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곰곰히 생각해보면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중에 딱히 인생에 도움이 되는 얘기가 없음.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의 핵심은 언제나 "어차피 안될거 해서 뭐함?" 이었음.
재능론자들 허구한날 남이 하는 노력 무시하고 바보취급하면서 지혼자 세상 깨우친척은 다하는데, 결국 그런 마인드에 발목 붙잡히는걸 무수히 많이 봄.
정말 죽기 일보 직전까지 갈 정도로 피나는 노력을 했음에도 재능앞에 무너져 본 사람이 재능론을 설파한다면 안따깝고 귀감이 되는 조언으로써 귀담아 듣겠으나, 주변의 재능론자들 100%는 노력하지 않음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고 그런 자신에게 면죄부를 주고자 재능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이었음.
재능이 있냐없냐는 내가 노력을 할지말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아님. 설사 재능이 없어서 쏟은 노력대비 남들보다 효율이 안나와도, 조금씩이라도 발전하는 나 자신을 위해 노력을 쏟는거임. 노력하는 내가 있는 그곳에 발전하는 내가 존재한다는 그 사실 하나만으로도 노력의 당위가 성립하는거임.
노력이라는 행위를 부정하는 사람들은 타인은 물론 자기 자신조차도 사랑할 줄 모르는 것임.
재능과 노력중 어느 쪽이 중요한가?
32
- 기왕하시는거 생물학까지 삼중전공 하시는게 어떨까요?
이 시대의 진정한 자연철학자에 도전해 보시는것도 낭만이 있고 멋질것 같습니다!
그것이 대학의 의미가 많이 변질된 오늘날 대학진학의 취지를 가장 잘 살리는 길인것 같기도 하네요. :)
물리학이랑 화학 복수전공 어떤가요?
23
- 당연히 교수가 쓴 글이 아니겠지만
이러한 사람은 교수를 하면 안됨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5
- 논문지도는 교수 능력입니다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1
- 본인은 이런말 하면 본인스스로 엄청 능동적으로 잘하고 있다 생각하시는거죠?? 아마 그런 지도교수한테 지도를 받고있겠고요. 본인이 그런 환경에서 크면 그렇게 느끼는 겁니다. 지도교수가 과제수주만 해줫는데 본인이 연구흐름과 논문작성 잘해서 빅페이퍼 뚝딱 쓸 인재면 본인이 훌륭한겁니다.
흔하게 자녀를 보면 부모를 볼수있다 하잖아요. 그만큼 지도교수한테 영향을 많이받는게 학생들입니다. 인자하고 연구윤리 철저하고, 시간내줘서 연구미팅 꾸준히 하는 교수밑에서 배운사람은 그렇게 하게됩니다. 저또한 운좋게 그런교수와 포닥PI를 만낫고, 현 제자들에게는 그렇게 해주려고 하고요.
뭐가 더 좋은지는 모르고, spk만 되도 학생들 스스로도 충분히 잘할수있다 생각하지만, 연구흐름 잡거나 논문 쓰는 흐름 잡는것은 교수도움 받는것이 좋습니다.
해외 유수대학들은 잘하는 포닥들이 준PI급으로 잇기에 포닥과 같이 연구해서 논문쓰는게 가능하지만, 국내에서는 선배라해도 박사과정 n년차인데, 그때는 본인도 경험부족으로 잘 모르는 상황에서 괜한 연구흐름 잡아주는게 맞을까 싶네요.
스스로 실패와 좌절 해가면서 배우는게 연구다라고 생각하시면 그런 삶을 사시는건 본인 자유입니다. 다만 그것만이 맞다 라고 우기는건.. 너무 근시안적인 사고방식 같네요 ㅎㅎ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18
대학원 면접 원래 이런가요...?
2020.06.10
20
41189

안녕하세요,
이번에 대학원 면접을 본 1인입니다.
그런데 한 교수(짬밥 제일 높아보이는)가 귀찮은 티를 팍팍내면서 한숨쉬면서 면접을 진행하였습니다. 그리고 몇 가지 질문을 하는데 좀...공격적이었습니다
우선 제 학과가 특이하다보니 '학생 전공은 우리 과와 맞지 않는다. 그런데 잘 할 수 있겠냐' 묻길래 '제 학과가 특이하긴 하지만 충분히 관련 있는 학과이고, 못 배운 과목은 열심히 해서 따라잡겠다'라고 하니 추상적인 말은 필요없고 구체적인 근거를 가져오라 하더군요...뭐라 할 말이 없어서 그냥 열심히 하겠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학점에 대해 이야기를 했습니다. 저는 중경외시 중 한 곳에 재학중이고, 학점은 4.2정도 되서 솔직히 학점에 대한 말은 없을 것 같았는데...그 교수가 '학교 생활 되게 재미없게 했네'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방학 때 아르바이트를 하고 학기 중에는 학점 관리하느라 그랬다고 대답했습니다.
솔직히 등을 기대고 면접을 보는 교수의 태도와 귀찮다는 말투가 좀 기분나빴습니다. 그리고 공대에서 전공 공부, 프로젝트 외에 뭘 더 해야하는지도 모르겠는데 그걸 가지고 꼬투리 잡는게 어이없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제가 학부연구생 경험도 없고, 학교도 면접본 곳에 비하면 낮고, 학과도 특이한 학과이다보니 뽑을 마음이 없어서 일부러 그런가 싶어서 우울해지기도 합니다.
다른 대학원도 면접을 보면 이런가요...? 첫 대학원 면접이라 잘 몰라서 제가 너무 예민하게 반응하는게 아닌지 좀 조심스럽기도 하고, 다른 분들의 의견이 궁금해서 글을 써 봅니다.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김GPT
지잡대 대학원, 교수, 대학원생39
33
18087
김GPT
대학원 면접 원래 이런가요..?1
6
2008
-
2
10
4247
김GPT
대학원은 왜 이럴까요?10
12
7993
김GPT
원래 대학원이 다 이런가요,,,?8
10
6738
김GPT
대학원 면접..0
1
4856
김GPT
대학원 면접 원래 이런가요?2
4
7985
김GPT
질문있습니다...0
6
845
김GPT
컨택 답장 반응 어떤가요....?1
5
1840
명예의전당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246
23
38361
명예의전당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75
18
14695
-
205
25
13790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0.06.10
2020.06.10
2020.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