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5.7에 MPDI 저널을 안 좋게 평가하시는 분도 많은 것으로 알고 있어요. 그래도 석사가 실험, figure setting, 초안 작성, revision 모두 참여하였다고 하면 첫 논문으로는 괜찮은 시작인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튼튼한 알베르 카뮈
IF : 1
2023.08.12
해당 저널이 어떤지는 잘모르겠으나 MDPI는 전체적으로 약탈적 저널로 찍힌 상태라... 굳이 실적 내겠다고 MDPI썼네라는 인식으로 굳혀질까봐 걱정됩니다.
IF가 낮더라도 전통적인 저널에 쓰는게 좋습니다.
궁금한게 교수님이 MDPI쓰라고 하신건가요? 아니먄 학생의 개인적 생각인가요?
대댓글 1개
점잖은 찰스 다윈작성자*
2023.08.12
교수님이 쓰라고 하셨습니다.
2023.08.12
석사 논문이면 ㄱㅊㄱㅊ
2023.08.12
그정도면 석사 논문이면 괜찮음
2023.08.12
계륵같은 프로젝트들 그냥 후다닥 해치워놓으려고 넣는것같아요. 바이오쪽은 거진 한달만에 프로세스가 완료되니 리비전이나 리뷰도 정상적으로 진행됐다고 할 수 없죠. 석사레벨이면 구색을 맞춘 프로젝트를 진행하긴했다 정도로 얘기할 순 있지만, 박사졸업생이 주저자 논문을 mdpi로 제시하면 거의 대접 못 받아요. 본인이 6개월-1년정도의 시간을 그 논문에 더 투자할 의향이 있으시면 교수님께 어필해서 다른 곳 찾는게 훨씬 나아요.
2023.08.12
개인적으로는 mdpi는 비추.. 차라리 IOP nanotechnology 같은데가 더 낫지않나 싶네요. 그정도 급이면 invitation 받아서 쉽게 퍼블리시 할만한데가 많을텐데... mdpi는 포닥한테도 게스트에디터 초청 하면서 수락하면 10명까지 게제로 무료로 초대할수있게 해준다고 꼬심여.. 그래도 안해줌..
2023.08.12
나노머티리얼이면 그냥 석사논문으로 준수한 정도임. 혼자서 프로세스 다 경험하기에는 좋은거 같은데 박사할때는 이제 더 좋은 곳에 내는걸 목표로 하면 되고
2023.08.12
석사가 실험, figure setting, 초안 작성, revision 모두 참여ㅡ이정도면 누가봐도 기특하고 좋게 보죠. 석사 첫 작업물이면 나쁘지 않은거 같습니다
2023.08.12
대댓글 1개
2023.08.12
2023.08.12
2023.08.12
2023.08.12
2023.08.12
2023.08.12
2023.08.12
2023.08.12
2023.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