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알지 못하여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저희 랩실의 경우, 프로젝트를 받아 온 이후에 원생들에게 참여 의사를 묻는데, 선배 한분이 어지간하면 참여하지않고 개인 연구를 하는걸 추천한다고 하여 좀 신기했습니다. 이유를 여쭈어보니 하고싶은게 아닐 확률이 높고 개인시간도 많이 줄어드는데에 비해 얻어가는건 적다고 하더라고요. 실제로 그선배는 개인연구를 하여 논문은 괜찮게 많이 내신 우수한 분이신걸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기업/정부에서 받아오는 프로젝트도 추후 취업할때 도움도 많이 되고 좋은 경험일거라 생각했는데, 단순히 성향 차이일까요? 여러분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분야는 AI, ML 쪽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덤덤한 니콜라 테슬라*
2023.11.22
취업이 목표면 플젝 나쁘지 않은데 교수가 목표면 본인 논문 양과 질에 신경을 써야해서
원하는 목표에 따라 다르겠죠
대댓글 1개
2023.11.22
답변 감사합니다! 전 취직쪽이 목표니 그럼 플젝 열심히 해봐야겠네요.
2023.11.22
석사면 어짜피 탑 컨퍼 못쓰니 그거라도 하면 좋은데 박사할거면 시간 낭비는 맞음. 애초에 대형랩은 박사들은 기업과제 안 맞고 석사들 위주로 하는게 일반적이고
대댓글 1개
2023.11.25
당장은 석사후 취업 생각중입니다!
2023.11.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과제에서 인건비 받는거 아님? 참여의사를 물어본다는것도 신기하네.
대댓글 1개
2023.11.25
과제하는만큼 인건비를 주는것같더라고요 저도 아직 자세히 알지는 못하지만 기본 얼마 + 과제 개당 추가로 얼마 이렇게 주는분위기였습니다
2023.11.22
대부분 플젝은 돈벌이 외에는 도움안됨, 짜치는것들이라 취업때도 무의미
2023.11.22
과제 따고 이름 넣다는건가 이해가 안가는데 과제가 스펙이 되려면 연구과제를 더 늘려야지 기업과제는 빅테크 가는데 아무 도움 안됨. 보통 밥값하라고 프로시딩 하나 못쓰는 애들 뺑이 돌릴 때 시키긴 하는데 스스로 하겠다 할 필요는 없음
2023.11.22
취업에 연결될 수 있긴 하나, 확률이 매우 낮기 때문에 박사급이면 자기 연구해서 실적쌓는게 낫죠 ㅎㅎ
2023.11.22
사실 근데 논문 쓰면서 배우는 것보다 과제 제안서/결과보고서/과제 진행 등등 하면서 배우는게 회사 들어가서 일할 때 훨씬 도움되긴 함. 이게 과제 진행하는거 익숙해지지 않으면, 회사 생활 초반에 쉽지 않기는 한듯.. 회사에서 어차피 논문 안 쓰니까..
2023.11.22
연구실에 돈이 여유가되나보네요. 연구비 없으면 연구안되는 곳은 강제 참가입니다. CS라서 컴퓨터만 있으면 되서 그런가 천국이네요
2023.11.22
대댓글 1개
2023.11.22
2023.11.22
대댓글 1개
2023.11.25
2023.11.22
대댓글 1개
2023.11.25
2023.11.22
2023.11.22
2023.11.22
2023.11.22
2023.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