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자율주행 랩 관련 질문입니다.

2023.05.31

6

2838

국숭세단 라인 기계공학과 3학년 2학기이고 현 시점 총 평점 4.3/4.5 전공평점 4.4/4.5입니다.
자대 자율주행 랩에서 URP 8개월정도 진행 중이고, 논문은 아직 없습니다.
랩실 선배들이랑 만든 자율주행 동아리에서 자율주행차 제작 대회에 나간 경험 있고, 장려상 받았습니다.
내년에도 현대차 주관 자율주행 대회 나갈 예정입니다.

제가 관심있는 분야는 동역학 기반 제어, 제어기 설계 및 검증, 시뮬레이션 입니다.
영어 성적은 텝스로 서울대 기준 충족시킬 정도입니다.

포스텍은 이 분야가 약한 것 같고, 서울대랑 카이스트 랩실 알아보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서울대 ㅇㄱㅅ교수님 랩실에 제일 가고싶은데, 더 준비된 상태에서 컨택을 하고싶습니다.

이 상황에서 경쟁력을 갖추려면 어떤 쪽으로 집중해야될까요? 혹시나 이 랩실에 계신 선배님들이 보실 때, 제가 컨택이 될지도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3.05.31

SLAM이나 YOLO같은 알고리즘 공부해보시는건 어떨까요? 서울대 공대 학부생인데, 제주변 자율주행 공부하는 친구들은 그런 이론적인 것들이랑 프로그래밍 공부 하던데요.

대댓글 1개

2023.05.31

안그래도 3D SLAM에도 관심 있어서 생각이 있었는데 해봐야겠네요. 조언 감사합니다!!

2023.05.31

와… 자율주행 연구실 재학 중인 석사생인데 감탄스럽네요 ㅋㅋㅋㅋ 저도 윗분 말씀처럼 computer vision이나 SLAM쪽 살짝 맛 보시는거 추천드립니다! 저는 자율주행 쪽에서 인지 분야로 연구 주제를 잡고 있는데 주변 동기들은 다 제어입니다 보니까 제어쪽은 학부생이 matlab이나 simulink에서 모델 기반으로 로직 구성해도 이걸 적용시킬 장비가 마땅하지 않은데, 앞서 말씀드린 두 가지는 상대적으로 수월해요 그리고 아직 3학년 2학기라고 하셨으니 졸업할 때 가능하다면 인턴 중인 연구실이나 졸업작품 또는 대회에서 준비한 내용으로 논문 써보시는거 강추합니다! 같은 분야로 진학하는 후배분 뵈니까 기분이 좋네요 ㅎㅎ 혹시 질문 있으면 편히 주세요!

대댓글 3개

2023.06.01

우와.. 선배님 진심어린 조언과 격려 감사드립니다!! 다행히 저희 랩실에 구현시킬 모델이 있어서 매트랩 시뮬링크로 로직 구성해서 논문 작성할 생각입니다. SLAM도 건드려보고있구요. 혹시 세가지만 질문드려도 될까요?
1. C/C++ 역량이 필수적인지
2. 서울대 자율주행 랩실이 인기랩일텐데 저정도 스펙으로 가능할지(사실 애매한 질문이긴 합니다..)
3. 제어에만 집중해야하는지 아니면 적어도 판단까지 같이 공부해야할지(대회 나갈때마다 제어파트만 맡아서 인지 판단에 대한 깊이가 상대적으로 얕아서 고민입니다..)

시간되실때 편하게 답변주세요 감사합니다!!

2023.06.01

1. 극단적인 답변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저이지만, 기본적인 문법은 익히고 다른 사람이 짠 코드를 이해할 수 있을 정도면 괜찮습니다! 특히 C++은 깊게 팔수록 난해한데, 이건 프로젝트나 과제 진행하면서 그때 그때 API 문서 보고 필요한 함수 골라서 적용할 수 있을정도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비전쪽이지만 python이랑 C++ 둘 다 사용중입니다! C++은 C언어의 객체지향 버전이기 때문에 C언어 기초문법을 익히고서 배우시는걸 추천합니다!

2. 저는 솔직히 많이 놀랬습니다 ㅋㅋㅋ 제 기준으로는 정말 열심히 살아오신거 같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서울대 자율주행 랩실이 인기랩인건 사실인데 자신감을 가지셨으면 좋겠습니다! 앞서 말씀하신 활동들을 면접이나 자기소개서에서 잘 풀어내시면 좋을거 같아요 저도 동아리에서 자율주행 대회 나가거나 연구실 인턴 활동을 했었는데 이런 활동들을 유기적으로 연결지어서 스토리 형식으로 만드는게 중요합니다! (이런 활동을 통해서 특히 뭐뭐 분야에 관심이 생겼다 등등) 그리고 서울대뿐만 아니라 카이스트도 같이 지원해보셨으면 좋겠어요…! 대학원 입시는 컨택이 끝났다고해서도 변수가 많아서 항상 카드 패는 많이 가지고 있는게 좋습니다아

3. 저는 학부생 때는 넓은 분야를 파면더 동시에 그 분야들 사이에 순위를 매기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입장입니다 때문에 전 학부생 때 다른 팀원이 어떤 역할을 맡고 있는지나 무얼 공부하고 있는지 호시탐탐(?) 봤던걸로 기억해요! 인지는 앞서 말씀드린 딥러닝 모델이나 영상처리쪽 맛보기하시는거 추천드립니다! 판단분야는 주로 prediction, estimation 이라는 키워드랑 연관되는데 이와 관련된 예측 모델 공부를 해보시는걸 추천드려요! E.g) 칼만필터

2023.06.01

선배님 정성담긴 답변 감사드립니다!! 학부생때 넓게 발을 걸치며 공부해보고, 순위를 매겨 선택의 폭을 넓히는게 중요하다는 말씀 와닿네요.. 조언 새겨듣고 남은 학부기간 잘 마무리하겠습니다 ㅎㅎ 카이스트도 지원할 예정입니다 나중에 현업에서 뵈면 좋겠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