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미치겠습니다. re transformation을 진행하는데 "저만" colony가 안나와요

2024.12.12

16

1222

안녕하세요

제약회사에서 인턴으로 근무하는 대학교 4학년 학부생입니다

고민과 문제는 제목과 마찬가지로 re transformation을 진행하는데 저만 colony가 안나와요

사수분이랑 같은 조건에 진행을해도 유독 저만 plate에 colony가 안나와요

이유를 도저히 찾을수가 없어요

실험 방법에서 저의 실수가 있었다면 colony가 나오지 않는 이유를 금방 찾을거 같은데

사수님이 하시는 방법 그대로 카피해서 진행하고 있고, 사수님도 도대체 왜 안나오는지, 안 나올수가 없다고 제가 실험하는거 옆에서 봐보겠다고 같이 실험 해보자 말씀하셔서 사수님이랑 동시에 같이 챕터 밟으면서 진행해도 저만 colony가 잘 안나와요

그렇다고 제가 실험을 진행할때 막 장난친다던가 그런거는 전혀 없거든요

증명은 안되지만 주변에 계신 저희팀 다른팀 연구원분들도 저랑 실험을 몇번씩 같이 하고나면 제가 손이 좋다고 말씀하시고, 대학원도 꼭 가라고 말씀하시거든요

그런데, re transformation만 진행하면 이상하게 colony가 아예 안나올때도 있고, 막 1~5개 사이로 나올때도 많아요

지금까지 실험 진행하면서 제대로 사수님처럼 50개 이상으로 나온적은 몇번 없던거같아요

plate 말릴때도 사수님꺼랑 제꺼 제가 꺼내서 말리고 그러는데....

도대체 어디서 뭐가 잘못된걸까요..

이게 몇번을 이렇게 실패하니까 그냥 제가 손이 좋은게 아니라 똥손인거 아닌가 생각이 들어요

그래서 회사다보니까 실험을 해서 결과를 뽑아내야하는 기간이 정해져있어서

한 sample당 plate를 두장씩 꺼내서 만들거든요

근데 그러면 꼭 두장당 한장에서는 colony가 몇개 떠주는 바람에 다행히 다음 실험을 진행하고있어요

근데 언제까지나 이렇게 실험할 수는 없으니까요.. 사수분은 plate 마음껏 써도된다 너가 불안하면 두장 세장 네장 쓰고싶은대로 써도된다 라고 말씀하셔서

지금 당장은 두장씩 쓰고있는데....하...... 똥손인가..?

그리고, 인터넷 상에서는 cp cell이 잘 못 되면 안나온다고 말씀 하시는데, cp cell이 잘못된 경우는 전혀 없을거 같다고 생각이 들어요.
이유는. 일단 사수님도 제가 냉동고에서 꺼낸거 같이 사용하시고, cp cell를 만드시는 연구원분이 따로 계셔서 이상 없다고 생각이 들어요,
cp cell 녹일때도 ice위에 올려두고 천천히 해동하는 느낌으로 녹이거든요?

저 좀 도와주세요

지금 거의 몇달동안 머리통 깨지게 찾아보고 뭐해도 실험 방법에서 제 손이 문제인거같지 다른 요소들은 회사에서 만드는거로 사용하는거라서 전혀 문제가 없어 보이거든요

그리고 plate에 도말할때는 도말봉으로 안하고 비드로 깔고있어요 (이거는 그냥 번외인데 비드 넣고 흔들면서 도말할때 왜 저는 자꾸 plate에 비드 자국이 남죠...? 엄청 살살 흔드는거 같은데...그 비드 충격?자국도 저만 남아요...;;;;)

이상 간절해서 두서없이 하고싶은말 다 해버린사람의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나,,,,,댓글로 좀 알려주세요..ㅠ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4.12.12

