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나 인하대 혹은 기타 경기도에 있는 대학교들은 수도권 혹은 지거국과 비교했을때 펀딩이나 과제수주가 어떤편인가요??
지거국과 비슷하게 지역과제를 다가져올수 있는지 혹은 수도권과 경제해야하는지 궁금하고
둘째로 학생수준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02.01
지방 지역 과제 당연히 불가능. 서울 경기권과 경쟁해야하고, 지방 트랙 같은 이점이 없어서 과제 수주 난이도 또한 지거국에 비해 높다고 할 수 있음. 학생 수준은 학부생 경우 상위권 학생들은 지거국 이상 레벨이면 다 비슷하다고 판단됨. 다만, 상위권 학생들은 자대 대학원 진학을 꺼려하기 때문에 대학원생 간 수준 편차가 좀 있음. 아주대는 연구 잘하는 교수님들도 꽤 있어서 이런 랩은 논외임.
2025.02.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신진 때는 교수 능력으로 과제 잘 따와도 학생들 수준이 낮으니 실적 내긴 힘들고 연차 쌓일 수록 과제 따긴 더 힘들고 악순환임 처음 3년 안에 최대한 실적 뽑아서 이직 못 하면 연구랑은 멀어진다고 보면 됩니다
2025.02.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주대 잘하고 실적 잘 나옴
대댓글 1개
2025.02.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과제 따는 것에는 이점이 딱히 없어서 교수가 잘해야함 컨소시엄 잘 찾고
2025.02.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잘 하시는 분들은 잘 하고 아닌 분들은 설렁설렁 하시고 뭐 어디나 다 똑같지요. 전반적인 수준은 SKP급은 안 되겠지만요. 기본적으로 상위 10위권 밖 대학에서는 교수가 하드캐리해야합니다. 저희 분야는 아주대 인하대 아주 잘 합니다.
2025.02.01
저희 분야 아주대 잘한다고 생각합니다. MRC SRC 경력도 있고요.
2025.02.01
학생수준은 요즘은 기대이하죠. 열심히하는 몇 외에는 기대안하시는게 낫죠. 실적 욕심 많은데, 자동사냥 가능한 대학은 연대까지만 그래도 기대할만하다고 하시던데요. 그 외 대학은 똑똑한 학생만 받아서 돌리는거 아니면 교수님 단독으로 연구하는게 훨씬 낫다고합니다.
2025.02.02
학생 수준은 학교 이름만 보고 들어오는 학생들 때문에 지거국보다 약간 낮을 수는 있겠지만 큰 차이 없어요.
2025.02.01
2025.02.01
2025.02.01
대댓글 1개
2025.02.01
2025.02.01
2025.02.01
2025.02.01
2025.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