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원 어디까지 될까요?

2024.03.10

33

3395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3개

2024.03.10

대학원 진학은 학부입시와 다릅니다. 적혀진 스펙이 중요할지언정 유일한 잣대가 아니기 때문에 뭐라 단정할 수 없어요. 예컨대 서울대도 가능할 것이고 반대로 자대도 힘들 수 있습니다. 본인이 무엇으로 대학원을 갈 지, 왜 가야하는지 등 포괄적으로 고민하시기 바랍니다.

대댓글 1개

2024.03.10

조언 감사합니다! 단순히 rnd 직무를 선호하고, 현장실습 시 나쁘지 않은 경험이라 대학원 진학을 고려하게 되었는데 욕심일까요?

2024.03.10

카이스트 말고는 컨택만 잘풀리면 다 될만합니다.

대댓글 1개

2024.03.10

감사합니다! 혹시 컨택은 몇월에 하는게 좋다고 생각하시나요?

2024.03.10

과가 어디신가요? ai 배터리 반도체면 자대가셔야 할 듯? 마이너과면 ist, ykssh 컨택해보세요

대댓글 4개

2024.03.10

내년 1학기 입학이면 7월 정도에 컨택 ㄱㄱ. 그냥 가고싶은곳 위에서부터 컨택메일 돌리세요. 정량적으로 정해지는 게 아니라서 잘 맞으면 서울대도 갈 수 있음. 예를 들어 연구실에서 OO스킬 필요한데 작성자님이 공모전에서 한게 OO스킬이라던지. 그리고 연구실 알아보고 메일작성하는거 자체로도 도움됨.

2024.03.10

조언 너무 감사합니나. 전공은 반도체 관련이긴 합니다! 내년 1학기 입학인데 7월 정도에 컨택해도 괜찮을까요? 보통 늦어도 3월엔 컨택한다고 알고 있어서요..!

2024.03.10

충분히 준비된 상태면 컨택해서 입학 1년전 겨울방학때 인턴헤서 눈도장찍는게 가장 좋습니다. 자대생 아니면 그러긴 쉽지 않아요.

타대생이면 4월 중에 컨택메일 보내는게 좋아 보이네요. 그때 연구과제 당락이 결정되서 티오가 확실해지거든요. 늦어도 여름방학에 컨택하는 게 좋구요. 인기랩일수록 지원자들 줄서있어서 티오가 빨리 마감됩니다

2024.03.10

늦어도 3월에는 컨택해야된다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군요. 정성스러운 답변 감사합니다 ~!

2024.03.10

애매 합니다. 그냥 자대 진학 하시는게 좋습니다. 제가 서카포 교수 입장이라면 저정도 학생의 진학 문의 메일은 계속 받을텐데, 그중에서 차별점이 없습니다.

연고대 이하는 인력난을 겪고있어서 운에따라 가능할거 같긴합니다. 타대 대학원으로 이동시, 소위 학벌로 인정받는 상위 5-6개 정도의 대학원에 박사까지 쭈욱 입학/졸업이 목표가 아닌이상 애매한 곳을 목표로 하시면 차라리 자대가 더 낫습니다.

대댓글 3개

2024.03.10

조언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혹시 자대진학과 학연과정 중에선 뭐가 더 낫다고 생각하시나요? 정출연 현장실습 때 만나게 된 박사님께 학연과정을 권유받았는데 좋은 기회인거 같아서요!

2024.03.10

대학원은 지도교수를 보고 가는거라.. 학연이냐 학교냐 정도만 보고는 판단이 어렵습니다. 그리고, 아마 일반적으로는 학교를 좀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겠지만, 학위과정 받는 정출연 박사님들은 연구에 또 열정이 있고 하니 섣불리 판단이 어렵습니다. 이렇게 상담받는것 보다 주변에 관련 분야사람들 (대학원생, 교수님 등) 과 까놓고 상담받으시는게 본질에 다가가기에 더욱 좋지안을가 싶습니다 :)

2024.03.10

동기들 중에서 주변에 학연과정을 고려하고 있는 사람이 없고, 교수님들마다 의견이 다른것 같아 더 많은 분들께 조언을 듣고싶어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조언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2024.03.10

서카포는 쉽지 않습니다. 연고대는 충분히 가능하지만 자대와 연고대 연구실 둘러보면서 판단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대댓글 2개

2024.03.10

타대는 정보를 얻기가 힘들다보니 선택이 쉽지 않네요.. 조언 감사합니다!

