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보통 석사가 졸업때까지 어느정도의 실적을 낼까

2020.08.01

12

6096

sci급 한편이상?(e포함)

아니면 국문저널 한두편?

그것도 아니면 컨퍼런스 한두번?

일단 전 기계과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0.08.01

분야별로 랩바랩 교바교

2020.08.01

Hugo de Vries// 이런 답글은 왜 다는건지 모르겠다. 도움도 안되고 모두가 아는 내용, 대략적으로 말해달라는데 못할거면 왜 답을 하는건지
Wilhelm Röpke*

2020.08.01

ㄴ 저게 사실인데? 그럼 너는 어떻게 답변해줄 수 있음?
Andreas Vesalius*

2020.08.01

ㄴ 너는 그냥 그런갑다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수도 있겠구나 하면되지 이런댓글 왜 다는데?

2020.08.01

보통 컨퍼런스 한두번
James Chadwick*

2020.08.01

기계과면 IROS나 ICRA 저널 하나정도만 써도 잘한거에요.
거기에다가 RA-L같은 코스로 레터형식이지만 하나라도 제출했으면 더좋고요.
석사졸업하고, 박사1년차때 좀더 다듬어서 TMECH이나 TIE정도에 제출하는것 정도를 목표로 하시는게 좋아보이네요.
James Chadwick*

2020.08.01

ㄴ잘못썼네요. 저널이 아니라 학회

2020.08.01

ㄴ 감사합니다 제 분야상 저 학회들이랑은 거리가 좀 있긴 하지만..

2020.08.01

뒷받침하자면 분야마다도 다르겠지만 제 생각에 석사하면서 sci논문을 내냐 못내냐는 랩이 얼마나 체계적으로 운영되냐가 제일 큰 것 같습니다. 대형랩 같은 경우 팀이있고 박사과정이 주 연구를 맡아서 하기에 주저자로 sci한편 내기 어려운 구조이구요.

2020.08.01

ㄴ 참고로 저는 전기과 소규모랩이다 보니 연구를 직접 진행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고 나온 결과로 sci도 주저자로 냈었습니다.
Niccolò Machiavelli*

2020.08.01

IROS나 ICRA 하나는 당연히 내야 하는거고
IJRR이나 TMECH 두세편 내고 졸업하는 사람들 많음
James Chadwick*

2020.08.01

ㄴ어그로 같긴한데 TMECH 리뷰기간이 일년넘는건 알고 말하는거죠? 1학기하고 하나내고 2학기하고 하나더내나보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