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3 - 과거에 천문학계에서 계산을 담당하던 계산원, 즉 컴퓨터라 불리던 사람들은 기계로 된 컴퓨터가 나오면서 직업의 이름을 물려주고 물러나야 했습니다. 그들 중 상위 1%는 커녕 지금은 누구도 컴퓨터라는 이름으로 일을 하지 않지요. 그러나 컴퓨터로서 일을 할 수 없게 되었다고 해서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생겨난 건 아니었습니다. 그때라면 계산원을 수행했을지도 모를 사람들이 지금은 다른 일을 하고 있지요. 이를테면 대학원의 학생이 되어서 컴퓨터에게 계산을 시키는 일을 한다든지 말이죠. 즉, 기술의 발전이 무작정 일자리를 빼앗는다기 보다는, 일자리의 질을 향상시켜 주는 부분도 있다는 겁니다.
인공지능이 박사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을 정도의 능력을 가지게 된다면 기존의 박사들은 그 인공지능을 가지고 다른 일을 하게 될 겁니다. 기술의 발전이 일자리를 빼앗는 일은 결코 하루아침에 일어나는 게 아닙니다. 일자리를 빼앗긴 사람들을 탓 하거나 비난할 생각은 없지만 보통 그런 비극은 나날이 발전하는 기술에 전혀 관심을 주지 않았기 때문에 다가오는 변화에 적응하지 못해서 일어나는 겁니다. 노인이나 저임금 노동자, 기술지식 접근성이 취약한 사람들이라면 그런 기술 변화에서 생기는 비인간적인 비극으로부터 일정부분 보호해야 할 도리가 있겠지만, 적어도 대학원생이 만약 그런 일을 겪는다면 그건 그저 학계의 움직임에 둔감했을 본인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그러니 잠못이루고 걱정하기보다는 많이 보고 듣고 준비하시는데 시간을 쓰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사람은 누구나 언젠가 죽을텐데 그게 걱정되어서 아무것도 못하는 게 아니듯이 말입니다.
AI가 근미래에 웬만한 박사를 대체할 수 있을까요?
24 - 현명한 학생 아닐까요 아닌 랩 오래 다니다가 그만두는 것보다 훨씬 서로에게 좋음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20 - 연고대에서 카이면 다운그레이드에여 인생 갈아먹지마세요 ㅠ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0 - 현직 교수입니다. 공감합니다..ㅋㅋㅋ
미국 포닥들 삐대는거 참 가소롭다...ㅋㅋㅋ
11 - 1.인정. 서울대 학석박인데 실적없는 물박사들 너무 많음. 그냥 서울대 쩌리들이 갈 곳 없어서 대학원 가는 느낌. 실적좋은 비서울대 학부 선호.
2.인정. 테뉴어 받으시고 꾸준하게 연구지도 하는 교수님들은 그냥 무조건 리스펙. 보통일이 아닌데 열정이상의 노력이 필요.
3.다 인정하는데 마지막문장만 인정X. 과탑했으니 SKP에 가는것은 본인만의 특권입니다. SKP에서 만나는 인맥과 연구시스템은 매우 훌륭합니다. 교수님때문에 자퇴를 한다면 어쩔수 없지만 SKP는 충분히 도전할만한 학교이고 경험해볼만한 학교입니다.
4.인정. 한국학생들의 고질적인 병이 수동적인 태도입니다. 무조건 떠먹여주실 바라는건 대학원생이 아니죠. 실패하더라도 하나씩 부딪쳐보고 해결해나가고 배우는 과정의 연속이라 생각.
5.최근에 임용되신 조교수님들 찾아가서 상담을 받는것은 무조건 추천. 엄청난 실력자임과 동시에 제가 본 대부분의 분들도 매우 훌륭한 트레이닝을 받고 인성도 좋으신분들임 (물론 나중에 테뉴어를 받으면 착취형 교수로 돌변하겠지만 ㅋ)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5 - 대부분 맞는 이야기이긴 한데요.
조교수 랩에 대해 너무 긍정적인 이야기만 있는 것 같습니다.
오히려 처음 셋업하는 랩에서 고생만 하고 졸업하거나 포닥 때는 좋은 논문 많이 낸 사람이 교수 임용 되고 본인 교신으로는 좋은 논문 못 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신생랩 선호하지 않는 거고요.
결론은 일단 최근 퍼블리케이션을 꼼꼼하게 봐야 합니다.
