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비판은 계속 되겠지만 여전히 안 망했을 듯요 오히려 2050년 경에는 세계 5대 경제대국 군사대국 되있을 것 같으니깐 너무 걱정 마세요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68 - 그럴 거면 군대도 2번 갔다와. 군대 갔다오면 사회가 다 착해보이고 헬조선이라는 말이 이해가 안감. 전역하면 사회가 천국으로 보임
괴수랩 장점을 알아챔
10 - 끝까지 가는놈이 이기는거임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29 - 그런 애들 친하게 지내면서 콩고물 받아 먹어야징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12 - 흔하지는 않지만 전무하지도 않은 정도인거 같네요. 아마 모종의 이유로 나를 단체로 거절중이신가 라는 의심을 하시는 것 같은데 솔직히 그럴 이유는 크게 없을 것 같습니다.
해당 대학의 policy 를 잘 모르겠는데, 아주 많은 경우에 실제로 첫 학기를 시작하기 전부터 본인의 지도교수와 진학할 연구실을 결정해두는게 일반적입니다. 말씀대로라면 합격 이후 실제 개강 전에 해당 연구실 진학이 불가하다는 말을 들으신 것 같고 이후 약 6개월이 지나도록 지도교수를 정하지 못하신 것 같은데요. 훨씬 더 빠르게, 학기 시작 전에 진학할 연구실의 교수님과 출근 일정 조율을 끝냈어야 합니다. 이미 다른 연구실들은 대학원생 TO를 정리해둔 뒤일겁니다.
보다 드물게 첫 학기는 진학할 연구실을 정하지 않고 오픈랩 형식으로 진행하는 대학이 있는 것으로 압니다. 이런 경우 아마도 처음 컨택한 분과 연관 분야 교수님들의 연구 분야가 상당한 인기분야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학과 규정에 반해서 암암리에 미리 학생을 뽑아두는 경우가 많아서 순진하게 오픈랩동안 코스웍만 열심히 들은 학생들의 뒤통수를 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차치하고서라도, 유감스럽게도 작성자분이 매력적인 학생 후보가 아니었다는 뜻이겠지요.
양 쪽 모두 연구 관심 분야를 좀 더 넓히거나 다른 타협을 하더라도 최대한 빠르게 다른 분에게 컨택하고 연구실에 소속되는 것이 필요해보입니다.
지도교수 배정을 입학 후 거절하는 게 흔한 일인가요?
8 - 우리 랩 신입도 괴물이더라... 소변기 옆에서 살짝 훔쳐봤는데 진짜 구렁이 한마리가 또아리 틀고 있음... 진짜 괴물레벨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66 - 본인 인생이 더 중요하지 예의를 따질때가..
카이스트 떨어진 후 자대 컨택
7 - ㅈ같게 생각합니다
이런 사람 어떻게 생각하세요?
8 - 놀랍게도 코딩까지 가지 않고 영어 작문만 봐도 답나옵니다.
요즘 개나소나 GPT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논문 영작 수준이 차이가 꽤 나거든요.
결국 좋은 도구를 줘도 쓰는 사람이 ㅄ이면 결과물도 별로다 입니다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18 - 1. 맞음
2. 맞음
3. 2가 맞기 때문에 대처할게 없음.
2에 대한 설명
현재 해당 랩 소속이 아닌것이기에 표면상의 이유는 논문에 넣을 소속이 없기 때문에 논문에 이름을 넣을 수 없음. 그 외의 이유로는 나간 사람을 굳이 넣고싶지 않음 정도가 있겠음.
만약 그 랩에서 석사 졸업이나 박사 졸업 정도를 한 뒤에 비슷한 상황이 발생했다면 그 랩 소속으로 넣고 논문에 이름이 들어가는게 일반적임 (저자 순서는 좀 밀릴 수는 있음) 그런데 글쓴이는 학부연구생 이었던 것이므로 교수가 당연히 이름을 뺄 것임. 기여도가 어느 정도인지 관계없이 (보통 학부연구생은 실험쪽에 기여도가 있을 것이고, 논문 작성엔 기여도가 없을것임) 나간 학부연구생의 이름을 넣어주는 경우는 교수가 선심을 쓴 것이라 봐야함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10 - 제 학부연구생 시절이 생각나네요. 실험 테스트 베드 제작, 실험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한 학기동안 제 아까운 시간 써가면서 매달려서 그 프로젝트에 참가했는데, 나중에 알게된 사실.. 논문이 게재되었고 충격적이게도 제가 작성한 실험 데이터 커브, 일러스트레이션 모든 것들이 그대로 들어가 있었으나 제 이름은 없었더라는..
명백한 연구윤리 위반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한국 사회 특성상 좋은 것이 좋은거죠..... 요즘은 어떠나 모르겠네요.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8 - 꼭 박사과정, 포닥 인성이 교수 인성을 대변하진 않음
다만 태도가 보이긴 함
박사 or 포닥이 ㅈ대로 한다? -> 높은 확률로 교수가 개차반일 가능성 있음
개차반은 그냥 관심 없는 것 까지 포함함
교수 인성은 그냥 그밑에 몇년 구른 박사 보면됨
12 - 설문연구, 500명 2개월 어려운 일 아니예요.
