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지스트/유니스트

2023.11.30

10

2299

두 과기원에 들어가려는 고등학생입니다. 지스트는 1차를 붙은 상태입니다. 대학에서 인턴경험과 논문을 많이 쌓은 뒤 해외 유학을 석박사를 나가고 싶습니다. AI/ML분야를 지망하고 있습니다. 어느 대학으로 가는 것이 좋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3.11.30

학교간 차이는 국내에서도 무의미하고, 해외에서는 더더욱 무의미하다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해외유학을 나가는거는 학부때 얼마나 교환학생 프로그램 및 연구실인턴등을 통한 성과를 냈는지 차이가 훨씬 커요.
쉽게 말씀드리면, "지거국 다니는 A학생"과 "spk다니는 B학생" 이 있다 하죠.
A학생은 교환학생으로 퍼듀에 갔고, 수업도 가고싶은 교수수업도 청강하면서 열심히 좋은모습 보여줬고, 자대랩에서 해외학회에서 포스터라도 경험이 있다 하죠.
B학생은 국내 탑대학에서 열심히 공부해서 괜찮은 학점 유지하고, 연구실 인턴경험은 있지만 유의미한 성과는 못냈습니다.
둘중 A학생이 유학갈 확률이 훨씬 높습니다.
참고로 저는 spk학석박에 탑대학에 포닥으로 있으면서 한국인 박사/포닥들 많이 만났는데, 거기에서 A코스(지거국이라는 학교제외..)를 밟은 학생이 훨씬 많습니다. spk에 교환학생 등의 프로그램이 잘 구축돼있으나, 그걸 활용하는사람도 사실 극소수에 저때만해도 전문연으로 많이들 자대에서 박사학위 30전에 받는걸 선택했어요.
결과적으로 유학을 생각하시면 학교보다 학부때 어떻게 준비하는지가 훨씬 중요하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대댓글 4개

2023.11.30

지스트가 교환학생/칼텍으로 인턴 등의 프로그램들이 잘 되어있던데, 그럼 지스트로 가는게 맞겠죠? 제가 성균관대 수학과또한 앞두고 있는데, 과기원을 가는 것이 더 나은 판단일까요?

2023.11.30

세상일은 아무도 모릅니다.
근데 제가 학계에있지만, 카이스트에서 학위를 받아서 그런지 몰라도 과기원에 대한 인식은 좋습니다. 사실 입결은 정확히 모르고, 여기에서 학생끼리 서로 말하는 연고대급인지 서성한급인지 이런것도 잘 모르고 관심도 없지만, 그럼에도 과기원출신이면 뭔가 열심히 살았겠구나 라는 인식은 '개인적으로' 갖고있어요.
성대도 상당히 좋은학교임은 분명하고, 특히 대학원은 최근 실적푸쉬가 심해서 그렇긴하지만 실적도 좋은편입니다. 제가 자연계를 잘 모르지만, 본인이 수학과로 가고싶은게 아니면 굳이 갈이유가있을지 모르겠네요. 내부 교환학생 프로그램등 잘 비교해보세요.
카이스트는 조텍이랑 교류많이하고, 특정학과는 학부부터 듀얼디그리 제도있는데, 이 제도 활용해서 조텍이나 탑3 대학원 간 친구들 많이 있었습니다.

2023.11.30

사실 여기에 알아보니 과기원은 계속 저물 것이고, 유니스트가 그나마 선방하는 중이라해서 꺼려지는 것도 있는것 같은데, 그것에 대한 의견은 어떠신가요?

2023.12.01

사람들 말 하나하나에 다 신경쓸필요 없습니다. 저도 30초중반의 짧은 인생을 살아왔지만 학계에 있으면서 느낀게 사람들은 좋은말보다는 안좋은말을 더 많이 한다는 겁니다. 과기원도 마찬가지로 여러가지 좋은점들이 있는데, 그점보다 안좋은말들을 더 많이 들으신것일 겁니다.
물론 예전 저보다 10-20년 전 선배님들때의 인하/아주/부산/경북대의 상황과 제가 입시볼때의 상황, 그리고 현재의 상황은 매우 차이가 크긴합니다. 근데 이런것들을 예측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결국 본인하기 따름이며, 어차피 좋은곳 유학가시면 어디든지 가고싶은곳 모두 가실수 있으실겁니다. 과기원이 아니라 어느 지방사립대 나와도, top10에서 박사학위받으면 국내외 여러잡 모두 길이 열립니다.
활기찬 소크라테스*

2023.12.01

님이 흥미있는 연구를 하는 연구실이 있는 학교 아무데나 가세요. 유학생각 있으면 논문 실적이 가장 중요한데 (인턴경험보다 훨씬 더 중요), 두 학교 정도면 님의 논문 실적은 학교에 따라 정해지지 않고 님 개인 실력에 따라 정해질겁니다.

2023.12.01

유니스트... 추천

2023.12.01

저도 진학하기전에는 여러 장단점들 물어가며 비교 했지만 막상와보니 학교가 잘난것과 내가 잘난것과는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더군요. 학교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과 장학금 주변 생활환경을 고려하시어 가장 만족스러운 삶의 질과 성과를 낼수있는 학교로 진학하시기 바랍니다. 학교 서열 줄세우기는 아무 의미 없습니다.

2023.12.01

줄세우기는 의미없지만 주변 시설은 지스트가 훨씬 나을겁니다. 첨단동이 뜨고있거든요. 가까운 거리 버스 타고 갈 수 있는곳은 지스트가 훨씬 많아요

2023.12.02

지스트 박사과정임.

특정 분야를 봐야함. 지스트는 CV 쪽에 젊은 교수들 많이 임용되어서 CVPR, ICCV 등 주요 컨퍼런스 논문 많이냄. 유니스트는 종합대학 특성이 있음. 특히 디자인 쪽이 있어서 로봇 연구실에서 로봇공학 연구도하고 직접 로봇 디자인도함. 평균적인 실력차이는 거의없음.

추가로 지스트 학부 때 칼텍, 보스턴 대학, 버클리 등 연수는 그 대학 계절학기 영어수업 두세개 들으면서 거의 걍 놀러가는거임. 실질적인 협력을 보려면 공동연구 과제가 있는지, 같이 쓴 논문이 있는지 그런 기사를 찾아보셈. 예시로 지스트는 지스트가 직접 펀딩해서 MIT랑 공동연구 해서 연구하러 학생들 자주보냄.

결론) 평균적인 실력은 비슷하니, 세부 전공의 우열을 보고, 딱히 세부전공을 안정했으면 편의시설은 지스트가 더 좋음(유니스트 개깡촌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