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문제된걸 갖고 공익을 받으려면 6개월 이상의 지정 병원 진료 기록이 필요하다는데, 내가 간 곳이 지정 병원이 아니고 심지어 불규칙적으로 진료받아서 기록이 별로 없음
그렇다고 지금 꾸준히 6개월치 진료 기록 쌓기엔 시간이 너무 낭비되는거 같음
깔끔하게 갔다오자니 중간에 건강 지랄나면 어떻게 하나 걱정임
병역때문에 취업을 할 수도 없고 걍 인생 개꼬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3.03.13
아 5년차가 아니라 4년차임 헷갈렸네
IF : 5
2023.03.13
몸이 먼저야
쩨쩨한 소크라테스*
2023.03.13
건강 문제 때문에 대학원을 나왔는데 다시 군대를 들어간다? 걍 6개월 쉰다생각하고 진료받으세요..
2023.03.14
난 6년전 대학교 학사 1학년때 (지금은 미졸업 선취업 휴학) 학교다니면서 1여년정도 넉넉하게 시간이랑 약간의 돈을 들여 병무용진단서를 겨우 따냈어
난 일상생활에 아무런 문제없는 희귀난치병으로 진단받음. 이 사유로 산정특례받고 병무용진단서를 받기위한 필수과정인 xray, mri, ct비용을 95%, 진단비도 포함. 할인받았어 그리고 몇개월뒤 4급판정받고 바로 지역소관 기관들에 연락돌려서 암암리에 미리 티오받고 연말 공익근무배치 신청해서 시청산하 공공기관으로 공익근무 들어갔었음. 공익도 1년10개월가량 근무경력이 인정이되니까 20대초에 투자한 시간대비 좋은 트리였다고봐 이 나라에서 군병역문제는 아예 처음부터 발판을 걸고 가야 나중에 뒤탈이없어.. 그때까서 판을 굴려봐도 늦은거지 ㅠㅠ
2023.03.13
2023.03.13
2023.03.13
2023.03.14
2023.03.14
2023.03.16
2023.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