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본인이 잘 하면 그걸로 된 것이지 괜히 댓글에서 열등감 팍팍 묻어나네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12 - 랩미팅에 조급하지 마십시오 디펜슨가요? 디펜스가 아니라면 본인의 생각, 논리가 이미 다른 사람이 생각했다는 것 입니다
글쓴이가 그 글을 보고 생각한 것도 아니며 혼자서, 가지고 있는 지식으로 특정 가정을 산출 하였다 그러나 이미 논문화 되어 있다 이 얼마나 멋진 일인가요
제가 생각한 연구가 이미 나와있네요 하하…
12 - 위에 댓글보고 충격받았는데 공저자를 저렇게 막 끼워넣고 그거에 대한 문제의식이 전혀 없는 랩이 많나요? 몇년전에 난리였던 논문 품앗이랑 다를게 없는데요.
학생 입장에서 강하게 주장하기 어려운 상황인건 이해하지만 최소 저자를 이렇게 남발하는게 연구윤리적으로 잘못됐다는건 인지하고 계셔야합니다.
저자 선정은 교신의 권한인가요?
11 - 지방에 박혀서 시야가 좁으니 이런 이야기도 당당하개 할 수 있는게 제일 장점인듯
인서울 출신들이 모르는 지거국의 메리트
27 - 원고도 메소드 부분은 거의 전적으로 제가 다썼거든요
연구윤리나 저자 정하기를 엄격하게 적용하면 이게 더 큰 문제고 원글자 1저자 못 받아요.
본인은 좋은게 좋은 식으로 일저자 가져가면서 공저자 선배들 들어가는건 이렇게 길게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과는 같이 일하고 싶지 않네요.
저자 선정은 교신의 권한인가요?
10 - 민사소송이라는 제도가 있습니다만...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0 - 디지스트 판박이네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2 - 평생 뒤통수나 치면서 사시길 바람
석사진학 약속하고 인턴 1년했는데 타대가면 안되나요..
17 - 상심이 크시겠지만 그냥 개인의 실수인 것 같습니다...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24 - 서울에 있으면 시야가 넓다고 생각하는게 더 웃김
인서울 출신들이 모르는 지거국의 메리트
13 - 저 정도면 누가 뒷문열고 들어왔을거라 생각이 자연스레...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0 - 행정대학원을 목표로 하신다니 다른 학교 가셔서 이 경험을 바탕으로 '행정실수와 사후대응'에 대한 연구를 하시고 논문을 쓰시면 좋을 듯 합니다.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1 - 애처럼 구는걸 알면 상대방을 배려해주세요. 대학원생이나 됬는데 스스로 해결하고 고민하세요. 그게 연구입니다.
진짜 진짜 도저히 고민하고 안되는 부분을 정리하고 깔끔하게 메일이나 미팅 때 질문하고 그런것도 능력입니다. 하나 막힌다고 물어보는게 아니고, 하나 막히면 다른 부분 진행했다가 또 막히고.. 그런걸 잘 정리해놓으셨다가 기회 될 때 물어보는겁니다. 교수의 시간하고 학부생의 시간하고 과학 발전 측면에서는 가치가 하늘과 땅차이 입니다.. 남의 시간 귀한줄 아세요.
논문쓰다가, 논문읽다가 이해안된다고 모르겠다고 쫄래쫄래 교수님방 가거나 메세지 보내는건 초딩도 아니고..
아무리 교수님이지만, 물론 열심히 하고 배우려는 자세를 가진 제자가 좋으시겠지만, 뭐든 과하면 안좋습니다.
글쓴이도 스스로 깨우치고 공부하고 연구하는 방법을 기르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이제 중고등학생, 심지어 학부생도 아니잖아요?
백번 양보해서 석사학생이면 뭐.. 어차피 학계에 평생 있을 사람도 아닐 확률도 크고 금방 졸업하니 괜찮은데,
박사과정이라면 잘못됬습니다. 교수님이 착하셔서 그냥 받아주시는거 같은데 글쓴이한테도, 교수님한테도 전혀 득 되지 않는 행동입니다.
박사 학위를 얻으시고 싶다면 우선 마인드부터 뜯어 고치셔야겠습니다. 물론 배움의 열정은 계속 유지해주시고요.
다른 학생들은 교수님이 일을 너무 많이시키셔서 문제라는데
13
고민이 있습니다
2025.01.31

현재 저는 지방대에서 건축공학전공 졸업예정정이고, 학부연구생을 1년 9개월 정도 하고 자대학의 대학원으로 입학 예정입니다.
건축공학 전공 특성상 건설사로 취업해서 현장경력을 먼저 쌓는 것이 중요한걸로 알고있습니다.
건설업은 현장경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들었습니다. 요즘에는 쌩신입보다는 경력 있는 중고 신입을 주로 채용하고 있구요
저는 건설 현장직이 아직 잘 맞는지도 모르겠고, 평생직으로 삼기도 싫습니다..
그래서 일단 학사졸업 취업으로 건설사를 가기 보다는, 인서울 대학원 석사를 졸업하여 현장으로 취업 후 경력 3년 쌓고 CM 직종 또는 시설직으로 이직하려고 합니다. 석사 학위는 이직 시에 유리하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건설 경기가 좋지 않은 현재, 곧 바로 취업보다는 이직을 위해 투자하는 느낌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자 합니다.