그 랩 멤버가 일저자, 교수가 교신저자인 논문만 봐야하고,
랩 멤버 수 대비 논문 양과 질이 괜찮은지,
좋은 논문들이 한 두 명에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쓰는지 보면 됩니다.
결국 대부분 멤버가 좋은 논문을 쓰고 졸업하는 랩에 가면 본인도 그렇게 되고요. 그 중에서 많이 가르쳐주고 챙겨주는지 자유방임인지는 면담 때 파악하고 본인에 맞춰 선택하면 됩니다.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3 - 이런 이야기는 본인 실적 까고 하는 겁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4 - 글이나 제대로 쓰세요ㅋㅋ실적 없어서 과제 떨어지고 추하게 커뮤에 글 쓰는 걸로 밖에 안 보여요. 실적만이 증명된 연구자인지 알 수 있는 유일한 척도인데요? 실적은 없이 제안서 글 싸지른걸로 뽑자는게 더 어이가 없네요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3 - 한국 평가 위원들 제안서 제대로 안 보는 사람들 많습니다. 실적 기준으로 평가하자는 말이 제일 많이 나옵니다. 평가 얼마나 다녀보셨나요 ? 제안서를 아주 엉망으로 쓰면 그건 당연히 안되지만, 어느 정도 평균 이상이면 실적 싸움입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1
경희대 소프트웨어 학부생입니다.(머신러닝 전망,석사진학)
2020.07.10

올해 입학한 학부 1학년입니다.
고등학교때부터 머신러닝 뜰때 조금씩 공부를 했습니다.
약간의 통계, 선형대수개론, 학부수준의 인공지능 개론, 딥러닝 서적(라이브러리 없이 바텀업으로 기본적인 원리나 테크닉들 설명해놓은거였어요)
Fundamentals of reinforcement learning(있어보일려고 영어쓴게 아니라 강좌 이름입니다 ㅠㅠ)
정도 들었고, 그래프 모델 강좌를 듣고있습니다.
조금이지만, 배워보니 재밌고, 또 이쪽이 유망하다는 말을 많이 들어서 대학원까지 생각하고 있습니다. 특히 로보틱스에 강화학습같은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하는게 인상깊더라구요.
과는 소프트웨어융합이지만, 다른 공대 학과와 복수전공 비슷하게 트랙을 제공하는데, 이중에 기계공학과 수업이 다수 포함된 로봇관련 트랙이 있습니다.
학부 1학년주제에 분야의 유망이니 대학원이니 하는게 주제넘어 보일수도 있지만, 당장 트랙을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라 질문드립니다.
1. 저런식으로 컴퓨터공학과 기계공학을 섞어놓은 트랙이 경쟁력있을까요? 괜히 둘다 애매하게 배우는건 아닐지 걱정됩니다.
(교육과정이 필요하시다면 첨부하겠습니다)
2. 요즘 머신러닝쪽으로 가시려는분들이 많이 보입니다. 그중에 당연히 저보다 학부도 좋고 수학같은 기본기도 더 탄탄하신 분들도 많을텐데요, 저 분야(머신러닝, 특히 로보틱스와 결합된) 가 제가 석사, 혹은 박사까지 마치고 졸업할때도 블루오션일까요?
일단 학문보단 취업이나 창업쪽을 생각하고 있습니다만
개발자로 나가는것보다 평균적으로 일자리나 연봉같은 부분에서 이익일지요?
3. 대학원 진학을 위해 어떻게 준비해야하나요?
찾아보면 학점관리나 학부연구생 이야기가 많은데,
학부연구생은 교수님께 어떻게 컨택을 드려야하는건가요?
자대가 아니라 가고싶은 연구실에 컨택을 해도 무관한가요?
저 둘 외에 좋은 랩에 가기위해 준비하면 좋은것들은 어떤게 있을까요?
배워야할것도, 알아가야할것도 참 많은 것 같네요
멍청해보이는 질문일지라도 무지한 후배를 위해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할 것 같습니다ㅠㅠ
머신러닝 대학원 학벌 김GPT 2 10 12955
기계과 진로고민 김GPT 10 15 3435-
0 9 7089
타대학 진학관련해 질문 드립니다. 김GPT 1 6 5609-
1 4 10736
의대에서 인공지능 대학원 진학 김GPT 14 11 5028
soft robtics 김GPT 0 14 3589-
0 4 5650
머신러닝과 하드웨어 분야 진로고민 김GPT 0 4 7513-
151 26 40314 -
95 32 57546
대학원 월급 정리해준다 (공대 기준) 명예의전당 221 75 175735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0.07.10
2020.07.10
2020.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