2025.08.21

반도체 관련 인데 YK 가 쉽다고요?
Y 전자소자연구실 에서 컨택후 어떠한 테스트를 거치는지 알기나 하고 이야기 하시나요?
최대한 정확한 정보를 주셔야지 희망고문 하게 만들면 않됩니다.

2024.03.10

댓글 정도의 생각만 하고 계시면 석사만 하실 것 같은데,
석사만. 이라면 뭐 서울대도 되고 자대도 되는 법이지요.
어떤 연구실에서 연구를 하고싶은지를 잘 판단하세요
반도체쪽이면 산학연계과정이 유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경북대도 삼성이랑 뭐 하는거 있지않나요?

대댓글 4개

2024.03.10

우선 조언 감사합니다.

일단 저는 석박통합과정 생각하고 있습니다..!
산학연계과정은 연대,성대-삼성, 고대-sk하이닉스 등 타 대학도 많기 때문에 타대도 고민해보았습니다..!

혹시 지도 박사님이 좋으신 분이라는 가정 하에 학연과정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24.03.10

흠... 사수역할을 해주는 사람이 어떤 스타일인지도 중요하겠지만,
결국엔 어느 분야를 막론하고, 대학원생이 어느정도 숙달이 되면 스스로 하게끔 되는 시스템일 겁니다..
성격 좋은 분 만나는게 젤 스트레스 덜 받기야 하겠으나, 실력까지 있으면 좋긴 하겠죠..
근데 산학연이던, 그냥 석박통합으로 평범히 다니던... 내 사수가 누구냐는 보장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교수님 연구 하는 것 부터 정하고 가는게 좋아요. 어차피 직접 부딪혀보지않으면 이 사람이 싸이코인지 정상인인인 알 수 없습니다..

2024.03.10

교수님 연구 하는 것 부터 정하고 가는게 좋다는 말이 교수님 연구 주제부터 정하라는 뜻일까요?

정성스러운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ㅜㅜ

2024.03.11

넵넵 어느 연구실에서 주로 뭘 연구하는지는 조금이라도 알고 결정 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2024.03.10

애매하네요.. 자대 인기랩 석사하시고 산업체에서 먼저 근무해보시는걸 추천합니다. 박사과정은 산업체 이후에 결정하셔도 늦지 않습니다.

대댓글 3개

2024.03.10

다른 분들 얘기 들어보니
1. 자대 인기랩 석사 -> 취업
2. 학연과정 석박 - 서연고성대 중
로 좁혀지는 것 같네요..

1번을 추천하시는 이유를 여쭤봐도 될까요??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2024.03.11

학점 때문에 컨택이 되더라도 인기랩에 들어가긴 어려우실 것 같습니다. 석박통합과정은 연구진행성과와는 별개로 교수님의 성향에 따라 매우 길어질 수도 있으며, 도중에 그만두기도 합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분야는 산업체쪽의 경험이 더 크다고 판단되기에 1-2년 정도의 산업체 경험을 해보시고 박사과정에 지원하셔도 늦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생각보다 석박통합으로 입학한 후 박사과정에서 자퇴고민을 하시는 분들이 매우 많습니다. 신중하게 결정하셔야합니다.

2024.03.11

그렇군요. 산업체쪽 경험 이후 박사과정 진학에 대해서는 한번도 생각하지 못했는데 고려해보겠습니다! 조언 너무 감사드립니다!

2024.03.11

만점 4.5면 부산대 전기or전자일거고, 여기 출신인데 spk 간 친구 여럿 있음

대댓글 3개

2024.03.11

저희 학교에서 spk 가신 분들이 여럿 있는 것은 알지만, 저와 비슷한 학점을 가지신 분들 중 spk를 고려하시는 분들은 없는거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저와 비슷한 학점에서 spk를 가시는 분들이 여럿 있다는 뜻일까요?

2024.03.11

S는 건너건너 사례들어서 있는거 확실한데, 나머지는 힘듦

2024.03.12

넵 답변 감사합니다!

2024.03.11

컨택은 무조건 최고 상향부터 컨택 실패하면 내려오시면 돼요

대댓글 1개

2024.03.12

네 조언 감사합니다 !!

2024.03.12

냉정하게 ist까지 되실 것 같고... 마음의 준비는 하시는게 좋아요. 반도체는 인기분야고 랩도 괴수랩 가진
않으실 거 잖아요. 그래도 컨텍은 해보세요

대댓글 1개

2024.03.12

그렇군요..! 조언 너무 감사합니다 !!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