그렇다고 제가 무작정 세탁을 위한 석사 진학은 아니고, 하고싶은 분야는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소속된 대학원의 연구 분야는 제가 원하는 분야가 아니며, 진학하고싶은 인서울 대학원에서는 제가 원하는 분야가 있습니다. 하기싫은 연구 붙잡아봤자 흥미를 못붙일 것 같아서 더 좋은 환경에서 원하는 연구를 하고싶은 바램도 큽니다.
더 큰 고민은, 제가 만약 인서울 진학에 성공해서 잘 버틸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가장 큽니다. 큰 학비를 들여 올라가서 애매한 성과를 내어 졸업을 하게 될까 하는 걱정이 있습니다. 인서울 대학원은 공동 프로젝트 업무로 인해 개인 연구 및 성과를 내기 어렵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차라리 상대적으로 개인 시간이 여유있는 자대학원에서 스펙을 더 쌓고 더 많은 성과를 내어 취업 준비를 하는 것이 맞나...하는 생각도 듭니다..
이런저런 고민 때문에 인서울 대학원에 대한 진학 결정이 서지를 않아 이렇게 글을 써봅니다.
제가 하고있는 생각이 맞는 방향인지 건축공학 선배님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꾸벅)
또 제가 인서울(SKY 라인, 한양대 포함) 진학 시 학비에 대한 부담이 큰데, 다들 학비는 어떻게 마련하고있는지 궁금합니다. (조교 제외)
현재 스펙
1) 학부 학점 : 4.31/4.5 (평점) 4.30/4.5 (전공) --- 차석 졸업
2) 프로젝트 경험
- 대한건축학회 주관 연구 프로젝트 우수상 (참여연구원)
- 졸업작품전(졸업논문) 대상
3) 토익 830점
4) 학부연구생 1년 9개월 (25.02 기준)
자대 학부 연구생 김GPT 0 3 6135
대학원 스펙 김GPT 0 3 5417-
2 11 2626
연구실 관련 질문 있습니다. 김GPT 1 9 1027
대학원 진학 고민 들어주세요 ㅠㅠ 김GPT 0 10 1604-
3 15 1634
대학원 진학에 대한 고민 김GPT 1 3 2603
취업을 위한 대학원 석사 김GPT 0 2 3282
취준하다가 김GPT 0 6 607
대학원생은 왜 돈에 대해 초연해야함? 명예의전당 178 90 38605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명예의전당 1102 72 200414-
311 34 8569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학부도 대학원도 학벌이 낮은(?) 사람의 응원
308 - 진짜 경북대 부산대 출신은 뭐가 있다
138 -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53 - 학연생의 국제 학회 후기
20 - 내 꼰머적 사고로는 인턴이
25 - 대통령장학금 붙었다 꺄아악
39 - 생각해보니 결혼은 언제하죠
10 - 카이스트 전산학부 코딩테스트
5 - 학위 과정 중 불합리함을 느끼며 학자분들께 자문을 구하고자 글을 작성합니다.
6 - 박사 진학 하려는 내가 나르시스트 상사에게 낚이다! (야근하다가 빡쳐서 쓰는 글)
18 - 학생들 이뻐 죽겠네.
18 - 올해도 찾아온 스승의 날, 학생들에게 부끄러움을 배웁니다
29 - ai탑티어는
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경북대가 좋은 대학교인가요?
38 - 연구실 내 인간관계
19 - YK 전전 연구실 고민
16 - 인공지능 학회, 저널중 어떤거 쓰나요?
9 - 제가 생각한 연구가 이미 나와있네요 하하…
9 - 인서울 출신들이 모르는 지거국의 메리트
25 - 저자 선정은 교신의 권한인가요?
19 -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3 - 석사진학 약속하고 인턴 1년했는데 타대가면 안되나요..
12 - 리비전 메일 왔는데, 긍정적인 신호가 있을까요?
8 - 포스텍 ai 대학원 합격했네여
7 - 다른 학생들은 교수님이 일을 너무 많이시키셔서 문제라는데
8 - ai 탑티어 논문 제출시
7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학부도 대학원도 학벌이 낮은(?) 사람의 응원
308 - 진짜 경북대 부산대 출신은 뭐가 있다
138 -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53 - 학연생의 국제 학회 후기
20 - 내 꼰머적 사고로는 인턴이
25 - 대통령장학금 붙었다 꺄아악
39 - 생각해보니 결혼은 언제하죠
10 - 카이스트 전산학부 코딩테스트
5 - 학위 과정 중 불합리함을 느끼며 학자분들께 자문을 구하고자 글을 작성합니다.
6 - 박사 진학 하려는 내가 나르시스트 상사에게 낚이다! (야근하다가 빡쳐서 쓰는 글)
18 - 학생들 이뻐 죽겠네.
18 - 올해도 찾아온 스승의 날, 학생들에게 부끄러움을 배웁니다
29 - ai탑티어는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이정도면 phd 어디까지 노려볼수있나요?
15 - 경북대가 좋은 대학교인가요?
38 - 연구실 내 인간관계
19 - YK 전전 연구실 고민
16 - 인공지능 학회, 저널중 어떤거 쓰나요?
9 - 제가 생각한 연구가 이미 나와있네요 하하…
9 - 인서울 출신들이 모르는 지거국의 메리트
25 - 저자 선정은 교신의 권한인가요?
19 -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3 - 석사진학 약속하고 인턴 1년했는데 타대가면 안되나요..
12 - 리비전 메일 왔는데, 긍정적인 신호가 있을까요?
8 - 다른 학생들은 교수님이 일을 너무 많이시키셔서 문제라는데
8 - ai 탑티어 논문 제출시
7
2025.01.31
2025.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