보통 2주안에 결과보고서까지 해요.
석사졸업 임박 지도교수 무리한 요구
9
같은 사무실 사람끼리 출퇴근할때는 인사를 당연하게 여기는건 꼰대인가요?
2024.03.05

석사과정 4학기 막학기고요, 교수님의 연구실은 2월 명예퇴직이라 빼셨고, 쓰던 사무실에 이제 다른 학생들이 들어왔네요
저와 연구박사님(강의도 하시는데 뭐라고 호칭해야하는지 잘모르겠습니다) 이제 두 명 남았고 박사님을 제외하고는 사무실에 책임자 역할을 하게 되었네요
어제 신입들이 와서 a랩실 1기생 외국인 2명, b랩실 1기생 1명, 그리고 c랩실에 신입이 아닌 석사생 3명이 왔습니다.(그 중 1,2명만 자리에 와서 1명은 못 봤습니다)
어제 a랩실과 b 랩실 애들을 안내해주고 c랩실은 원래 사무실에 자리를 두긴 했어서 (이제 진짜 앉으러 1,2명이 옵니다) 잘알테니 따로 알려줄건 없었습니다.
오늘 출근과 퇴근, 제 뒤에 앉은 외국인들은 잘 인사하는데
출입문쪽에 박사님과 책장 뒤에 앉아있는 저에게 따로 인사를 안 하더라고요, 출근은 제가 자리에 찾아가서 인사했습니다.
b랩실 1명 c랩실 1명 전부 퇴근할땐 그냥 인사도 안 하고 쌩 사라지더라고요,
하...이런것도 가르쳐줘야하나 아니면 내가 꼰대인가
요즘은 원래 이렇게 하는건가
전 신입때도 저보다 나이어린 선배들에게 꼬박꼬박 자리 찾아가서 인사했는데 자리를 안 찾아와도 말이라도 해주던가 참.
다른 연구실 사람들이지만 이 사무실을 공유하며 쓰고 또 제가 사실상 책임자인데 뭐 그런걸 떠나서 얼굴 보는 사이에 그냥 인간대 인간으로 인사는 하고 가야하는거 아닌가.
안녕을 하고 손을 흔들어도 반말을 해도 상관없는데 출퇴근 인사는 당연하다는게 이제 당연하지 않게 된건가요.
뭐랄까 악의는 없고 진짜 그런 개념이 없는것 같아서 안 말해주면 본인들 인생이 나중에 손해볼거라 생각이 들어 걱정이고, 내가 이걸 가르쳐들면 꼰대인가 오지랖인가 해서 섣불리 얘기하진 않았습니다
그리고 다른 연구실, 사무실 분위기는 어떤가도 궁금합니다.
10 to 10은 일반적인 편인가요? 김GPT 12 53 8414-
5 23 12215 -
14 12 3398
연구실에서 술판 벌이는게 정상인가요? 김GPT 17 20 10663
연구실 빌런은 왜 김GPT 13 23 4544-
2 5 9056
연구실자퇴 김GPT 0 8 8176
연구실 인간관계 김GPT 5 9 6633
내 석사생활 참 많은일들이 있엇네요^^ 명예의전당 196 34 64317
교수님들 학생들은 노예가 아닙니다. 명예의전당 93 47 9074
연구실을 옮기는 것에 대하여 명예의전당 154 33 25821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지도교수 배정을 입학 후 거절하는 게 흔한 일인가요?
12 - 이제 누구한테 논문 넘겨주고 이런 거 못하겠네
14 - 이런 사람 어떻게 생각하세요?
6 -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13 -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26 - 교수 승진 요건에 학생 졸업 있나요?
7 - 의대 자퇴 고민중입니다.
19 - 음... 쓸까말까 고민... 10년전 이야기...
6 - 교수 인성은 그냥 그밑에 몇년 구른 박사 보면됨
8 - 공동 1저자 순서 중요한가요?
6 - 논문 투고 후 실수 발견
9 - 다른 랩 갈때 메일 어떻게 써야 하나요..?
6 - 컨택만 하면 서울대 입학이 그렇게 쉬운가요?
6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126 - 지도교수 배정을 입학 후 거절하는 게 흔한 일인가요?
12 - 이제 누구한테 논문 넘겨주고 이런 거 못하겠네
14 -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13 -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26 - 교수 승진 요건에 학생 졸업 있나요?
7 - 의대 자퇴 고민중입니다.
19 - 음... 쓸까말까 고민... 10년전 이야기...
6 - 교수 인성은 그냥 그밑에 몇년 구른 박사 보면됨
8 - 공동 1저자 순서 중요한가요?
6 - 논문 투고 후 실수 발견
9 - 다른 랩 갈때 메일 어떻게 써야 하나요..?
6 - 컨택만 하면 서울대 입학이 그렇게 쉬운가요?
6
2024.03.05
대댓글 1개
2024.03.05
대댓글 5개
2024.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