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는 입학 ~ 졸업까지 학생이 딴 모든 특허를 강제로 학교에 귀속시키는데 사실상 연구부서 고용하는 거랑 뭐가 다름?
대학원생으로서는 노동자가 아니라고 쳐도, 학교라는 기관 소속 연구원으로서는 노동자로 보고 학교 예산에서 최저 이상 지급하는 게 맞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소심한 존 케인즈*
2024.09.18
법적으로 안 되는거지. 대학원생은 노동자도 아니고 애매한 위치.
2024.09.18
뭔소리세요.. 학교가 특허를 강제귀속한다 부터 거짓말인데..
대댓글 2개
2024.09.19
뭐가 거짓말임 특허는 일단 학교가 최우선으로 가져갈지 말지를 결정할 수 있음 안 가져가겠다고 하면 그 후순위로 내려가는거
2024.09.19
이것도 거짓말. 연구과제로 인건비나 장비를 지원받고 수행한 결과가 아니면서 지도교수가 발명에 관여하지 않은 순수 대학원생 창작이라면 학교와 관계없이 특허 출원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학교가 전혀 관여하지 않고요. 단지 특허 등록에 관련된 비용을 본인이 내면 됩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이 이렇게 당당하게 거짓말로 댓글달면서 사람들 선동하는 곳이 김박사넷이네요.
2024.09.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회사에서는 님이 일 안 하면 회사가 ㅈ되지만 대학원에서 님이 연구 안 하면 님이 ㅈ되는거잖아요. 대학원은 님 돈 주고 고용하는 회사가 아니예요. 님은 공식적으로 대학원생이지 연구원도 아니예요.
대댓글 5개
2024.09.18
1. 누가 어떻게 되건 이 글에서 말하는 내용이랑은 아무런 상관이 없다 2. 대학원생은 학교 내에서 부르는 호칭이고, 공식 직함은 연구원이 맞다. 대학원생이 되고나서 제일 먼저 하는 것이 연구원 등록이다.
2024.09.1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1. 일 안 하면 님만 ㅈ되는데 학교에서 왜 월급주냐는 뜻이죠. 다른말로 님 ㅈ되지 않으려면 학교에서 돈 안 줘도 알아서 열심히 해야된다는 뜻이예요. 그니깐 안 주는거죠ㅎㅎ 2. 제가 말하는 연구원은 고용계약서를 쓰고 발령받은 피고용인 직책을 얘기하는겁니다. 님의 공식 직책은 대학원생입니다 (석사,박사,통합과정). 과제쓸때는 학생연구원으로 표기하기도 하고 님이 말한대로 국가연구자번호 발급을 받으니 '연구하는 사람'이라는 넓은 의미의 연구원은 맞지만요. 님 어디가서 소개할때 스스로를 대학원생이 아닌 연구원이라고 하면 다들 학사급연구원이나 석사급연구원으로 오해합니다.
IF : 1
2024.09.19
원글자님. 대출 받으러 가서, 직업란에 ‘연구원’ 이라고 쓰면 퇴짜 맞아요. 공식적으로 님 직업은 ‘학생’ 으로 분류 됩니다.
일단 그 특허적 가치를 어디까지 볼거냐 인데, 산단에서 특허 출원 거절하면 어차피 셀프 출원해도 상관 없음. 그 기준이 얼마만큼인지 한번 봐야 함.. 글고 의미 없는 특허나 과제랑 관계없으면 그냥 개인이 출원해도 상관없음, 특히나 지도교수가 승인 안해준 경우, 대학원생은 단독으로 못내기 때문에, 그런 경우에는 그냥 개인이 출원해도 나중에 문제가 발생 안함. 지도교수 책임일 뿐
2024.09.19
특허는 특허 출원인이 누구인지가 중요합니다. 본인이 아이디어를 작성해서 냈지만 제반 비용은 다 학교가 지불하죠. 미국에 특허 등록 1건 하려면 억단위 돈 들어갑니다. 거기에 유지 비용도 들어가죠. 특허가 학교 꺼가 된다는 것 만으로 최저 시급 이상 돈 달라고 하는 건 무리가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4.09.19
물론 그것과 별개로 대학원생들이 어느 정도 안정적인 수입을 받는 것 자체는 연구에 긍정적인 옳은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학교가 회사처럼 오로지 수익을 위해서만 돌아가는게 아님을 고려한다면, 조금은 다른 논리가 필요해보입니다.
2024.09.19
그럼 등록금 더 내세요ㅋㅋ 10년넘게 등록금동결에 유치원보다 싸게 대학다니면서 미국은 1년에 1억넘게 등록금 내도 학교차원에서 학생한테 인건비 안주는데
대댓글 2개
2024.09.19
학사야 동결이지 대학원은 인상 잘되던데?
2024.09.20
그래서 지난 10년간 얼마 올랐나요?
2024.09.19
학생이시죠? 미국이랑 유럽 대학원들 어떻게 돌아가는지 잘 모르시고. 저도 대학원생들은 노동 계약 맺고 4대 보험 가입하는 쪽으로 가는게 맞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다만 학교에서 대학원생들 인건비/학비를 그냥 지원해주는 건 허상이죠. 미국처럼 TAship을 5년 보장해주는데 연구비 있는 교수가 RA어 채가거나 TA 필요 없는 과는 자비 석사를 하거나…
2024.09.18
2024.09.18
대댓글 2개
2024.09.19
2024.09.19
2024.09.18
대댓글 5개
2024.09.18
2024.09.19
2024.09.19
2024.09.19
2024.09.20
2024.09.18
2024.09.19
대댓글 1개
2024.09.19
2024.09.19
대댓글 2개
2024.09.19
2024.09.20
2024.09.19
2024.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