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바케인것 같아요. 보통 노트북으로 하거나 서버가 있어서 집에서도 다 접속 가능해서 집에서 하는게 편하면 집에서 하고, 연구실에 와서 하는게 더 집중이 잘되면 연구실에서 하고요.
대댓글 1개
2022.12.22
감사합니다
너그러운 그레고어 멘델
IF : 1
2022.12.20
연구하고 논문쓰고 행정처리하고 수업듣고 과제하고 모든걸 쳐내려면 하루 12시간씩은 앉아있어야 될듯합니다. 워라벨 생각하신다면 취직추천드려요
대댓글 1개
2022.12.22
감사합니다
IF : 1
2022.12.20
사실 논문쓰는것도 트레이닝 하는것도 모든일이 재택이 가능해서 굳이 남을 필요는 없는데 집에서 집중이 안돼서 남는 사람들 많음.
대댓글 1개
2022.12.22
감사합니다
2022.12.20
서버 등의 하드웨어적인 문제로 불가피하게 직접 와서 작업해야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저희 연구실에서는 각자 자유롭게 집중이 잘 되는 위치에서 연구를 합니다. 아무래도 연구실이 집중이 더 잘 되기 때문에 비율로 봤을 때 8:2 정도로 대부분 연구실로 출근합니다. 업무 시간대는 자율 출퇴근이라 천차만별인데 오전 10시에서 오후 10시, 오후 2시에서 새벽 2시 등 각자 집중이 되는 시간에 연구실에 계십니다. 혹은 오전에는 집에서 오후에는 연구실에서 하는 분도 계시고요. 평소보다 초과로 근무하는 빈도로 치면 각자 연차나 하고 있는 프로젝트마다 너무 달라서 정확하게 말씀 드리기가 어렵네요. 이건 wet-lab도 마찬가지일 거라 생각합니다. 다만 원격으로 업무가 가능하기 때문에 오래 걸리는 작업은 대부분 돌리고 나서 외부(집 혹은 바깥)에서 결과를 확인하는 경우는 꽤 많아서 상대적으로 연구실에 새벽까지 있는 경우는 드문 듯 합니다.
2022.12.20
대댓글 1개
2022.12.22
2022.12.20
대댓글 1개
2022.12.22
2022.12.20
대댓글 1개
2022.12.22
2022.12.20
대댓글 1개
2022.12.22
2022.12.20
대댓글 1개
2022.12.22
2022.12.20
대댓글 1개
2022.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