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Y 비컴공 공대생이구요 4학년 올라갑니다 (초과학기 예정입니다) 뒤늦게 AI쪽에 관심이 생겨 본전공과는 다른 진로를 생각중에 있습니다.
미적, 공학수학 정도는 했지만 선형대수, 전산수학, 이산수학 베이스는 없는 상태입니다. 대학원 입학 생각 중에 있으며 올해부터 내년 하반기 입학까지 공부해보고자 합니다.
1. 비전공생으로서 (대학원 입학에 필요한) 수학적 백그라운드 보완을 위한 책 또는 강의 추천부탁드립니다. + 학교 수업 외에 AI (실무) 입문에 좋은 책/강의나 교육프로그램도 추천부탁드리겠습니다.
2. (상세 분야는 아직 확실히 정하지 못했지만) AI 대학원 준비하려면 필요한 대외활동이나 서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4.01.28
행렬곱만 할줄알면 됨. 컴공애들 AI에 뭐 수학 필요하다니 뭐니 하는데 지들 맨날 하는거보면 행렬곱이 전부임. 뭐. 정규분포 정도만 더 이해하면 됨.
대댓글 4개
2024.01.28
코딩은 할줄암? 이게 제일 급한데.
2024.01.28
감사합니다. 코딩은 아직 실력 부족해서 길게 잡고 파이썬만이라도 공부해보고자 합니다. 파이썬도 전반적으로 다 공부하는게 좋을까요 ? 아니면 우선적으로 AI 에 쓰이는 내용 위주로 공부하는 것이 좋으려나요? 코딩 공부도 어떻게 하는지 잘 모르는지라, 백준 문풀이 좋은지 아니면 다른 효과적인 공부방법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2024.01.28
파이썬 프로그래밍 언어 공부하는게 보통 3~500page 될건데. 만화책마냥 읽기는 쉬워서. 날잡고 방학때 읽으면 일주일이면 읽음. 이건 다 읽어봐야겠지? 기초인데
근데 이거 읽어도 대기업 코딩테스트 통과는 절대 못해. IT기업 코딩테스트 문제 보면 무슨말인지 알거임 검색해보시고. 석사후 대기업 취직이 목표면 코테 따로 준비해야함. 인공지능 코딩 백날 잘해봐야 이거 통과못하면 서류 컷임.
근데 위 내용과 전혀 별개인게 인공지능 코딩임. pytorch, tensorflow 및 각종 이론 기반한 구현은 또 다른 능력이라. 이건 당연히 석사과정동안 할 것으로 추정되고. 난이도는 파이썬 프로그래밍 언어 책 읽듯이 그냥 책 몇권 잡고 정독하면 됨. 어지간하면 구현다 할 수 있음.
2024.01.29
딱 그정도 업무만 하니 그런건지요. 더 넓은 곳으로 가면 더 수학의 사용이 많아집니다.
2024.01.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자대 본인 분야에서 AI 응용하는 랩 가서 존나 빡세게 배우고 공부해서 박사를 AI 연구실로 옮기는게 가능성 잇어보임
대댓글 2개
2024.01.28
재료공학 쪽이라.. 드물더라구요
2024.01.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럼 가고싶은랩 인턴으로 비비시는게 젤 좋아보입니더
2024.01.29
행렬곱만 할 줄 알고 들어오면 된다는 소리는 맥도날드가서 주문할줄만 알면 미국 이민가도 된다는 소리임 분야마다 다르지만 어지간한 분야는 수학 잘하면 잘할수록 훨씬 수월하게 연구할 수 있음 개인적으로 공대 수업 들으면서 수학공부한 짬바가 있으면 그냥 바로 논문 읽으면서(남이 블로그에 쓴 거 말고) Universal function approximation부터 차근차근 공부하고 필요한 수학 있으면 발췌독하는 식으로 보는게 나을듯 딥다 수학부터 보면 동기도 빨리 식음
2024.01.28
대댓글 4개
2024.01.28
2024.01.28
2024.01.28
2024.01.29
2024.01.28
대댓글 2개
2024.01.28
2024.01.28
2024.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