들도 있다는 점이고,
새로들어온 혹은 근접한 저년차 선배들 중에서도 그런 게 조금 나뉠 것 같은 분위기입니다..
이게 뭐라고 말해야 할지 모르는 불쾌함? 기시감? 같은게 느껴진다고 해야할까요...
말로 잘 풀어서 설명하기 힘들어서 장단점을 요약하겠습니다.
자교
장점: 교수님이 진짜 학생한테 친절하십니다. 또 교수님이 이 분야에서 명망있는 서로 다른 탑스쿨 두 곳에서 학사, 박사, 박사후연구원, 연구원하다 오셔서 두루두루 네트워킹이 잘 돼있으시고 거기로 주기적으로 펀딩받아서 열심히 하는 학생들 포닥을 보내주시고 그 경우에 해당하는 선배들은 교수로 임용된 것 같습니다.
단점: 재고관리가 안되고, 사람의 질이 SK보다 낮고 자교가 실험환경 같은 게 밀립니다. 그리고 교수님이 컨택하는 타교생들도 그냥 웬만해선 다 받아주시는 느낌입니다.
SK
장점: 마찬가지로 SK의 분야 인기랩이고, 교수님 두 분이 각각 분야 국내 다섯손가락 안에 드시고, 카이에 계신분은 국내 최고신 것 같습니다. 또 학생 퀄리티가 더 좋습니다. 그쪽 인기랩이다보니 그쪽 학교에서도 우수한 학생들로 득시글 거립니다.
단점: 음.. 솔직히 그쪽에 대해 잘 모릅니다만, 제가 우리학교에서 뛰어났다 하더라도 거기에 가면 우수한 학생일까 하는 걱정이 있고, 그쪽 교수님들이 해외 포닥 펀딩을 잡았을때 나랑 자교출신 학생을 저울위에 올려주시긴 할까 하는 걱정도 있습니다.
학점은 잘 받았고 여름에 조기졸업할 예정이라 고민이 많습니다.. ㅠㅠ
자교는 전액장학금이고 인건비는 석사초 150~ 박사 고년차 300~ 이정도 되고 타교는 모르겠습니다.
저는 지거국이상 Faculty 혹은 경력직으로 기업 주요 직무(임원급 인사) 맡아서 열정적으로 살고싶습니다.
멍청한 질문 죄송합니다.. 근데 진짜로 고민입니다.
용의 꼬리가 되니 너무 힘듭니다(하소연 글) 명예의전당 67 34 28230
연구실을 옮기는 것에 대하여 명예의전당 153 33 25404
나는 포항살이 대만족 명예의전당 140 79 54753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근데 학계 있다보면 진짜 썩었다는 생각 안드냐?
49 -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1172 - 석사 월150.. 이거받고 대학원생활하는게 현타 ㄹㅇ
36 - 랩 차이가 아니라 대학 차이는 실존합니다
71 - 대한민국 학계가 답이 없는 이유
22 - [속보] AI 입학정원 증원 빔 ㅋㅋㅋㅋㅋ.jpg
70 - 무능력한 저에 대해서 생각할 때마다 힘듭니다.
13 - P는 이제 별로인가요...?
22 -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61 - P에서 공부할 수 있는게 너무 감사한 요즘입니다.
29 - 스윗한 척 하는 남자 교수님 특징
64 - AI 스타펠로우십 선정 대학 목록
13 - 김박사넷, ‘연구자 커뮤니티’라는 정체성을 잃고 있습니다
8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21 - 앙대 0년차 석사 생활 간략한 후기
8 - 연구환경이 좋은게 꼭 실적으로 이어질까?
11 - 회사다니다가 대학원 진학하려는데 교수님이 좋아하시려나요
14 - 포스텍 ㅅㅈㅇ 교수님
7 - 원래 연구실이 이런건가요?
12 - 친구 학점 3.5인데 서울대 컨택이 되었다던데 거짓말..?
18 - 폐급 대학원생 특징 정리
19 - 대학원 온게 잘못된 선택이었나 싶음
11 - 학부 인턴 잘라버릴까요
15 - 과제 연구 주제랑 학위 연구주제
6 - yk에 있다가 카이 가니까 천국이 따로 없다
9 - 석사 쫓아내는 방법 있나요?
11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재수로 풀펀딩 합격 "시험 점수는 그대로, 나만 바꿨다"
7 - 근데 학계 있다보면 진짜 썩었다는 생각 안드냐?
49 -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1172 - 석사 월150.. 이거받고 대학원생활하는게 현타 ㄹㅇ
36 - 랩 차이가 아니라 대학 차이는 실존합니다
71 - 대한민국 학계가 답이 없는 이유
22 - [속보] AI 입학정원 증원 빔 ㅋㅋㅋㅋㅋ.jpg
70 - 무능력한 저에 대해서 생각할 때마다 힘듭니다.
13 - P는 이제 별로인가요...?
22 -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61 - P에서 공부할 수 있는게 너무 감사한 요즘입니다.
29 - 스윗한 척 하는 남자 교수님 특징
64 - 김박사넷, ‘연구자 커뮤니티’라는 정체성을 잃고 있습니다
8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트럼프 시대, 미국 석박사 유학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생존 전략
90 -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21 - 앙대 0년차 석사 생활 간략한 후기
8 - 연구환경이 좋은게 꼭 실적으로 이어질까?
11 - 회사다니다가 대학원 진학하려는데 교수님이 좋아하시려나요
14 - 포스텍 ㅅㅈㅇ 교수님
7 - 원래 연구실이 이런건가요?
12 - 친구 학점 3.5인데 서울대 컨택이 되었다던데 거짓말..?
18 - 폐급 대학원생 특징 정리
19 - 대학원 온게 잘못된 선택이었나 싶음
11 - 학부 인턴 잘라버릴까요
15 - yk에 있다가 카이 가니까 천국이 따로 없다
9 - 석사 쫓아내는 방법 있나요?
11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