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AFM)의 impact factor (IF)가 Nano Letters 의 IF의 두 배 정도가 되었는데, AFM이 중국발 펌핑이다 뭐다라는 의견도 있는 것 같습니다. 다 필요없고 그냥 IF 순으로 가는게 맞는 걸까요?
고수분들의 의견 여쭙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5개
2024.12.24
닥전. 두 저널 논문 퀄리티는 크게 차이 안나는데 IF가 너무 심하게 차이나고 취업 시 이게 훨씬 중요합니다.
2024.12.25
Nano letters
2024.12.25
Nano Letters는 ACS에서 최초로 발간한 나노분야 저널로 나노 분야 붐에 의해 펌핑된 저널이다. 그 이후 나노 관련 저널이 우후죽순 생겨났고, 또한 나노 분야 외 에너지 환경 등 다른 분야가 주목받으면서 현재의 상태가 되었다. 비슷한 예로 EES도 생겨난지 얼마되지도 않아 IF가 하늘로 치솟았고 에너지, 환경이 주목받는 한 계속 올라갈 듯 하다. AFM은 Adv. Mater. 아래급으로 만들어진 재료분야 저널이다. 이전엔 Adv Mater 떨어지면 갔던 저널이다. 지금도 그렇게 취급되긴 하지만, 요즘은 Adv. Mater. 리젝되면 에디터가 더 낮은 급으로 트랜스퍼하라고 해서 AFM으로 투고하는게 어렵다. ACS와 Wiley는 둘다 전통있는 좋은 출판사다. Nano Letters가 좋은 저널이기는 하나, 나라면 AFM을 선택할 것이다. AFM은 재료분야쪽으로 좋은 저널이기도 하고, 앞으로도 더 펌핑될 저널로 판단되기에...
2024.12.25
자세하게 말하면 분야가 갈라진 것 같아요. Acs계열도 그냥 재료만 하면 if 높은데가 있습니다. 근데 acs의 nano 계열은 그냥 재료 뿐아니라 나노 물리 화학 쪽까지 걸쳐 있어서 그쪽 계열 사람한테는 if 높은 저널이지만 재료쪽 사람들한테는 그냥 퀄리티는 높지만 if 낮은 저널로 보기 쉬운거죠. 재료쪽 이시면 그냥 if 높은 쪽으로 (다 높기 때문에) 내면 될 것 같아요. 이렇게 다학제나 분야 걸처있는 저널들은 if 낮아서 학생들이 판단하기 어려운데, 해외에서는 그냥 커뮤니티가 인정하는 (am 계열이 인정 안받는다는 이야기가 아님) 저널에 그냥 출판합니다. (학계 사람들이 많이 읽는 곳에 출판해야 자기가 영향력을 미치기 때문, 단순 if높은 게 아니라)
2024.12.25
재료 분야는 최근 중국 자체 저널들(저자들 99%가 중국인)이 생기면서 재료 분야저널들의 IF가 낮아지고 있는거 같습니다 중국인들이 끼리끼리 인용해줘서 그런지 중국 자체 저널들의 IF도 높습니다. AFM IF도 그 이유로 좀 떨어지고 있는거 같습니다. 하지만 AFM으로 가야죠 AM AEM AFM 을 칭하는 "어드밴스드급 논문"이라는 용어가 생길 정도니까요
2024.12.25
취업할 땐 IF 크게 안봅니다. 분야를 보는게 크죠. AFM은 그냥 사기업 출판사 AM 하위 저널인걸 IF높여서 떼울뿐이죠. 학회지 역사와 전통 Reputation있는 저널이 IF보다 낫습니다. 퀄리티도 그렇구요 전 와일리는 마치 그냥 결과 전시하는 저널 느낌 많이 받습니다.
대댓글 2개
2024.12.25
그럼 나노레터는 뭐 있나? 최근 카이스트에서 나노레터 나온 초전도관련 논문은 재탕에 삼탕까지 해서 외국 학회에서 반 농담으로 리트렉 시켜야 하는거 아니냐는 말까지 나왔다고 들음. 십년전 PRB수준 연구해놓고 응용성 떡칠 ㅋㅋ 물리하는 애들아 양심이 있으면 ACS쪽은 그만 찝쩍여라. APS통과할 자신 없으니까 그림에 포토샵
예전에 나노레터가 엄청 좋은 저널이었고 지금도 상당히 좋은 저널인 건 맞는데 계속 나오는 말이지만 임팩트팩터 관리를 못하면 결국 투고하는 논문의 전반적인 질이 점점 떨어져서 실리는 논문의 질도 떨어지게 됨. 심사만 빡세게 하면 뭐하나 저자들이 더 높은 IF 저널 찍고 안되면 내려오는데. 우리나라나 중국 등이 그런 경향이 심하긴 하지만 결국 미국이나 유럽도 시간이 많이 지나면 전체적으로는 그렇게 되더라. IF 따위 신경 안쓴다던 전통적인 저널들 중에서 그렇게 망한 저널들이 상당히 많고 그래서 고르라면 AFM 내겠음. AFM이 엄청 인식이 떨어지는 신생저널도 아닌데 굳이 IF 많이 낮은 곳을 선호할 이유가..