흠 이것만 봐서는 잘 모르겠네요. 사수분이랑 다 똑같이 진행하는데 본인만 제대로 안 나오는거면 재료나 시약 문제는 아닐 거고 뭔가 본인의 사소한 실험습관, 행동 같은 게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비드를 너무 살살 흔들면 그것도 문제일 수 있어요. 균액이 충분히 플레이트에 도말되지 않으면 균액 도말 부위가 적으니 콜로니가 적게 뜰 수 있죠. 아니면 비드 흔들 때 비드가 플레이트 전체를 고루 지나가도록 잘 흔들어주시나요? 대충 흔들면 비드가 플레이트 가장자리만 따라서 돌기도 하거든요. 그것도 체크해보시고 균액은 도말할 때 플레이트당 얼마나 넣으시나요? 만약 10uL 이하로 소량 넣는다면 파이펫팅할 때 비드에 확실히 균액을 묻혀줘야하는데 균액이 비드에 묻는 걸 제대로 확인 안 하면 균액이 파이펫 팁에 표면장력 때문에 붙어있는 채로 딸려와서 그냥 팁 버릴 때 같이 버려질 수도 있어요. 그럴 때는 차라리 팁 끝을 비드에 닿을 정도로 갖다 대고 묻혀주는 게 좋죠. 하여튼 재료나 시약보단 본인의 습관적인 행동이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댓글 6개

2024.12.12

비드는 충분히 흔들어줍니다 사수분께서도 다 지켜보고 계셨는데 충분히 잘 흔들어준다고 하셨어요. 그리고 도말할때 처음에는 50ul했다가 안나와서 60하고 지금은 70까지 해봤는데 그래도 잘 안나와요,,
팀장님께 개인면담으로 말씀드려서 문제점 찾고있고 오늘은 팀장님이 하셨던 방법으로 진행해볼 예정입니다
그리고 잘 모르겠는데 팀장님께서는 파이펫팅을 하지말라고 하시더라고요
cp cell에 충격을 줄 수 있는 과정은 실험중에 힛샥말고는 없다고 하셔서..
제가 항상 모든 구간에서 뭔가를 분주할때 파이펫팅을 3~5번하는 습관이 있어서...이게 문제가 되는지는 모르겠는데
제 주관은 별로 중요한게 아니라서 말씀하신대로 한 번 더 진행 할 예정입니다

2024.12.12

바이오박사인데
컴셀은 파이펫팅 하지않고 가볍게 태핑이 좋으니 그렇게 해보세요

2024.12.12

해당 실험은 똥손이고 금손이고 할게 없는 너무나 간단한 실험이고, 본인습관 중 문제가 되는 습관이 있는 것입니다.

2024.12.12

파이펫팅 문제일 가능성이 있어보이네요. 컴셀에는 최대한 충격을 주지 않는 게 좋습니다. 태핑 몇 번이면 충분할거예요. 파이펫팅 하는 과정에서 팁 안에 액체가 들어갔다 나올 때 생각보다 압이 세서 컴셀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꼭 파이펫팅을 하고 싶으시다면 굉장히 천천히 하시면 괜찮을겁니다.

2024.12.13

어제 파이펫팅 안한고 탭핑으로 3번 4번정도 해서 진행했는데
오늘 또 결과가...안나왔어요
어떤 연구원분께서는 비드말고 스프레더로 해보라고 하시긴했거든요,,?>
제가 비드로 도말하는거는 회사에서 처음해보고 학부생 내내 스프레더로 할때는 아주 잘 나오긴했는데
이것도 문제가 될 수 있을까요..?

