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연구를 많이 진행해놨는데 교수님께서 논문을 쓰지 말자고 하십니다

2022.11.09

12

9297

교수님께서 많이 지치신 것 같아요

2년 가까이 공들여온 연구라서 중단하기가 너무 아쉬운데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ㅜ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2.11.09

교수님께서 지치신 이유가 뭔가요? 보통 어드바이스만 하는 경우면, 어떻게든 논문화 시키고싶은게 일반적인것같은데요.
지치신게 아니라 논문화시키기에 연구에 큰 contribution이 없어보이거나, 아니면 논문쓰시는걸 워낙 학생분이 오래미루셔서 조금은 짜증나셔서 그냥 쓰지마라고 하시는게 아닐까요.. 이 두가지 경우는 제가 학위받으면서 둘다 본적이 있었습니다. 실제로 두개 교집합이였던게 외국인이였는데 결국 박사수료한상태로 나갔어요..

대댓글 3개

2022.11.09

contribution이야 어떻게든 만들 수 있는 부분이라, 아마 후자의 이유가 dominant할 겁니다.
글쓴이분이 태도를 180도 바꾸지 않는다면 졸업도 험난할 가능성이 높아 보이네요.

2022.11.09

내년에 정년이시라 연구를 그만하고 싶다고 하신 경우입니다. 불안하긴 했었는데.. 졸업 요건은 다 채우고 그 이상으로 논문 실적도 있어서 졸업은 상관이 없습니다. 다만 2년 가까이 진행시켜온 연구가 중단되는게 아쉽다는게, 그래서 조언을 구하고 싶다는 것이 이 글의 요지예요.
존 스튜어트 님) 제 글에서 태도가 드러날 만한 게 있나요?

2022.11.09

최대한 빨리 쇼부봐서 뭐 리비전 프로세스 빠른쪽에 제출하셔야겠죠..
정년이후에 학위과정은 어떻게되시는건가요? 과제예산이 있을때 처리해야되고, 혹시 그전까지 졸업가능할경우 어떻게든 정년전까지(과제예산 있을때) 논문투고 마무리짓는게 맞긴하죠.
이후에 남아있는 다른교수한테 공동지도받게될경우, 공동교신으로 해서 해당교수 연구비용으로 제출하는것도 한 방법입니다. (실제로 다른 정년별로 안남은 교수밑 학생이 6개월간 저희랩소속으로있으면서 그렇게 했음)

2022.11.09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시간낭비라 생각하셨을 듯

대댓글 2개

2022.11.09

네 곧 은퇴하셔서 요즈음 work가 아닌 life에 더 가치를 두시는 것 같아요.
저 뿐만 아니라 다른 원생분들의 연구도 중단시키셨어요. 대첵은 따로 주시진 않았구요..
참고로 본지/자매지 많이 내신 분야에선 유명하신 교수님 입니다.

2022.11.09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NSC 위주로 출판하는 연구실은 더더욱 그럴 수 있어요...화이팅..
진지한 찰스 배비지*

2022.11.09

흠...교수 이름만 넣어서 논문쓰는곳도 많은데 거긴 교수가 논문쓰는데 도움을 많이 주는군요?...
교수도움 없이는 못쓰는지?

2022.11.09

교수님이 지쳐보인다는 표현에서 그렇게 생각했었는데, 내년이 정년이라 그만하고 싶으신 것이라면 제가 걱정할만한 수준(졸업이 힘들 수 있는)은 아닌 것 같아 다행이네요. 다만, 본지/자매지 많이 내신 교수님이 그렇게 얘기할 정도라면, 애초에 논문 작성 프로세스가 본인의 힘이 90%이상 들어간다고 생각하고 계실 겁니다. 학생들은 아마 데이터를 가져오는 역할이었겠죠. 이 부분은 짧은 시간내에 바꾸기가 힘든 근본적인 문제 아닐까 싶네요. 아마 교수님이 그 정도로 논문에 집중하셨던 이유는 학생들의 졸업(과 그 이후 취업) 때문이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이네요. 이제 자기 책임을 다 하셨으니 내려놓으려고 하시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 그 책임의 범위에 대해서 교수님을 설득할 방법이 있을 것 같긴 한데, 좁은 문 같아 보이네요.

2022.11.09

근데 그냥 직접 마무리하고 교수님께는 종종 조언만 구하면서 이름만 빌리면 되지 않을까요? 혼자 진행이 어려우신 경우인가요?

2022.11.11

저랑 비슷한 경우군요... 향후 어떻게 하실지 계획이 잡히시면 공유해주시면 좋을 것 같네요... ㅠㅠ 저는 이미 졸업해버려서...

2022.11.17

혹시 학계로 빠지실 계획이면 잘 묵혀놨다가 임용되고 보강해서 출판하는것도 한 방법입니다. 물론 레드오션에 빨리 내는게 중요한 분야면 안되겠지만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