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미국 박사가 목표이면 솔직히 미국 탑100도 서울대보다 낫다고 생각.
서울대 버리고 갈 미국대학
20 - 회사에서 학사졸로 살아가느냐 박사졸로 살아가느냐의 차이가 있죠. 거기에 차이를 자각하지 못한다면 학사졸이 낫습니다.
똑같은 사람이 학사졸 vs 박사졸
20 - ....??? 저도 서울대 나왔지만.. 서울대의 연구는 당연하고 교육 수준은 거의 모든 T50보다 낮습니다... 유명사립대는 무슨 한국식 꿈꾸는 소리며, 공대를 문과 교수 따위가 알건 말건 뭔 상관입니까... 특히 미국 입장에서는 200여개의 외국 나라 중 하나의 최고 대학일 뿐 아무런 실질적 이름값이 없습니다.
그나마 서울대를 50-100위 사이 학교 대신 선택할 이유는 딱 하나 있습니다. 졸업 후 바로 삼성 등등 사실상 학교 간판만 보고 받아주는 국내 회사에 취직할 때 뿐입니다. 그 외 자기 진로에 대해 모르겠다, 혹은 학계를 고민한다 하면 설령 국내 학계 나중에 돌아갈거라도 T100에서 출발하는게 잠재력에 있어 훨씬 더 낫습니다.
서울대 버리고 갈 미국대학
22 - 더 좋은 지원자가 생겼거나 연구비 사정이 어려워졌거나 뭐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요. 어쨌든 결국 함께 하지 못하게 됐다는건 함께 할만큼 매력적이지는 않다는 의미입니다. 한 번 정도 기회를 달라고 요청은 해보시고 안 되면 포기하세요.
교수님께서 갑자기 거절...
17 - 저라면 바로 도망갑니다. 교수님이 학생보고 오지 말라고 할정도면 님의 문제가 아니라면 진짜 크리티컬한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교수님께서 갑자기 거절...
9 - 투잡뛰는거 좋아하는분없고..
출퇴근시간도 양호한데
어디까지 맞춰줘야된다고 생각하는지..
심지어 강의잘하시네.
이게최악? 최약체를 잘못말한건가
개인적으로 최악의 교수님
10 - 도원결의 맺자고 라이터로 손지지는 교수 본적 없으시죠? 없다면 아직 최악 정도는 아닙니다ㅎ
개인적으로 최악의 교수님
12 - 저도 초안 작성하고 카피킬러+GPT킬러 돌려보니까 Experiment 부분에서 대부분 GPT 의심 문장으로 뜨더라고요.
영어로 쓴 것도 아니고 한글로 작성한건데...
내 손으로 글 썼는데 카피킬러 걸렸을때
7 - 우물 안 개구리들이 애 하나 망치는구나. 미시간 vs 서울대 하는데 서울대 가야지 이러고 있네.
서울대 버리고 갈 미국대학
11 - 짝짝짝~~!!!
박수 아니고 빰 때리는 소리임
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교육 체계
7 - 저도 GPT 생성 의심 사유를 보니 문서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나오더라고요 ㅋㅋ 기분이 나쁘면서 좋았던 기억이.. ㅋㅋ
내 손으로 글 썼는데 카피킬러 걸렸을때
10 - 저는 졸업논문이 실험 결과 표까지 표절로 걸리길래 진짜 식은땀 줄줄 나고 밤새서 수정했는데... 알고 보니 교수님이 미리 도서관에 등록하고 돌려보신 거였어요 ㅋㅋ
내 손으로 글 썼는데 카피킬러 걸렸을때
8 - 카이는 원래 지잡대도 들어가는데라 가능할거같네요
서울대는 학벌봐서 안될듯요
설/카이 불안핑 도집니다
7
이공학에서 주저자 (제1저자와 교신저자)란 무엇일까?
2022.11.04

다들 주저자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제가 학교 다닐 때 스승님께 배운 주저자 (제1저자와 교신저자)에 대한 가르침은;
- 제1저자: 아이디어, 실험, 데이터 정리, and 초고를 쓴 사람
- 교신저자: 논문에 대하여 문제가 생기거나 할 때 책임을 질 수 있는 PI 급
- 주저자: 논문을 발표 자료로 만들어 발표하고 질의 응답까지 다할 수 있는 사람
이라 하셨습니다.
더불어, 선배라고, 소규모 팀 리더라고, 실험 도와줬다고, 해줬다고, 주저자는 될 수 없다. 고마움을 표시하는 것은 사사에 적을 일이라 하셨습니다.
학제 간 또는 공동 연구에서는 주저자가 많아 질 수 있겠네요 (요즘 시대에 필요한 방식이긴 합니다.)
(정직하게하면요. 나눠 먹기, 실적 올려주기, 정치적 목적 등: Present author 말구요.)
생각이 다를 수는 있지만,
공동 연구를 모른다는 비난
나눠 먹기 식으로 쓴 논문이 아니냐는 비난
JCR IF 잣대를 들이대고 이걸로 줄을 세워 "정량(공학에서는 숫자로 설명한다고 정량이라 하지 않죠)" 평가하거나, "이거 문제되니 안돼, 저거 문제되니 안돼" 라는 관의 책임 소재를 없애기 위한 무사 안일 업무 방식, 일부 비 윤리적 행위를 하는 연구자들 등 복합적인 문제 같습니다. 연구 재단 예산 감축, MDPI 등 여러 이슈를 보고 나니 많은 생각이 듭니다.
-
24 56 10962
논문 제1저자는 김GPT 32 25 16509
교신 vs 공동1저자 김GPT 0 7 19220
어떤 사람이 교수인가? 김GPT 17 24 7521
논문 저자? 김GPT 3 10 15580
교신저자의 의미 김GPT 0 3 2489
1저자 논문 하나 없이도 교수 되네요 김GPT 12 19 19078-
10 19 11875 -
2 23 6567
논문 1저자 투고 후 아예 제명 당했습니다. 명예의전당 130 85 77047
초보 교수의 통수에 대한 생각 명예의전당 53 10 10262
대학원생은 왜 돈에 대해 초연해야함? 명예의전당 177 90 3841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서울대 버리고 갈 미국대학
39 - 내 손으로 글 썼는데 카피킬러 걸렸을때
9 - 양심없다는거 알지만 너무 고민이 되어서 질문드립니다.
11 - 반도체 대학원 국내 vs 싱가폴/대만
7 - 해외 학부 후 대학원 진학 고민중입니다
9 - 생각보다 지방 가신 분들 만족하시나요?
12 - 출퇴근 시간에 대한 빡도는 얘기
8 - 연대 석박 서류
7 - 레퍼런스 보통 어떻게 찾으시나요
6 - 교수님께 메일 답장이 왔는데..
9 -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10 - 김박사넷 여러분 스승의 날 행사 준비 평가해주세요
13 - 대학원 연구비 다들 어느정도 받으시나요? (석사)
6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2.11.04
대댓글 6개
2022.11.04
대댓글 13개
2022.11.04
대댓글 3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