2024.12.13

회사에 영향을 주는 부분은 아니라서 문제점 찾고 결과 잘 나올때까지 계속 해보자고는 하셔서 감사하긴한데
다른 실험 잘하다가 RE TF에서만 자꾸 막히니..
DNA 따는거는 전자저울로 해봤는데 문제 없어 보인다고 하시기도 하셨고..
도말이 문제일 가능성도 있으니 확인해보자고는 하시더라고요

성격상 해결안되면 머리속에서 계속 생각하는 스타일이라
매일 매일 하루종일 이 생각만 하고있어요,,

2024.12.12

본인이 잘 안나온다고 해서 자기방식이 꼭 문제 있는건 아닙니다.. 그날 사용한 cp cell의 해동날짜 및 암피실린 포함된 LB배지의 신선함 등을 실험 전에 항상 체크해보세요

대댓글 3개

2024.12.13

cp cell이나 암피실린 배지는 연구원분이 만들어주신거 사용하는거고 ㅠㅠㅠㅠㅠㅠㅠ사수 연구원분은 동시에 진행해도 잘 나오셔서
일단 다음주 월요일에 같이 해보자고 하셔서
제가 놓치고있는 습관같은게 있나 같이 찾아보기로 했어요,.,

2024.12.13

아 그리고 해동은 실험 시작할때
배지를 클린벤치에 꺼내서 말리고 (대략 1시간)
CP CELL은 실험 시작할때 꺼내서 ICE에 올려둔 상태로 거의 한 15분 20분 충분히 녹을때까지 녹이고 있어요

2024.12.14

지금 제가 봤을 땐 크리티컬?한 부분은 비드 사용(저는 비드를 사용안해봐서 잘 모르겠지만.. 도말기를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false positive colony 문제 이렇게 예상합니다. 사수 분한테 사용하는 colony로부터의 plasmid 유무 확인을 해보셨는 지 말해보세요.

2024.12.13

어차피 옆에서 직접 보지 않는 이상 모릅니다. 사소한 실험 습관 같은 게 아마 문제겠죠. 그런 에피소드 정도는 누구나 에게 있을 수 있고, 주위 분들이 도와주실 의지가 강하신 것 같으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주위 분들의 참관 하에 주의깊게 실험 해 보시면 금방 이유를 찾아 낼겁니다.

대댓글 1개

2024.12.13

배우고 나서부터는 DNA만 받고 바로 혼자서 업무 시작하긴했는데
어쩔때는 나오고, 어쩔때는 안나오고 반복해서 스트레스네요,,
COLONY가 나와도 막 10개 미만 이렇게만 나오고, 한개 나오고
그래도 연구소에 계신 연구원분들께서 다들 원인 찾으려고 도와주시니까 너무 감사하더라고요
근데 문제는 다들 저한테 손이 좋다 실험 잘한다 이렇게 말씀하셨는데
갑자기 re Tranformation 할때만 자꾸 결과 안나오고 막히니까,,
물론! 다른분들은 제가 잘 못하는 부분이 있어도 학생이라서 다들 잘 챙겨주시는데
그냥 저 혼자 그러는거네요 에휴
혼자 스트레스 받고있어요
해결 안되는거 무조건 해결해야하는 성격이라
조만간 무조건 성공할거에요

2024.12.13

bio분야의 아주 micro한 실험 질문은 여기보다는 브릭에 질문을 정중히 하면 답변해주실 선배님들이 아주 많습니다.

2024.12.1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똑같은 materials 가지고 똑같은 protocol로 진행하는데 결과가 저정도로 다르게 나올 수가 있을까요? 분명 다른 점이 존재할텐데 본인이 인지를 못하고 있겠죠. 아는만큼 보인다고, 지식이 부족해서 사수분이 실험하는 방식과 어떤 점에서 다른지 파악이 안 되는 상태같네요.

2024.12.14

사수분 insert digestion sample이랑 글쓴 분 digestion sample을 dna gel 달렸을 때 band 두께에 차이가 많이 났나요? 만약에 차이가 나는 상태에서 insert가 너무 많으면 colony 안뜨는 경우가 있어요! Insert가 너무 여러개 들어가서 생기는 문제 같더라구요. Insert DNA양 줄여보거나 사수분이랑 같은 sample 사용했다고 한다면, 파이펫팅이 서툴러서 그럴 수 있으니 3ul 넣었다고 하면 2-1ul까지 낮춰서 넣어보세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