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저 기사 읽은거 맞음?
결국 연공서열 중심의 호봉제 개선하고
직급과 직무 우선주의인 직무급제 시행해서 정년 늘려도 경영부담 안되게 바꾸고 실력과 직무에따라 임금 더 받게 바꾸겠다는 기사인데 저걸보고
석사=박사라고 결론내는거임?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26 - 기사댓글이나 유투브댓글이나
제목만 읽고 욕하는게 요즘 대부분인데
심지어 봇댓글이 난무하고 죽은 인터넷 이론도 도는 요즘 세상에 그런걸 믿으시나요?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12 - 팩트는 MDPI 들고 석사졸업해도 잘한거임 ㅋㅋ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20 - 환경주의자 LGBT 이런거 좋아하시나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26 - 환경주의자는 일정부분 동의하는부분이 있는데요
LGBT는 개인의 취향으로 존중정도만 합니다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0 - AI를 연구하고 있긴 하지만 동의합니다 과학 기술 발전 과정 중 소외된 부문들에 대해 눈을 돌릴 때가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5 - 동의합니다... 언젠가부터는 필요에 의한 발전이 아니라 작성자님 말씀처럼 '발전을 위한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2 - 정말 공감합니다. 과학기술을 연구하는 사람 입장에서 인문학적인 지식도 많이 알아야되는거 같아요. 뭐든 “왜”가 빠진 발전은 결국 파멸을 불러 올거라고 생각합니다.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1 - 개인의 입장에서 변화가 위기로 느껴지는것도 자연스러운 일이지요. 하지만 인류의 과학/기술적 진보수준이 지금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기후, 식량, 질병 위기등에 비추어볼 때 지속가능한 구조를 만들기 위한 충분한 기술이 있다고 볼수는 없어요. 현대에 부각되는 문제들은 대부분 진보의 부작용으로 인한 것이지만, 더이상은 문제로 여겨지지 않는 과거에 제기된 문제들에 비추어볼 때 여러 방면에서 진보는 여전히 필요합니다.
어떤 진보가 더 중요한가에 대해서는 위 댓글들처럼 다양한 방향성에 대한 성찰이 있어야하고, 실제로 많은 기술이 그러한 성찰 위에서 개발되지요.
자본주의와 혁신은 이러한 진보를 달성하는 방법들 중 알려진 가장 효율적인 시스템이죠. 효율성이 전부는 아니니까 다양한 목소리가 필요한 것이겠고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1 - 과학기술이 발전해온 양상을 살펴보자면, 사실 과학에 인류 전체의 복지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적이 가미된 건 극히 최근 들어서의 일이 아닌가 싶습니다. 당장 칼세이건의 저서 코스모스에서도, 고대 과학자들이 인류의 안녕을 고민했다는 언급은 없었죠. 때문에 인간이 과학이라는 행위를 하는 가장 본질적인 이유는 미지에 대한 탐구와 이해 그 자체에 가깝다고 봅니다. 오히려, 이 당시 사람들의 행복과 심신의 안정을 위해 힘썼던 사람들은 종교인이 아니었을까 해요.
고대를 지나, 인류사의 여러 시점에 과학자들이 등장하죠. 데카르트, 오일러, 뉴턴, 갈릴레오 갈릴레이 등, 수많은 사람들이 과학의 발전에 기여하지만, 그것은 인류의 행복을 위해서라기 보다는 학문적 호기심과 성취욕에 의한 업적으로 보입니다.
중세를 넘어 근대로 오면, 과학이 인류 전체를 위한 학문이라는 교과서적인 말에 의구심을 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방직기의 자동화를 필두로 이루어진 산업 혁명은 인도를 영국의 식민지로 전락시켰고, 이후의 극적인 산업화는 러다이트 운동이 촉발될 정도로 노동자들을 곤궁하게 했죠. 그런가하면 하버 보슈라는 인간은 살상용 독가스를 만들고는 노벨상을 받았습니다.
물론 인류의 발전을 위해 개발된 기술들도 다수 있지만, 그러한 예시들이 인류가 과학을 연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성을 대변한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최근에는 오히려 누군가의 이권을 위해 추구되는 경향이 강하죠. 기술 자체는 가치중립적이라는 말들도 많이 합니다만, 이는 기술이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담기는 의미가 달라진다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고 봅니다. 애초에, 어떠한 문맥도 없이 고유한 의미를 갖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건 그냥 말장난에 불과합니다.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2 - 깨시민인척 하지만 본인의 능력 부실을 저주하며 빠르게 발전하는 세상을 저주하는 사람들은 여전히 많다는 점 잘 알았습니다.
부족한 것은 잘못이 아닙니다. 비슷한 사람들과 즐겁게 살아가시면 됩니다. 다만 이상한 신념을 구구절절 설파하며 정상인들의 노력하는 사회를 병들게 하지말아주세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0 - 출연연같은데는 잘모르지만 일반적인 기업에서는 정반대인거같은데요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10 - 요즘은 학부만 놓고 보면 SK YKP가 맞죠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12
설카 vs ssh 자교
2025.03.29

3학년 여름때 자교 인기랩에서 학부인턴을 시작했습니다.
교수님이 그 분야에서 국내 다섯 손가락 안에 드시기도 하고,
Faculty, 출연연, 기업연구소 골고루 잘 보내는 랩이고,
랩에서 일하는 선배들 실적도 좋아서 컨택을 했습니다.
처음에는 여기서 석박까지 하려고 다짐을 하고 들어왔는데
막상 4학년이 되니 고민이 생겼습니다.
교수님이 너무 착하신게 문제입니다. 학생들에게 음.. 딱 잘라서 뭐라고 안하시기도 하고, 학생을 딱히 크게 가려받지 않으신다고 해야할까요.
