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이거 방치인가요?

2023.03.03

15

1984

안녕하세요, 랩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제가 인턴하고 있는 랩은 대형 랩인데, 세미나에서 연구 내용을 발표하면 그에 대한 피드백을 주십니다. '뭘 해야한다'는 지도는 있는데, 어떻게 해야할지는 스스로 해야합니다. 다른 랩들은 어떤 식으로 지도가 진행되나요? 피드백을 충족시키려고 이것저것 하고있긴한데, 아무래도 스스로 하다보니 맞게 하고있는지 의구심이 듭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3.03.03

글쓴이분이 이제막 석사시작햇고, 진짜 아는게 아무것도 없고, 지도교수님들이 바쁘시다면, 데이터가 있으니 그다음 연구방향이라도 알려주면 다행... (개인적으로 연구방향이라도 도움을 받아야 연구가 산으로 안가기에 다행이라고 생각함.)

어떻게 해야할지는,,, 선배들에게 싹싹빌고 이런 데이터구해야하는데, 어떻게 할수있을까요?? 조언을 구하거나 구글링 해서 직접 시도ㄱㄱ

대댓글 5개

2023.03.03

저도 나름대로 하고싶은 방향이 있어서 그대로 하고 있는데, 지시대로하는 게 아니라 제가 자율적으로 하고있다보니 맞는 방향인지 의구심이 드네요 다른 랩실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선배들께 도움을 받아야겠네요 감사합니다

2023.03.03

자율적 행동은 좋은데, (정말 좋은 태도이자 연구자가 가져야할 기본적 소양입니다.)

연구 초심자시고, 도움을 기꺼이 받을수있는 상황이면, 도움을 받더라도 빠른시간내 적응 되는게 더낫지않을까요.
그럴려고 실험실에 들어간게 아닌지... 아래 댓글중 처음부터 다 혼자해야한다. 이러고 잇는데, 그럴꺼면, 그냥 실험실 직접 다차리고, 장비구매및 모든거 다세팅하고 해야죠.

연구도 트렌드가 있듯, 효율적으로 깊이 있으면서, 최대한 빠른 결과를 내는게 중요한데, 받을수있는 도움 굳이 미루고, 혼자하겠다고 악악 쓰는것도 똥고집입니다. 그렇게 혼자하겠다고 하다가 시간만 흐르고, 졸업 할때까지도 마무리 못하고 인수인계하고 끝내는거 보면 현타오지않나싶네요.

논문을 하나 빨리 쓰는게 중요하다고 하는이유는, 그끝맺음이 이뤄진 연구를 통해 한과정의 연구를 경험해보고, 다음 연구는 어떻게 시작하고 어떻게 진행해야하는지 가늠 잡히기때문입니다. 그때부턴, 진짜 연구자 마음대로 자율적으로 하든 말든 하세요.

아래있는 댓글중 하나처럼 처음부터 뭐든지 다 혼자서? 그건 바보같은 말입니다. 시간만 낭비하고, 저널논문도 못쓰고 졸업하게 되는경우 대다수.

2023.03.03

정성어린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주기적으로 열리는 세미나에선 연구내용을 발표 후 교수님께 피드뱍을 받듯비나. 세미나 주기가 길어질 때는, 연구 방향을 박사 선배님과 디스커션해보려고 하는데, 이런 식의 도움 말고 추가적으로 조언이나 지도를 받을 방법이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2023.03.03

아주 좋은 생각입니다.

그것이 바로, 포닥들이 있는 이유기도 하죠. 박사과정 학생들에게 조언받아도 되고, 포닥에게 받아도 됩니다.
따라서 그들과 디스커션 전에 확실히 데이터들의 가시성을 좋게 만드시고, 물어보고 싶은것과 조언받고싶은것 확실하게 준비하셔서, 대화나누시길바랍니다.

그리고 그들도 연구하는 인적 자원이기에, 시간이란게 중요한데요. 그만큼 시간적 소모가 크지 없도록 최대한 잘 깔끔히 준비하셔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2023.03.03

조언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연구를 진행하는 게 재밌으면서도 부담스러운 마음도 있었는데, 조언을 듣고 나니 한층 마음이 편해지네요. 앞으로 가야할 방향이 더 선명해진 것 같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겁먹은 레오나르도 다빈치*

2023.03.03

어떻게 해야한다를 스스로 찾는 게 연구 아님?..

대댓글 1개

2023.03.03

다른 랩실도 이렇게 진행되나요? 제가 잘 몰라서 여쭤봤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IF : 5

2023.03.03

진짜 방치하는 랩에서는 피드백 자체가 없습니다

대댓글 3개

2023.03.03

그럼 그런 랩은 처음부터 끝까지 스스로 하나요?

IF : 5

2023.03.03

할 줄 아는게 없으니 스스로 하는게 아니라 걍 아무것도 못하죠. 맨 처음부터 들이받는 것도 자기 원래 하던 것이 있을 때 그때 경험 바탕으로 처음부터 주도해보는거지, 인턴이나 신입생한테 너 니가 다 해! 하는건 방치를 넘어 직무유기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반대로 계신 랩은 나쁘지 않아 보여요. 교수는 학생도 많고 해서 디테일까지 지도하기 힘들거예요. 인턴한테도 교수가 적당히 방향까진 제시해주되(인턴이야말로 방치해두기 쉽죠) 세세한건 대형랩의 장점을 활용해 선배들이랑 디스커션하거나 혼자 공부하면서 찾아가는 정도로 해결하면 꽤 적절한 환경같아 보입니다.

2023.03.03

선배님들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저부터가 더 열심히 해야겠네요 제 할 일도 열심히 잘 하고, 박사님들께 도움을 받으며 발전해보겠습니다 조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3.03.03

교수가 시키는 일만 하는 연구는 학부생 수준
대학원에서부턴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혼자서 해나가야한다고 봄

대댓글 1개

2023.03.03

혼자 해나가는 길이 쉽지만은 않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건강한 피보나치*

2023.03.04

방치가 아니라 방임 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