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출연과 계속 묶어서 다녀야 한다면 박사님께 말씀드리고 함께 방안을 찾는게 좋을듯 합니다. 학교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인서울 상위권 학부 3점 초반대 아니라면.... 몇 번 까일거 각오하셔야 할듯합니다.
대댓글 1개
2023.06.05
다 제 업보니.. 지금 있는 경험이라도 잘 다듬어서 연락드려야겠습니다,
2023.06.05
코로나때 지원 학생이 많아서 장학금 티오가 부족했던걸로 알고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티오가 널널하다고 들었어요. 그리고 유니스트는 등록금과 학생경비(월급 지원)가 나오기때문에 평균적으로 교수님들이 학생 뽑을때 돈걱정을 덜 하는 편입니다. 그리고 제 개인적인 생각인데 정출연과 학교를 오가며 연구하는 것 보다는 학교에서 노예처럼 일하는 학생을 더 선호할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생각보다 유니스트 입학이 어렵지 않아요. 랩바랩이지만 정말 낮은 대학교 학생들도 간혹 보이곤 합니다. 선택에 도움이 됐길 바라요~
대댓글 1개
2023.06.05
감사합니다..
2023.06.05
유니스트는 아니고 카이스트에서 학위받았는데, 저희경우에는 일반장학생은 회사 소속으로, 회사에서 등록금 지원해줘서 파트타임으로 가는 방식으로 알고있습니다. 대기업, add등 다양한 곳에서 온걸 봤고, 특히나 박사과정은 정출연 소속들이 파트타임으로 오긴하죠. 지금 정출연에 정규직으로 계신게 아닌것으로 보이는데, 일반장학생이 되는게 맞는지 궁금하네요. 혹시 유니스트는 일반장학생 과정이 다르다면 이해는 합니다만.. 비슷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주변에서 정출연으로 파트타임으로 일반장학생으로 오는경우는 모두 정규직신분이였습니다.
대댓글 2개
2023.06.05
넵 정규직분들은 정출연에서 교육경비가 다 나오겠지만, 저 같은 계약직(실습생)의 경우 기관만 빌리고 경비는 제가 부담합니다!
2023.06.05
그니까 그런게 가능한건가요?? 제가 예전에 카이스트에서 학위받을때 일반장학생 분들은 경비를 지원할수 잇는 소속이 있어야지만 지원이 가능했던것으로 알고있어서요.. 그리고 그게 된다고해도 사실 굳이 번거롭게 그렇게 하시는 이유도 모르겠습니다. 학연과정이 아니면 현재 정출연에서 지속적으로 일하는것도 PI랑 서로 얘기가 돼있는 상황이여야 할겁니다..
2023.06.05
대댓글 1개
2023.06.05
2023.06.05
대댓글 1개
2023.06.05
2023.06.05
대댓글 2개
2023.06.05
2023.06.05
2024.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