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달전에 프린트 소자 관련 논문을 조사한적 있는데 중국 논문이 대부분이었고 아직 산업계에 사용하는 소자들 만큼 성능이 좋지 않더라구요. 인쇄 기술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만드는 연구가 미국에서 진행중이기는한데 한국은 어떤지 잘 모르겠네요.
대댓글 3개
2024.11.30
이제 산업계에서 슬슬 시작하는 분야인거같아서 인쇄쪽이 크게 메리트가 없어보이기는 합니다
2024.11.30
제가 아는 한에서 얘기하자면 인쇄 전자 기술이 대면적 공정에 유리하고 단순한다는 점은 엄청난 장점입니다. 지금은 별로 같아 보여도 먼 미래를 본다면 모를것 같습니다.
2024.11.30
갑사합니다 조금 더 공부해 보겠습니다
2024.11.30
디스플레이 쪽은 대안이 딱히 있지도 않아서 잉크젯 할 수 밖에 없죠.
근데 잉크젯만 올인하시는게 굳이 걱정이라면. 어디 가시려고..
설비나 공정 전문가 되셔서, 해당 중견 업체에 취직하는게 목표이신가요?
시야를 넓게 잡으셔야할 듯.
잉크젯을 잘하는 게 중요하신건지. 아니면 연구를 잘하는 게 중요하신건지. 혹은 내가 잘하려는 연구에 잉크젯도 신규 개발하고 연구하는 게 필요한 것인지. 아니면 그냥 능숙해지는게 필요한 것인지.
잉크젯 헤드 자체만 놓고 보면 거의 개발이 끝난 테마라 할 것도 없는데요 뭐.
가령 AI로 잉크젯 설비 운용을 무인화 하겠다 싶으면, AI연구 개발을 하시는거고 여기서 배운거로 나중에 잉크젯이냐 다른 디스펜서나 중요할까요?
대댓글 1개
2024.11.30
고견 감사드립니다 사실 아직 석박통합 입학 전이라 주제에 대한 고민으로 글을 올렸습니다
연구실에 들어오면 주로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해서 디스플레이에 적용하는 기업과제 및 논문 연구를 수행할 것이라 하셨습니다 설비보단 그냥 목적을 위한 장비로 잉크젯을 말씀하신거 같습니다 재료, 디스플레이, 소자를 연구하는 랩이라서요 말씀해주신 디스펜서?도 연구실에 있어서 그걸 사용할수도 있다고 하셨구요
박사 이후 기업 취업을 생각하고 있어서 이 분야가 전공을 살려서 취업하기 괜찮은 분야인가 싶어서 고민입니다
2024.11.30
유변학 분야에서 10년전에 관련 연구 살짝 찍먹해봤고요. 요즘 잉크젯이 어떤지는 잘 모르겠네요.
대댓글 3개
2024.11.30
그때 연구하시면서 느낀점 공유해주신다면 새겨듣겠습니다
2024.11.30
전문성을 잉크젯으로만 한정짓는것보다 관련된 물성들로 확장해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탐구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잉크젯이면 점성, 점탄성, 표면장력, 전기적특성 등이 주된 변인이 될텐데 이들에 관여하는 유체 내 성분 상호작용으로 확장할수도 있고 공통 특성을 공유하는 다른 분야를 찾아볼수도 있겠죠.
2024.12.01
교수님께서도 결국 유체를 깊게 공부해야 좋은 논문을 쓸수 있다고 비슷하게 말씀해주셔서 금방 와닿네요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2024.11.30
대댓글 2개
2024.11.30
2024.12.02
2024.11.30
대댓글 1개
2024.11.30
2024.11.30
대댓글 3개
2024.11.30
2024.11.30
2024.11.30
2024.11.30
대댓글 1개
2024.11.30
2024.11.30
대댓글 3개
2024.11.30
2024.11.30
2024.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