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과기원 입시 해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해당 학교 대부분의 대학원생들은 자대 출신이다.
인기랩은 yk출신도 간간히 보이고, 한두급간 낮은 학교의 고학점 소수와, 가장 낮은 학부는 스펙 좋은 경북/부산 정도의 지거국 출신 소수 정도다. 출신과 무관하게 대부분 나름 열심히 하는 사람들이다. 이건 어느 학교나 마찬가지다.
학생이 워낙 적은 바람에 커뮤니티에서 파워가 없어서 억까를 심하게 당하는거 보면 좀 딱하다. 입결 말고 퍼포먼스만 봐도, 사람 많은 U같은 경우는 이미 설카포 턱 밑까지 올라왔다고 본다.
떨어진 애들이 씹어대는 거 같은데 그냥 갈 길 가시라. 감정 배설에 왜 남의 인생까지 끌어들이는지..
랩 홈페이지 몇개만 들어가봐도 지방대 출신이 대부분이라는 말은 개소리라는걸 바로 알 수 있다. 이정도 리서치도 안하고 커뮤니티 보고 결정내릴 사람은 거의 없을거라고 생각하지만, 지속적으로 악질적인 글을 남기는 사람이 몇명 보여서 글 남긴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5개
2022.07.03
유니 학생이심?
못된 찰스 다윈*
2022.07.03
익명카페에서 흔히 나오는 어그로인데 감정소모할 필요가..
대댓글 2개
2022.07.03
동요하는 안타까운 어린 친구들이 간간히 보여서 글 남겼습니다.
깜찍한 우장춘*
2022.07.03
지당하신 말씀
2022.07.0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지방과기원 좋은 학교인건 알지만, 과학고 출신에 ist 부심 부리는 케이스를 온오프라인으로 너무 많이 봐서 인식이 안좋은건 있습니다. 엘리트의식에 사로잡혀 있다고 할까요? 서울대가 그래도 재수없는데, 카이스트 짭퉁(?)이 그러면 오죽할까요. 짭퉁이란 표현이 기분 나쁘시겠지만, 작성자분처럼 학교서열에 목매는 분들한테는 그리 표현을 하고 싶은 심술이 살짝 나긴하네요. 제가 봤던 엘리트의식에 사로잡힌 케이스들도 서열컴플렉스가 심했습니다. 과학고에서 거기밖에 못간게 창피했나 봅니다. 그래도 말씀대로 지방과기원들 잘해나가고 있는거 같습니다. 교수진도 훌륭하구요
대댓글 1개
2022.07.03
글의 어느 파트를 보고 제가 학교 서열에 목을 맨다고 하시는지 모르겠지만.. 저는 학생들 출신 학교 서열에 전혀 관심이 없는 사람이고, 출신 학부를 명분으로 특정 학교를 비하하는 집단이 있는 것 같길래 제 관찰 결과를 말씀드린 것 뿐입니다. 그리고 개인의 경험을 근거로 전체 집단에 대한 비하적인 표현을 하고 싶다는 댓글 작성자 분 또한 그들과 크게 다를 바 없어보입니다.
밝은 맹자*
2022.07.03
입결 말고 퍼포먼스만 봐도, 사람 많은 U같은 경우는 이미 설카포 턱 밑까지 올라왔다고 본다.
흠.. U가 특정분야는 몰라도 전분야로 따지면 YK에 비해 여러모로 많이 부족한데요?
대댓글 1개
밝은 맹자*
2022.07.03
그리고 U를 G와 D랑 같이 ist라고 묶기엔 퍼포먼스적으로 차이가 심함.
YK와 SSH차이보다 U랑 GD랑 차이 더 많이 나는것 같은데?
근데 어쨋든 대학원이란게 위치도 중요한거라 U가 퍼포먼스적으로 많이 올라온건 인정하지만 인식이 지역적으로든 여러모로 YK이상은 불가능하긴함
2022.07.03
포스텍에도 지방대분들 꽤 많던데 ist라고 없나.. 여기는 어떤 학교는 다 까이는데요? s는 지균, k는 지방대수석, p는 위치로 까임ㅋㅋ
2022.07.03
다 떠나서 두번째 문단은 카이스트 포스텍 얘기 아님?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보십셔
2022.07.03
ist 들이 서울에 있었다? 최소 공과계열에서는 yk 따라잡고도 남았을듯. 반대로 일반종합대학인 yk가 어디 전라도 경상도에 있었다? sky라는 말이 없었겠지. 기승전 서울공화국이라서 ist 들이 목표한만큼 크지 못하는 경향이 크다고 봄. 그래서 해답은? 현실적으로 없다. 지방에 자리잡은 ist들은 조금이라도 늦게 고사하도록 애쓸뿐
활기찬 막스 플랑크*
2022.07.03
이런 글 때문에 욕먹는게 아닐 까요?!!