그러다보니 연구실에 뛰어난 선배들도있지만 악성재고같은 선배들도 있습니다.
일을 열심히 하는 선배들이 다 몰아서 하고 배째라 하고 열심히 안하는 선배들도 있다는 점이고,
새로들어온 혹은 근접한 저년차 선배들 중에서도 그런 게 조금 나뉠 것 같은 분위기입니다..
이게 뭐라고 말해야 할지 모르는 불쾌함? 기시감? 같은게 느껴진다고 해야할까요...
말로 잘 풀어서 설명하기 힘들어서 장단점을 요약하겠습니다.
자교
장점: 교수님이 진짜 학생한테 친절하십니다. 또 교수님이 이 분야에서 명망있는 서로 다른 탑스쿨 두 곳에서 학사, 박사, 박사후연구원, 연구원하다 오셔서 두루두루 네트워킹이 잘 돼있으시고 거기로 주기적으로 펀딩받아서 열심히 하는 학생들 포닥을 보내주시고 그 경우에 해당하는 선배들은 교수로 임용된 것 같습니다.
단점: 재고관리가 안되고, 사람의 질이 SK보다 낮고 자교가 실험환경 같은 게 밀립니다. 그리고 교수님이 컨택하는 타교생들도 그냥 웬만해선 다 받아주시는 느낌입니다.
SK
장점: 마찬가지로 SK의 분야 인기랩이고, 교수님 두 분이 각각 분야 국내 다섯손가락 안에 드시고, 카이에 계신분은 국내 최고신 것 같습니다. 또 학생 퀄리티가 더 좋습니다. 그쪽 인기랩이다보니 그쪽 학교에서도 우수한 학생들로 득시글 거립니다.
단점: 음.. 솔직히 그쪽에 대해 잘 모릅니다만, 제가 우리학교에서 뛰어났다 하더라도 거기에 가면 우수한 학생일까 하는 걱정이 있고, 그쪽 교수님들이 해외 포닥 펀딩을 잡았을때 나랑 자교출신 학생을 저울위에 올려주시긴 할까 하는 걱정도 있습니다.
학점은 잘 받았고 여름에 조기졸업할 예정이라 고민이 많습니다.. ㅠㅠ
자교는 전액장학금이고 인건비는 석사초 150~ 박사 고년차 300~ 이정도 되고 타교는 모르겠습니다.
저는 지거국이상 Faculty 혹은 경력직으로 기업 주요 직무(임원급 인사) 맡아서 열정적으로 살고싶습니다.
멍청한 질문 죄송합니다.. 근데 진짜로 고민입니다.
-
231 34 31657
연구실 뚝딱이가 되지 않기 위한 방법 명예의전당 329 19 60658-
132 23 22691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326 - 상처 입은 지방대 출신 분들께 드리는 글
271 - 이게 기분이 나쁜 게 정상인지 알려주세요
17 - 김박사넷좀 그만해라
21 - 요즘 학부연구생들은 예의가 없네요
41 -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27 - 리뷰논문 도움되는지 궁금합니다
3 - 제가 머리가 좋진 않지만 갈리레오 갈리레이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겠어요
6 - AI 탑티어 논문은 솔직히
3 - 다들 책으로 공부도 하시면서 연구하시나요?
3 - 번아웃 교수님
3 - (혐주의) 의사집단은 의대생부터가 걍 좃댓네
17 - GPT가 학부생 대학원생 수준을 끌어올린다
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26 -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32 - 좋은 논문을 적게 내는 연구실
11 - 타대학 교수님과 컨택은 됐는데, 입시 자체가 걱정돼요(??)
8 - ssh 자대 생 많이 없는
11 - 지거국 석사 월급..
8 -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13 - 못하면서 열정적인 게 제일 끔찍한 폐급이라던데
11 - 지도교수님이랑 말이 1도 안통해요.
12 - 반도체 회로설계를 희망하는 아무것도 모르는 2학년 학생 질문 받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8 - 집단 지성이 필요해요!! (지도 교수 범죄자 됨)
9 - 창원대학교 ㄱㄱ 공학부 박 ㅁ ㄱ 교수는 도대체 ...
7 - 교수님 너무하십니다 저는 단지 교수님께 피해를끼치고싶지않아서 찾아간것뿐입니다..
10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326 - 상처 입은 지방대 출신 분들께 드리는 글
271 - 이게 기분이 나쁜 게 정상인지 알려주세요
17 - 김박사넷좀 그만해라
21 - 요즘 학부연구생들은 예의가 없네요
41 -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27 - 리뷰논문 도움되는지 궁금합니다
3 - 제가 머리가 좋진 않지만 갈리레오 갈리레이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겠어요
6 - AI 탑티어 논문은 솔직히
3 - 다들 책으로 공부도 하시면서 연구하시나요?
3 - 번아웃 교수님
3 - (혐주의) 의사집단은 의대생부터가 걍 좃댓네
17 - GPT가 학부생 대학원생 수준을 끌어올린다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유학 고민
56 -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26 -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32 - 좋은 논문을 적게 내는 연구실
11 - 타대학 교수님과 컨택은 됐는데, 입시 자체가 걱정돼요(??)
8 - ssh 자대 생 많이 없는
11 - 지거국 석사 월급..
8 -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13 - 못하면서 열정적인 게 제일 끔찍한 폐급이라던데
11 - 지도교수님이랑 말이 1도 안통해요.
12 - 반도체 회로설계를 희망하는 아무것도 모르는 2학년 학생 질문 받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8 - 집단 지성이 필요해요!! (지도 교수 범죄자 됨)
9 - 교수님 너무하십니다 저는 단지 교수님께 피해를끼치고싶지않아서 찾아간것뿐입니다..
10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