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대통령이 바뀌고 나서 뭔가 제대로 돌아가기 시작하는 듯
지난 정부는 모든 측면에서 다 나사 빠져있었는데
한국 피지컬 ai 협회 출범 ㄷㄷㄷ
37 - 신고에는 다 이유가 있다
한국 피지컬 ai 협회 출범 ㄷㄷㄷ
24 - 이런 능지를 가지고 계시니 취업해서도 노동자의 권리가 뭔지 알턱이 없으니 노란봉투법은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25 - 특정 정당을 지지하게 되면 눈쌀은 찌뿌려지겠지만
기업을 괴롭히는 법안은 맞으니까 궁금했죠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3 - 위에 좌측분은 화가 많이 났네ㅋㅋㅋ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22 - 내용은 잘 아시죠? 돈 들어갈 곳이 많아지고 생산이 줄어드면 이익이 줄겠죠. 이익이 줄면 연구소 인력 안뽑는거 맞습니다.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5 - 노동자의 권리고 뭐고, 좋은 일자리가 다 사라질텐데 능지 처참하네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4 - 대한민국 전체가 좆망테크 탄거라고 보면된다
얼른 박사받고 미국으로 튀어라
민주당 뽑은 놈들은 자해경향이 있는듯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6 - 그냥 네임밸류에요 별로 신경 안 쓰셔도 됩니다.
왜 SPK 미만은 의미 없다고 그러는거에요?
16 - 그냥 저점이 좀 더 높은 정도지 결국 랩바랩 + 본인 실력에 따라 다른거죠 뭐
왜 SPK 미만은 의미 없다고 그러는거에요?
16 - 아들~ 엄마가 GPT 가지고 밤늦게까지 놀지 말랬지~ 빨리 발닦고 자렴
세기의 천재???
20 - 제 학부 다닐때 “인생에 가장 성공한게 서울대 합격한 인간“이라는 표현을 듣는 친구들이 있었죠. 그것의 대학원 버전 사람들이 그런 얘기하는 겁니다.
왜 SPK 미만은 의미 없다고 그러는거에요?
11 - 그런말 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지방대 나와서 높은 학점으로 대학원은 SPK진학했지만 실력은 없어서 그냥저냥 대학원 다니거나 물박사로 졸업했으니 남은건 SPK대학원 다닌다는것 밖에 없으니 정신승리하는것임. 대학원은 어딜가든 자기 하기 나름인것임. 다만 상위 대학원일수록 본인이 잘될 확률이 높은 경향이 있는것임.
왜 SPK 미만은 의미 없다고 그러는거에요?
21
경희대 소프트웨어 학부생입니다.(머신러닝 전망,석사진학)
2020.07.10

올해 입학한 학부 1학년입니다.
고등학교때부터 머신러닝 뜰때 조금씩 공부를 했습니다.
약간의 통계, 선형대수개론, 학부수준의 인공지능 개론, 딥러닝 서적(라이브러리 없이 바텀업으로 기본적인 원리나 테크닉들 설명해놓은거였어요)
Fundamentals of reinforcement learning(있어보일려고 영어쓴게 아니라 강좌 이름입니다 ㅠㅠ)
정도 들었고, 그래프 모델 강좌를 듣고있습니다.
조금이지만, 배워보니 재밌고, 또 이쪽이 유망하다는 말을 많이 들어서 대학원까지 생각하고 있습니다. 특히 로보틱스에 강화학습같은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하는게 인상깊더라구요.
과는 소프트웨어융합이지만, 다른 공대 학과와 복수전공 비슷하게 트랙을 제공하는데, 이중에 기계공학과 수업이 다수 포함된 로봇관련 트랙이 있습니다.
학부 1학년주제에 분야의 유망이니 대학원이니 하는게 주제넘어 보일수도 있지만, 당장 트랙을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라 질문드립니다.
1. 저런식으로 컴퓨터공학과 기계공학을 섞어놓은 트랙이 경쟁력있을까요? 괜히 둘다 애매하게 배우는건 아닐지 걱정됩니다.