2024.12.26
AFM 정통 학계에서도 나름 인정받는 저널임 Nature index 저널에 해당하는데, nature index 저널들은 대가들한테 if 상관 없이 분야에서 가장 좋은 저널들을 투표하라고 해서 뽑은 저널들임 즉, if 외에도 퀄리티로 학계 대가들한테 인정받는 좋은 저널들 중 하나임 추가로 nano letter도 좋은 저널인데 해외에서는 AFM >= Nano letters, 한국에서는 AFM > Nano letters임 즉 한국에서 자리잡으려면 무조건 AFM 내셈
2024.12.26
보통은 레터나 커뮤니케이션과 풀페이퍼로 구분하는데.. Wiley의 Adv. Mater와 ACS의 Nano letters가 커뮤니케이션 논문으로 네이쳐 자매지 다음급 정도의 저널이었고, 풀페이퍼로 Wiley에서 AFM, ACS의 ACS nano가 나왔는데, 유독 Nano letters만 IF가 떨어지긴했음. 본인 준비한 내용이 Full paper가 더 적합하면, AFM으로 가고, 커뮤니케이션이 적합하면 Nano letters로 가면 될 듯. (대체로 Nature xxx, Advanced Xxx, ACS xxx 이렇게 앞에 직관적으로 유명출판사임이 보이는 쪽이 멀리봤을때, 유리하지 않을까 싶긴함.)
2024.12.26
IF 순으로 가는게 맞습니다.
2024.12.26
IF 순으로 가는게 맞는다고 생각하면 IF 순으로 가면 됩니다.
2024.12.26
IF 순으로 가는게 맞긴 한데, 본인이 쓸 분야에 맞는 저널인지도 생각해야죠
2024.12.27
본인이 물리-화학에 걸쳐진 나노 쪽이라면 Nano Lett. 가 더 좋아보이고, 재료 쪽에 더 걸쳐졌다면 AFM이 더 좋아보입니다. 다 상관없고 general한 persepective를 원한다면 현재는 AFM > Nano Lett. 입니다.
대댓글 1개
2024.12.29
이것도 맞습니다 물리과면 AFM 보다 Nano Letters가 좋을수도요
2024.12.29
한국에선 실적 우선이라 닥 AFM이고 대가들은 nano letters인듯ㅋㅋㅋㅋ 근데 분야가 고려돼야 한다 생각함 우리 연구실은 바이오 뉴로쪽이라 여러 분야 주제가 있어 얘기해보니 생물/화학/재료: AFM >nano letters 물리/나노/소자: nano letters > AFM 근데 nano letter가 너무 명성대비 IF가 떨어지고 있어서 갈수록 AFM선호가 두드러질 것 같다는 의견!
2025.01.2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해외 포닥 생각 있으면 나노레터 쓰는게 맞습니다. 투고 난이도도 nano letters가 더 힘들어요
2025.02.01
와일리 대부분 그렇듯 어드밴 논문들은 중국이 압도적으로 많이 내는 저널이라 개인적으로 안좋아하지만..실적개꿀 ㅋㅋㅋ AM은 그래도 와일리 대표라 그런진 몰라도 좀 인정하는 분위기 같은데, 그 이하 저널들 몇 번 출판해보니 진짜 괜히 중국, 한국인들이 많이 내는게 아니구나 싶었음. 리뷰 프로세스 개엉망임ㅋㅋㅋㅋㅋ 할많하않. 그뒤로 어드밴 논문들 데이터들 잘 안믿음. 바로 위 댓글들에 동의함. Nano Lett.은 점수로는 설명하기 힘든 아우라가 있는 저널이라 생각함. 지금은 IF 많이 떨어지면서 자매지급들 시도하다 망한 데이터 간다 뭐다 해도 여전히 Nature/Science OA 자매지 바로 아래급의 탑티어인건 변하지 않음. 고로 난 Nano Lett. 에 한 표 (참고로 AFM도 material 분야에선 꽤 탑티어라 생각함)
대댓글 1개
2025.02.15
AM이 중국인 저널이면 NL은 한국인 저널 아닌가? ㅋㅋㅋ
특히 물리과에서 APS 계열 내기 쫄리는데 임펙트 체우고 싶으면 내는 곳으로 옛날부터 자자했는데.
2024.12.24
2024.12.25
2024.12.25
2024.12.25
2024.12.25
2024.12.25
대댓글 2개
2024.12.25
2024.12.25
2024.12.25
대댓글 3개
2024.12.26
2024.12.26
2024.12.26
2024.12.25
2024.12.25
2024.12.26
2024.12.26
2024.12.26
2024.12.26
2024.12.26
2024.12.27
대댓글 1개
2024.12.29
2024.12.29
2025.01.27
2025.02.01
대댓글 1개
2025.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