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부랑 학벌 차이 많이 나는 경우

2024.11.18

6

7134

적응 잘 하셨나요? 또 컨택 할 때 잘 되셨는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4.11.19

쓸데없는거 걱정하지.마시고 어떻게 좋은 연구할지 고민하세요...

2024.11.19

어차피 한국은 학부사회입니다. 신경 안쓰셔도 됩니다.

2024.11.20

한국도 탑스쿨은 최종학위와 실적입니다. 실적이 중요하지 않은 곳들이 간판을 중시합니다.

2024.11.21

미국 조그만 학부(랭킹 100위 밖)나와서 전공분야 미 탑3으로 대학원 갔습니다. 수업 난이도 그냥 비슷합니다. 오히려 학부 때보단 과외활동을 덜해서 훨씬 수월하네요. 한국 지거국에서 연구 인턴했을 때 연구실 선배들 중 SKP로 대학원 간분들과 얘기했었는데 둘다 학부 수업수준 차이 없다고 하시더군요.

적응은 생각보다 별거 없없습니다. 높이 갈 수록 천재가 많아진다기보단 뒤떨어지는 사람의 비율이 줄어드는 느낌입니다.

개인적인 경험으론 컨택은 힘듭니다. 면접 때 학부(공대임)에서 통계 는 배웠냐 이런 질문도 받아봤습니다. 교수입장에선 보증(학부간판)이 안됬으니 risk이죠. show and proof해야합니다. 컨택할 때 먼저 논문 읽어와서 면접 때 디스커션한다든가요.

결론은 지레 겁먹고 안해버리면 성공확률 0%이고 일단 도전하면 성공확률 1%는 되는 거죠.

2024.11.22

학부 간판 중요한 것은 맞지만 그것을 뛰어 넘을 정도로 현 소속된 학교의 학부에서 본인이 정말로 열심히 노력한 부분들이 어필되어야 할 것이고 학점보다도 배운 전공에서 기본 개념에 대해서 이해한 바를 교수님께 명쾌하게 말로 설명할 수 있고 영어로 된 논문을 읽어낼 수 있고 핵심 내용이나 아이디어를 정리할 수 있음을 보여주실 수 있다면 그 시점에서는 학부 간판이 중요하지 않은 순간이 되는 것이죠~ 20년도 더 전에 석사하고 회사에 있는 제 입장에서는 그저 응원할 뿐입니다~ 윗 분 글처럼 도전하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회사에서 신입경력사원 채용 면접을 보는데 학부는 소위 지잡(? ㅜㅜ)이라고 불리는 학부에서 열심히 해서 그 보다 조금 더 좋은 학교에서 석사를 하고 또 이후에 상위권 학교를 가서 박사까지 하고 국책 기관 및 다른 회사에서 나름 실적 쌓고 경력사원으로 입사지원 한 사람을 봤네요~ 너무 학부 출신에 연연하지 마시고 실력과 끈기를 보여주시면 좋겠습니다~ 응원합니다

2024.11.23

학부 비슷한 라인 끼리 놀면돼요 뭐 레벨차이 많으면 지네들끼리 놀겠죠뭐 ~차별받는게 싫으면 안가시면됩니다 어짜피 학부위준데 대학원 졸업하는 이유가없죠. Ai,컴퓨터,공학계열이 아니라면 대학원갈 이유도없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