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도 학교지만 개별 연구실의 수준도 중요해서 뭐라고 말하긴 좀 어렵습니다. SPK는 어디까지나 졸업시 연구실의 수준과는 별개로 학교 이름값만으로도 쳐주는 대학이라는 것이지 대학원은 학부 입시때 서열 따지듯 접근하면 안돼요.
2019.02.22
죄송합니다. 저도 그 점은 알고있지만 그냥 전체적인 대학원 수준이나 인식이 궁금했어요...
2019.02.22
요새는 서울대-카이스트-연세대 같은 느낌이 드네요.
포스텍에서 연세대로 오는 교수님들을 몇명 봐서 그런가...
2019.02.22
지방 ist교수님들은 연고대로 많이 이직하시더라구요. 거기서 연구 세팅하고 나중에 서울권으로.. 자기 자식들 교육도 있으니... 작년에도 꽤 올라오셨죠...
Robert Nozick*
2019.02.22
지방 과기원보다는 연고대, 성대, 한양대가 요즘엔 더 높게 쳐주는 것 같습니다. 지방에 있다는 디메리트가 매우 큰 것 같아요
2019.02.25
위에 연세대로 '오는' ㅋㅋㅋㅋ 대학원도 훌리가 있나보네요
2019.08.26
연대훌리 ㄷㄷ.. 설카연포고의 시대가 오는가...
2019.11.17
아무리 지방 디메릿이 있다해도 학부도 아닌 대학원에서 과기원들이 연고한 대학원에 밀린다는건...ㅋㅋㅋ
물론 대학원은 교수님 by 교수님이지만 이 글의 의도에 비추어 단순 평균으로만 비교해보았을 때
혜택부터가 과기원들은 전문연 자동 편입 및 장학 지원 차이도 많이나고 대학원의 본질인 연구 면에 있어서는 질적 차이가 훨씬 심한데 저 댓글은 말이 되나 싶네요ㅋㅋ
2019.02.22
2019.02.22
2019.02.22
2019.02.22
2019.02.22
2019.02.25
2019.08.26
2019.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