(교육과정이 필요하시다면 첨부하겠습니다)
2. 요즘 머신러닝쪽으로 가시려는분들이 많이 보입니다. 그중에 당연히 저보다 학부도 좋고 수학같은 기본기도 더 탄탄하신 분들도 많을텐데요, 저 분야(머신러닝, 특히 로보틱스와 결합된) 가 제가 석사, 혹은 박사까지 마치고 졸업할때도 블루오션일까요?
일단 학문보단 취업이나 창업쪽을 생각하고 있습니다만
개발자로 나가는것보다 평균적으로 일자리나 연봉같은 부분에서 이익일지요?
3. 대학원 진학을 위해 어떻게 준비해야하나요?
찾아보면 학점관리나 학부연구생 이야기가 많은데,
학부연구생은 교수님께 어떻게 컨택을 드려야하는건가요?
자대가 아니라 가고싶은 연구실에 컨택을 해도 무관한가요?
저 둘 외에 좋은 랩에 가기위해 준비하면 좋은것들은 어떤게 있을까요?
배워야할것도, 알아가야할것도 참 많은 것 같네요
멍청해보이는 질문일지라도 무지한 후배를 위해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할 것 같습니다ㅠㅠ
더 나은 교수님을 찾아 떠나려고 합니다. 명예의전당 110 35 48716
학계를 떠나며 명예의전당 168 25 77243
심심해서 풀어보는 대학원생 개꿀AI 앱 모음 명예의전당 114 19 55623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장문) 언제나 대학원은 신중하게 생각해야 하네요
208 -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
302 - 패기만 넘치는 요즘 타대생 컨택 메일
335 - 학계의 립서비스 ㅋㅋ
26 - 40대 박사과정생 여자가 교수님 조교하며 느낀점
35 -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11 - 대학 교수 학력 입력에 "ㅇㅇㅇ대학교 ㄱㄱㄱ학과 석사/박사 " 에 대한 질문
21 - 컨택메일에는 석박통합 희망으로 썼는데 실제 지원은 석사로 해도 되나?
17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2편입니다.
21 - 세기의 천재???
7 - 반복되는 거절, 잘못된 선택과 현타
5 - 학부와 대학원은 많이 다른거 같아요
15 - 교수님이랑 연애한당
1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장문) 언제나 대학원은 신중하게 생각해야 하네요
208 -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
302 - 패기만 넘치는 요즘 타대생 컨택 메일
335 - 학계의 립서비스 ㅋㅋ
26 - 40대 박사과정생 여자가 교수님 조교하며 느낀점
35 -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11 - 대학 교수 학력 입력에 "ㅇㅇㅇ대학교 ㄱㄱㄱ학과 석사/박사 " 에 대한 질문
21 - 컨택메일에는 석박통합 희망으로 썼는데 실제 지원은 석사로 해도 되나?
17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2편입니다.
21 - 세기의 천재???
7 - 반복되는 거절, 잘못된 선택과 현타
5 - 학부와 대학원은 많이 다른거 같아요
15 - 교수님이랑 연애한당
12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요즘 학생들의 기본마인드 제주변만 이런걸까요?
23 - 석사 중도포기 고민
15 - 박사과정 연구 장려금 떨리네요
10 - 이번에 대학원 석사 막학기 들어가는데
10 - 대학원 인턴+석사 면담을 저번주에 했습니다 근데 논문 리뷰
14 - 왜 SPK 미만은 의미 없다고 그러는거에요?
15 - 대학원 간판의 중요성 고민
9 - 요즘 확실히 학위 출신대학보다 실적 많이 보는듯
8 - 물리학자(특히 우주론 전공자 필독)
8 - AI 전공하시는 분들께 궁금한점 있습니다
8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179 - 아무것도 모르는 초짜 미국 박사지원 질문드립니다.
8 - 유학 분야 선정 고민이 있습니다..
8
2020.07.10
2020.07.10
2020.07.10
2020.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