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3 - 현명한 학생 아닐까요 아닌 랩 오래 다니다가 그만두는 것보다 훨씬 서로에게 좋음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22 - 대부분 맞는 이야기이긴 한데요.
조교수 랩에 대해 너무 긍정적인 이야기만 있는 것 같습니다.
오히려 처음 셋업하는 랩에서 고생만 하고 졸업하거나 포닥 때는 좋은 논문 많이 낸 사람이 교수 임용 되고 본인 교신으로는 좋은 논문 못 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신생랩 선호하지 않는 거고요.
결론은 일단 최근 퍼블리케이션을 꼼꼼하게 봐야 합니다.
그 랩 멤버가 일저자, 교수가 교신저자인 논문만 봐야하고,
랩 멤버 수 대비 논문 양과 질이 괜찮은지,
좋은 논문들이 한 두 명에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쓰는지 보면 됩니다.
결국 대부분 멤버가 좋은 논문을 쓰고 졸업하는 랩에 가면 본인도 그렇게 되고요. 그 중에서 많이 가르쳐주고 챙겨주는지 자유방임인지는 면담 때 파악하고 본인에 맞춰 선택하면 됩니다.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3 - 학부를 봅니다.
석사졸업후 취업시 학부 학벌도 중요하나요?
10 - 이런 이야기는 본인 실적 까고 하는 겁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20 - 가끔은 제안서내용도 이해못하는 심사위원들보면 누가누굴평가한다고 하는 생각이 들죠. 그러다보면 실적순이 차라리 공정하게 느껴짐^^;;;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0 - 글이나 제대로 쓰세요ㅋㅋ실적 없어서 과제 떨어지고 추하게 커뮤에 글 쓰는 걸로 밖에 안 보여요. 실적만이 증명된 연구자인지 알 수 있는 유일한 척도인데요? 실적은 없이 제안서 글 싸지른걸로 뽑자는게 더 어이가 없네요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5 - 한국 평가 위원들 제안서 제대로 안 보는 사람들 많습니다. 실적 기준으로 평가하자는 말이 제일 많이 나옵니다. 평가 얼마나 다녀보셨나요 ? 제안서를 아주 엉망으로 쓰면 그건 당연히 안되지만, 어느 정도 평균 이상이면 실적 싸움입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2 - 억 넘는거받고 하는거대비 편하다 이런 얘기 안했으면 합니다. 가성비 떨어지는직업인건 하브넷만가도 널려있어요. 다들 그정도받는거 이상으로하고 기업가도 국내외 2,3억은 받는사람 천지인데, 그럴듯한 인정 명예로 편한직업처럼 포장하는거 불편합니다. 여기 대학원생들 많을텐데 대충해도 인정받는다는거 여론몰이 아닌가요?
학교분위기마다 다르다는거 압니다. 현실을따져도 그리고 적어도 저희는 지금이 위기로느끼고 최대한 조교수포함 공격적인 운영을해나가고있습니다.
말씀하신거처럼 극단적인 예시는 루팡하는 교수들아닌가요? 회사에도 물박사들 많은데 그것처럼 일반적인 교수들 욕먹이지마세요.
본인이 저 루팡 계열에 없으시면 이런글 올리지마세요. 동료교수들끼리도 저런글 올리면 박수치고 호응해주는지 궁금하네요!
교수 삶이랑 월급에 부정적인 얘기 많은거같은데
10 - 우리나라에서 교수가 의미 있는 연구로 돈버는 사람이 몇이나 되나? 누가누가 혈세 잘 뽑아먹고 눈먼돈 잘 주워 먹는 가에 따라 수입이 달라지는거지. 그런것 가지고 능력이 좋아 수입이 높은척(실제론 높지도 않음) 하는거 보면....ㅋㅋ 실제로 능력이 출중하면 미국처럼 인더스트리쪽으로 가는게 맞음. 우리나라 발전을 위해서라도 밥통 마저 깨트리는게 맞다고 봄.
교수 수입은 천차만별
12
(매우 긴글) 면담다녀왔습니다 긍정적인가요??
2022.09.06

교수님께서 궁금한거 물어보라고 하셔서 연구관련 여쭤봤습니다. 교수님께서 답을 생략하시고 다음 질문을 바로 하라고 하셔서 연구 관련 질문 2개(1.연구실에서 주로하는 분석 기술을 제가 잘 배울수 있을까요?) 인건비 질문1개 인턴질문 1개 총 4가지를 하였습니다.
교수님 답변
1.석사,박사,포닥 인건비를 지금 학위과정들 몇몇분을 예시를 들면서 아주 매우 자세하게 연차별로 자세한 금액을 알려주셨습니다.
2.연구 질문 설명해주시면서 제가 여쭤본 분석기술들이 연구실에서 시스템화를 해놔서 와서 배우면 된다고 하셨습니다.
3.연구실에서 쓰는 분석기술 A를 콕집으셔서 이게 우리 연구실 메인중 하나인데 학부생때 해봤다는게 흥미롭다고 하셨습니다 (자대 학부연구생때 박사선배님 mdpi논문에서 공동저자로 저 기술에 대해 맛만 보았습니다)
4.인턴은 분석기술을 배워야 해서 필수고 최근 합격생은 2가지 경우중 하나라고 하셨습니다(4-1.전기모집 합격후 겨울방학때 인턴 후 학기시작 4-2.인턴후 내년 4월 후기모집지원 후 합격)
교수님 질문-제 답변
1.연구실은 알게된 경로-작년 학술발표대회때 교수님 연구실 ooo분이 발표하신 세션에 참가해서 흥미를 가졌다 라고 하였습니다
2.군대는 다녀왔냐 어디로 다녀왔냐-육군으로 다녀왔다고 하였습니다
3.마지막으로 궁금한거 물어봐라
제 질문-교수님 답변
1. 4-2합격생처럼 인턴 후 후기모집으로 지원하고 싶은데 가능한지 여쭤봤습니다-빨리해도 늦게해도 되고(전기 후기 상관없고) 너의 선택이다.아마 학점이나 이런거보면 합격할것 같다고 하셨습니다(입시 합격을 의미하는 뉘앙스이었습니다)
2. 그럼 언제까지 말씀드리면 될까요?라고 여쭤봤습니다(전기,후기중 어떤걸 결정할지에 대해 말한거였습니다)-'굳이 왜?'라고 하시면서 '음...메일이라도 보내라 누락 될 수도 있으니' 라고 하시면서 면담을 마무리 지었습니다
*면담중 TO얘기는 한번도 안 하셨습니다.
제 지인이 이 연구실에 있는 본인 친구한테 물어보니 원래 교수님이 칭찬에 엄청 인색한분이라 저정도면 칭찬하신거다라고 하셨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게 거절 당한건가요? 김GPT 0 13 2744
컨택메일 읽씹 당했던 교수님께 김GPT 1 8 7006
컨택메일 해석해주세요 도와줘요ㅜㅠ 김GPT 0 6 6804
연구년인 교수님 컨택... 김GPT 0 2 8836
서울대 컨택했는데 긍정적인건가요 김GPT 0 6 6946
컨택 답변 왔습니다 김GPT 7 2 3213
컨택 질문입니다. 김GPT 0 5 4102-
0 3 3352
s대 컨택 면담 후기 김GPT 0 9 1271
용의 꼬리가 되니 너무 힘듭니다(하소연 글) 명예의전당 53 33 21409-
151 26 40322
내 석사생활 참 많은일들이 있엇네요^^ 명예의전당 189 34 5750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2.09.06
대댓글 1개
2022.09.06
대댓글 3개
2022.09.06
대댓글 3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