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google scholar 비교랑 연구실 고민

2024.12.17

4

1284

1번 교수님
서지정보(전체): 28784
h-index(전체): 85
i10-index(전체): 375

2번 교수님
서지정보(전체): 11124
h-index(전체): 52
i10-index(전체): 179

1번 교수님은 제가 하고 싶은 분야+비슷한 분야를 전체적으로 하시고 계시는데, 제 분야 쪽을 자세히 보면 제가 원하는 거랑 완벽하게 똑같지는 않아요. 2번 교수님 그냥 제가 하고 싶은 분야 그자체만 하시는 분이고..돈 생각하면 1번 대학원이 조금 더 싸요 집이랑 거리는 둘 다 비슷합니다. 두 연구실 분위기랑 포닥, 박사, 석사 수도 비슷해요. 여러분이라면 어디를 선택하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4.12.17

구글스칼라는 분야와 나이에 따라서도 달라져요.
비슷한 분야 비슷한 나이 여야 대략 비교 가능합니다.
구글스칼라 참고하는 것은 좋지만 멤버 수 대비 최근 논문 실적을 보는 것이 더 좋아요.

대댓글 1개

2024.12.18

이분 말씀이 정확합니다. 심지어 같은 연차여도 (주저자, 공동저자, 교신저자) 논문 의 구분도 필요하고, 그내에서도 (연구논문, 리뷰논문)의 구분도 필요합니다.
한예를 들면 로저스랩에서는 서로 저자품앗이 해줘서 논문마다 저자수가 20명이 됩니다. 로저스의 이름값까지 고려하면, 포닥을 2-3년하면서 본인이 주저자논문을 안써도 총인용수가 30~50k가 되는 마법이 많이 벌어집니다. 그렇다고 이런 사람들의 가치가 인용수처럼 올라가는건 당연히 아니죠.
심지어 self-citation등의 이유로 실적은 랩규모나 연차에 따라서 비례도 아니고, 거의 피보나치수열처럼 쭉쭉 올라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런이유들로 총인용수로만 그 사람의 연구수준을 판단하기는 아주 어렵고, 최근 교신/주저자로 썼던 논문들의 편수, 그리고 그것조차도 대학원생 숫자로 나눈값을 보는게 가장 정확합니다.
이런것들을 제하더라도 1번 2번 교수님 모두 연구실적은 상당히 뛰어나보입니다. 공동저자로 얼룩진 레코드가 아닌이상에는요.

2024.12.17

두분 다 매우 훌륭한 교수님인 것 같은데,
나이나 규모, 명성 모두 1번 교수님이 더 많고 크겠네요
아무리 대가라도 너무 바빠서 학생 마주치는 것도 힘들고 랩미팅도 한달에 한번 할까말까 하고 잘하는 한두명 말곤 방치하는 랩이라면 말짱 꽝입니다
말씀하신 분야, 과제 관련해서도 고려해야하고
교수님 인성, 인건비, 연구실 구성원(외국인 많은지, 규칙은 어떠한지) 등등 따져봐야할 것이 엄청 많아요

결론적으로는 본인이 잘 연구할 수 있는 환경에 가야죠
저 정보만으로는 우리가 이렇다 저렇다 판단할 수 없습니다
스스로 잘 판단하시길!

2024.12.18

실적 비교를 하고 싶으면 인용수보다 최근 본인이 주저자로 낸 논문을 찾아보시길.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