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논문 내면서 스스로 좋지 않은 주제 선택한 것에 대해 후회 중입니다. 실리콘 소자/설계주제인데 관련한 분들은 아시겠지만 저희 분야에선 IF가 그리 높은 저널이 없습니다. 이미 어지간한 연구는 다 됐고 양산단계에서도 끝물이네요. 그나마 SK하이닉스덕에 다시 뜨면서 새로운 현상들에 대해 흥미가 생기지만서도 IF가 높진 않아 무슨 의미인가싶습니다.
임용을 목표로 Q1,Q2포함 7편을 썼는데, 제 분야에서 좋은 저널이지만 대부분 Q2에 IF도 3~5 정도네요 아무리 핏한 분야 공고가 떠도 결국은 인공지능이나 재료쪽처럼 인공지능분야에서 높은 IF논문쓰고오신 분들과 경쟁해야하는것으로 압니다. 아무리 정성평가에서 인정받더라도 결국엔 경쟁이 안될텐데, 혹시 비슷한 고민하신 분들이 계신지 어떻게 헤쳐나가셨는지 말씀부탁드립니다. 고민이 많은 요즘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1개
2025.03.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어차피 그 분야 최고 저널이면 인정 받음 별 상관 없음
대댓글 1개
2025.03.18
같은 분야에선 인정받을 수 있으나, 정량 지표에서는 분명 불리한게 사실이라 머리가 아픈 상황이네요
2025.03.18
저도 객관지표로는 좋은 점수 받기 힘든 분야를 하고 있어요. 임팩이 낮다고 해도, 똑똑한 사람이 깊게 고민하는 연구는 항상 울림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 비슷한 뿌리를 둔 사람들 사이에서 두드러지는 퍼포먼스를 보이면 언제든 기회가 있는 것 같아요.
대댓글 2개
2025.03.18
저도 말씀에는 크게 동의하는 바이나 세상이 그것들을 알아주려 노력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 것 같습니다. 혹시 정말 기회라고 생각하신 부분이 있으실까요?
2025.03.19
학계에서 끗발 좀 날린다 싶으면 객관지표가 나빠도 임용에서 적어도 서류탈은 안 시키려는 것 같고요,
본인만의 영역이 확실히 구축되어있으면 어다 가더라도 그걸로 먹고 살 길이 있습니다.
임팩 낮은 분야라고 주눅들지 마시고 그 안에서 본인만의 독보적인 전문성을 확보하는것이 좋습니다.
2025.03.18
인공지능은 저널 아니고 컨퍼런스 논문이라 IF가 없어요. 컴공은 저널이어도 3이면 엄청 높은 건데...
대댓글 1개
2025.03.19
대신 cs분야 if 인정되는 학회가 있어서 등급이 있죠
2025.03.18
참고로 IF는 인용기준이라 빠른 신기술분야는 IF 못봐요. 오래 된 것 인용할 수도 없어요.
대댓글 1개
2025.03.18
몰랐습니다 예를 잘못들었네요
2025.03.18
실리콘 소자에 아마 ieee edl 얘기하는걸텐데 그거 본인 연구실 가스라이팅이고 실리콘 소자라도 컨셉 좋으면 if 10중반대 잘만냄 아니면 iedm 내면 누구도 반박불가, 그리고 완전 재료쪽에서는 밖에서 볼때는 부러울 수 있는데 어차피 그들끼리 경쟁이라 단순히 수치 좋은 저널 잘나온다고 마냥 부러워할건 아님
대댓글 2개
2025.03.18
맞습니다. EDL APL TED입니다 IEDM 한편 있구요, 저희 교수님은 연배가 좀 있으셔서 그런건지 뭔지 아무리 설득해보려해도 IEEE계열만 내려고 하십니다. (fellow유지용) 궁금한건, 재료적인 장점이 가미된 소자/어레이로 IF높은 곳에 쓴사람과 저와의 경쟁력인대요, 어떻게생각하시나요
2025.03.19
뽑는기관의 그 당시 취향에 따라 달라지는데 정통소자 뽑겠다하면 edl apl만 가지고도 네이쳐 자매지 쓴 경쟁자들 제치고 교수임용 될수도 있고 실적 수치만 신경쓰겠다하면 high if 보유자들에게 밀릴수 있음. 후자인 경우를 걱정하는거 이해하지만 전자인 경우도 많고 재료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마찬가지로 전자인 경우는 쳐다도 못봄. 현명한 솔루션은 밑에 다른 사람도 적어놨지만 edl apl 모으면서 10중반 이상 저널 한편씩 쌓아두면 그 누구도 태클 못거는 사람되는거 가능함. (정통소자도 하면서 상위 저널도 출판 가능하므로) iedm 한편 있으면.. 잘알겠지만 한국에서 iedm내는 연구실 거의 한손가락 안이라서 그 자체로도 대우받음.