대댓글 1개
2022.07.03
동의합니다. 학교가 인정 받기를 원하면 연구 결과든 좋은 직장 취업이든 아웃풋 만드는 일에 열정을 쏟을 것이지, 이런 술 기운 빌려 쓴 것 같은 글을 올리면 되려 학교의 명성에 누가 될 뿐이죠.
2022.07.06
근데 인기랩 한두개 아닌이상 90프로이상의 랩이 국숭세단같은 인서울하위권이나 지거국출신 많긴함... 근데 인기랩은 자대생도 들어가기 빡세고 90프로이상 쪽으로 눈돌려서 인턴했을때 선배랍시고 가오부리고 발아래 취급하던 타대생들 생각하면...ㅠㅠ 쓰신대로 출신상관없이 열심히하는사람들인거 이해하겠는데 이게 머리로 이해하는거랑 완전히 받아들이는거랑은 좀 다른것같아요...
대댓글 1개
2022.07.06
자대생 비율이 절반도 안되는 랩이 하나라도 있다면 첨부 바랍니다. 제가 아는 한은 한군데도 없어서요.
2022.07.08
카이 제외 ist는 뭘해도 ky 못 넘습니다 종합대학이 가진 위상과 반절대학은 아웃풋을 반 밖에 못 냅니다 그리고 ky는 공대 때문에 그 위상을 가진 게 아니라 문과가 그 위상을 올려놨죠
대댓글 1개
2022.07.09
위상이 중요한 사람은 남들이 제일 잘 알아주는 대학 가면 됩니다. 그게 본인에게 가장 의미있다고 한다면 남이 가타부타 할 수 없죠. 그런데 댓글 내용과 별개로 갑자기 왜 위상 얘기를 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본문은 비논리적이고 사실이 아닌 근거들로 ist가 저평가되고(사실상 비난받고) 있다는게 요지입니다. 위상과 관련된 제 생각을 말씀드리자면, 수도권 집중화가 한계치에 다다르면 지방거점대학과 지방강소대학의 시대가 올거라고 봅니다. 이는 모든 선진국들이 공통적으로 거친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고요. 이공계 중심 교육 문화가 자리잡으면서 ist가 그 중심에 설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2022.07.09
이런 수준 글들 보니 디씨인사이드에 와 있는 기분.
2022.07.0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하나도 안 불쌍함
ist들 죄다 대학원 충원율 개판인건 현실이고
성적과 평판에 맞는 취급을 받을 뿐인데 이런글 때문에 반발적으로 단순 팩트폭행당하는 걸 불쌍하다하면 안 되지
꼬우면 설카포 연고 가면 됨
2022.07.09
지방이 대학원생이 생활하기 좋음.
일단 월세35로 쇼부
2022.07.09
yk 출신인데, u 친구들이 똑똑하고 같이 일하기 좋던데.. 어차피 대학원생이 학벌로 승부보는 것도 아니고, 퍼포먼스 기르기에 절대 수준 떨어지는 곳이 아니라고 생각함
2022.07.09
솔직히 U가 에너지쪽은 SKP 보다 논문 수준이 더 높지 않나요?
휴먼테크만봐도 에너지쪽은 U가 다 휩쓰는게 현실
2022.07.10
대학원까지 와서 학벌로 싸움....? 본인들 논문이나 잘쓰면 그만
2022.07.29
대학원에서 학벌이 뭔 필요가... 애매한 사람들일수록 더 그러는거 같음
학사 서울대에서 본인 하고싶은 연구있어서 yk대학원 가는 사람도 있음 ... 정작 학벌컴플렉스 없는 사람들은 대학원 어디 나왔는지 신경도 안씀... 그 사람이 쓴 논문을 보겠지...ㅋㅋㅋㅋ
2022.07.03
2022.07.03
대댓글 2개
2022.07.03
2022.07.03
2022.07.03
대댓글 1개
2022.07.03
2022.07.03
대댓글 1개
2022.07.03
2022.07.03
2022.07.03
2022.07.03
2022.07.03
대댓글 1개
2022.07.03
2022.07.06
대댓글 1개
2022.07.06
2022.07.08
대댓글 1개
2022.07.09
2022.07.09
2022.07.09
2022.07.09
2022.07.09
2022.07.09
2022.07.10
2022.07.29
2023.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