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곰곰히 생각해보면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중에 딱히 인생에 도움이 되는 얘기가 없음.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의 핵심은 언제나 "어차피 안될거 해서 뭐함?" 이었음.
재능론자들 허구한날 남이 하는 노력 무시하고 바보취급하면서 지혼자 세상 깨우친척은 다하는데, 결국 그런 마인드에 발목 붙잡히는걸 무수히 많이 봄.
정말 죽기 일보 직전까지 갈 정도로 피나는 노력을 했음에도 재능앞에 무너져 본 사람이 재능론을 설파한다면 안따깝고 귀감이 되는 조언으로써 귀담아 듣겠으나, 주변의 재능론자들 100%는 노력하지 않음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고 그런 자신에게 면죄부를 주고자 재능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이었음.
재능이 있냐없냐는 내가 노력을 할지말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아님. 설사 재능이 없어서 쏟은 노력대비 남들보다 효율이 안나와도, 조금씩이라도 발전하는 나 자신을 위해 노력을 쏟는거임. 노력하는 내가 있는 그곳에 발전하는 내가 존재한다는 그 사실 하나만으로도 노력의 당위가 성립하는거임.
노력이라는 행위를 부정하는 사람들은 타인은 물론 자기 자신조차도 사랑할 줄 모르는 것임.
재능과 노력중 어느 쪽이 중요한가?
32
- 기왕하시는거 생물학까지 삼중전공 하시는게 어떨까요?
이 시대의 진정한 자연철학자에 도전해 보시는것도 낭만이 있고 멋질것 같습니다!
그것이 대학의 의미가 많이 변질된 오늘날 대학진학의 취지를 가장 잘 살리는 길인것 같기도 하네요. :)
물리학이랑 화학 복수전공 어떤가요?
23
- 당연히 교수가 쓴 글이 아니겠지만
이러한 사람은 교수를 하면 안됨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5
- 논문지도는 교수 능력입니다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1
- 본인은 이런말 하면 본인스스로 엄청 능동적으로 잘하고 있다 생각하시는거죠?? 아마 그런 지도교수한테 지도를 받고있겠고요. 본인이 그런 환경에서 크면 그렇게 느끼는 겁니다. 지도교수가 과제수주만 해줫는데 본인이 연구흐름과 논문작성 잘해서 빅페이퍼 뚝딱 쓸 인재면 본인이 훌륭한겁니다.
흔하게 자녀를 보면 부모를 볼수있다 하잖아요. 그만큼 지도교수한테 영향을 많이받는게 학생들입니다. 인자하고 연구윤리 철저하고, 시간내줘서 연구미팅 꾸준히 하는 교수밑에서 배운사람은 그렇게 하게됩니다. 저또한 운좋게 그런교수와 포닥PI를 만낫고, 현 제자들에게는 그렇게 해주려고 하고요.
뭐가 더 좋은지는 모르고, spk만 되도 학생들 스스로도 충분히 잘할수있다 생각하지만, 연구흐름 잡거나 논문 쓰는 흐름 잡는것은 교수도움 받는것이 좋습니다.
해외 유수대학들은 잘하는 포닥들이 준PI급으로 잇기에 포닥과 같이 연구해서 논문쓰는게 가능하지만, 국내에서는 선배라해도 박사과정 n년차인데, 그때는 본인도 경험부족으로 잘 모르는 상황에서 괜한 연구흐름 잡아주는게 맞을까 싶네요.
스스로 실패와 좌절 해가면서 배우는게 연구다라고 생각하시면 그런 삶을 사시는건 본인 자유입니다. 다만 그것만이 맞다 라고 우기는건.. 너무 근시안적인 사고방식 같네요 ㅎㅎ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18
00대학 인식 어떤가요? 질문에 대하여
2023.01.28
19
5202


재혐오 댓글 방지를 위해 말씀드리면 YK학생입니다.
최근에 '이대 대학원 인식 어떤가요?'라는 질문성 글이 올라왔습니다. 해시태그로는 #컨택 #군대 #전문연 등이 있었습니다.
미루어 짐작했을 때, 대학 졸업 중이시거나 갓 졸업한 남자분일거라 생각합니다.
질문 글에는 진학하는 전공 분야, 랩실, 본인 상황과 교수님 연구에 대한 내용은 하나도 없이 '인식수준 어떤가요?'만 던지며 본인도 '예상되는 댓글'에 대해 인지는 하신 것 같습니다.
어느정도 댓글이 달리자 '싸우지 마세요ㅋㅋㅋㅋ'라는 질문자의 모습을 보면서.. 그분이 원하신 모습이 이건가..싶었습니다.
일단 댓글 분들이 95%이상은 남초환경에서 살다온 사람이 많고, 전체적인 이용자 성비도 남자가 압도적으로 많은 상태에서 ssh ist skp yk..누가 어느급이네.. 남의 학교 깍아내리는걸 스포츠로 생각하는 분위기인거 뻔히 아는데..(본인도 이미 문제성 혐오 댓글에 대해 인지하시 듯)
단지 '00대 인식'을 여기서 묻는다...?
사실 타대학을 물어도 헐뜯는 댓글이 많이 달리는 요즘 김박사넷을 보면.. 질문의 의도가 어느정도 의심이 되며, 마무리로 싸우지 말라고 웃으며 마무리 하는 모습에 그 의심은 더욱 커졌습니다.
질문자분이 일상에서 어떤 커뮤니티를 하고 계신지는 몰라도, 다른 커뮤는 몰라도 여기는 나름 열심하 공부하고, 각자 나름대로 미래 사회에 대한 긍정적 성과를 남기고 싶은 사람들이 많아서 좋았습니다. 덕분에 저도 좋은 분들께 많은 도움 받았으니까요.
예전부터 존재했지만, 어떤 젊은 정치인이 노골적으로 시작해 재미 본 갈라치기, 혐오 정치.. 이쯤되면 그 폐해에 대해 다들 한번쯤 생각해보셨을 것 같습니다.
이제 이런 놀이 그만좀 하고, 또 놀아나지 맙시다..
김박사넷에 00대학 '인식' 어떤가요?라는 질문이 사라지지 않겠지만, 그래도 언젠가는 줄어들기를 바랍니다.
요약:
1. 남성 질문자(예상)의 이대 대학원 인식조사
2. 혐오성 댓글을 말리며 즐기는 모습과, 거기에 놀아나는 모습은...사실 다른 여러 학교에서도 종종(혹은 더 자주) 일어났음
3. 검은 속내 느껴지면 무시하거나, 비교랑 혐오 좀 그만했으면 좋겠음....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김GPT
이대 공대 인식12
46
24253
김GPT
어느기자의 대학원생에 대한 평가19
16
9545
김GPT
성대 대학원이 많이 별로인가요,,,?4
9
10521
김GPT
명문대 인식?3
1
3331
김GPT
대학원 재수하는것 어떻게 생각하세요?0
8
8188
김GPT
고대 공대 인성면접0
9
4858
김GPT
아래 대학원 인식은 어떠한가요?1
9
6137
김GPT
대학원 재수0
4
4241
김GPT
명지대 어떤 대학이냐? 인서울중에서1
11
7581
-
227
26
67517
명예의전당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159
6
29216
-
35
9
12149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3.01.28
대댓글 4개
2023.01.28
IF : 5
2023.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