2025.03.19
저도 유사한 고민이 있습니다, 아무리 IEEE 계열 선호하셔도 Nature 자매지 급 이상은 허락하실테니, 최대한 Nat Comm 이상으로 대표실적을 한두개 이상 만드시는게 최선이라고 생각합니다!
2025.03.19
실리콘소자시면 실리콘소자하는분들끼리 경쟁입니다.. 보통 if 높은 저널에 차세대반도체하시는 분들이 주로 시도하시는데, 여긴 차세대 반도체분들끼리 경쟁하는거구요.. (물론 실리콘소자로 high impact저널에 주로 내시는분들도 있죠). 임용은 분야 공고가 크게 나서, 사실 실리콘반도체인지 차세대반도체인지 외부에서 알기어려워요. 그래서 제 생각엔 하시던대로 하셔도 임용에 큰 문제가 안될것같아요
대댓글 1개
2025.03.19
동일분야 분들끼리 경쟁할거라 말씀하시는것처럼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2025.03.19
저도 비슷한 고민 많이 했었는데, 결국 IF만큼이나 연구의 독창성이나 실적의 일관성도 중요하게 보더라고요. 실제로 임용된 선배들 보면 IF높은 타 분야랑 경쟁해도 연구주제의 명확성과 강점을 잘 어필해서 좋은 결과 얻은 경우 많았어요. 너무 IF에만 스트레스 받지말고 본인 분야에서의 전문성을 더 강조하는 방향으로 가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2025.03.19
솔직히 IF 신경쓰이는 건 인정하는데, 어차피 분야 특성이라 어쩔 수 없음 임용 경쟁 빡센 건 사실이지만, 핏 좋은 공고 나오면 결국 전공 적합성도 중요해서 무조건 AI나 재료랑 비교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함 오히려 최근 산업 수요 덕에 실리콘 쪽 수요 올라가면 학계도 다시 주목할 가능성 있음 그리고 IF 낮아도 citation 많거나 연구 임팩트 좋으면 정성평가에서 충분히 먹히는 사례 많음 일단은 본인 연구 탄탄히 하고, citation이나 산업 연계 쪽으로 포인트 잡는 게 현실적인 방법인듯 어차피 지금 와서 분야 바꾸기도 애매하니까 최대한 강점 살리는게 답이라고 봄
2025.03.19
어자피 임용 분야가 달라서 다른 분야랑 경쟁 안하는데요?
2025.03.20
ㅎㅎ 저희 학교는 실리콘 소자 하시는분이 없어서 못 모시고 있는데요…
2025.03.25
안녕하세요. 저도 비슷한 고민이 있어 미치겠습니다. 저는 이제 실리콘 소자랩 1년차인데, 자퇴하고 재료공학과랩으로 가야하나 너무 고민이 됩니다... Iedm 까지 쓰신 분까지 같은 고민을 하신다하니 더 심화되네요. 만약 1학년이라면 글쓴이 님은 신물질 소자로 바꾸실건가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대댓글 1개
2025.04.06
저도 아직 아무것도 모르지만, 연구실에서 여러 팀이 있고 주제를 바꿀 수 있다면 바꿨을 것 같네요. 제 분야끼리의 싸움이다라는 생각으로 빅페이퍼 한편 쓰려고 계속 열심히 하곤 있지만 한계가 좀 보입니다. 결국엔 신물질/재료와 코웤은 필수로 보여요. 그래도 전 끝까지 가볼 생각이지만, 작성자님은 벌써 맘이 흔들린다면 진지하게 더 연구적인 주제로 생각해보는 것도 좋아보입니다.
2025.03.18
대댓글 1개
2025.03.18
2025.03.18
대댓글 2개
2025.03.18
2025.03.19
2025.03.18
대댓글 1개
2025.03.19
2025.03.18
대댓글 1개
2025.03.18
2025.03.18
대댓글 2개
2025.03.18
2025.03.19
2025.03.19
2025.03.19
대댓글 1개
2025.03.19
2025.03.19
2025.03.19
2025.03.19
2025.03.20
2025.03.25
대댓글 1개
2025.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