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공과대학의 대학원과 자연과학대학의 대학원 수업내용이 차이가 클까요?

2022.06.19

15

2546

안녕하십니까.
현재 이차전지 쪽으로 대학원을 생각중인 학부생입니다.
자연대 화학과에 재학중인데, 그래서 자연스럽게 자연대 대학원을 생각하고 있었으나, 제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이차전지에 대해 연구하는 곳이 생각보다 그리 많지는 않았습니다.
그래서 다른곳을 좀 더 조사를 해보니 유니스트와 한양대 공대쪽에서 중점적으로 연구하는 랩이 있다는 걸 알았습니다.

여기서 몇가지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1. 제가 완전 쌩 자연대생인지라 공대생분들이 배우는 ~~역학같은 걸 전혀 배우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유니스트/한양대 대학원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보니까, 화학쪽도 배우지만 공대쪽 내용도 많이 배우는걸로 나와있었습니다.
혹시 저같이 공대쪽으로 전혀 못배운 사람이 공대쪽 대학원을 가면 아무래도 따라가기 힘들까요?
혹시 자연대 학부에서 공대 대학원 가신분 계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2. 대학원에 수업 커리큘럼이 많던데 대학원도 필수 이수과목이 있었습니다.
근데 제가 알아본바로는, 대학원 졸업필요학점이 생각보다 그리 많지는 않던데,
그럼 필수이수과목 제외하고는, 제가 화학계열 수업 위주로 듣고 ~~역학같이 공대쪽 수업은 가능하면 안듣고 하는것도 가능합니까?

3. 혹시 제가 조사한다고 조사해놨긴한데 이차전지 연구하는 랩을 놓친게 있을까 싶어서,
자연대학 대학원 랩중에서 이차전지 연구하는 곳 어디어디 있는지 많이 아시는분 계실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2.06.20

피똥싸면서 하시면 됩니다

2022.06.20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화공학과등 에너지관련 학과에 배터리 연구실이 많을건데 화학과도 있을수가 있고,,,화학과는 화공학과 전공과목중에 배터리 관련 필수과목 정도 들어면 될것 같음,,,한양대나 유니나 전고체만 하는 연구실과 액체와 전고체등 여러가지 하는 연구실도 있을꺼고, ,,,,,,연구실 동문란 아웃풋을 보니까 석박사 모두 삼성sdi, SK온, 엘지 솔루션 대기업으로 가는 연구실이 있고, 유명교수 랩 출신들은 교수/정출연/대기업으로 가는걸로 나오든데,,한양대나 유니스트 배터리랩들은 추천할만한 연구실이라 보여짐,,,,,,,배터리가 인기분야라 본인 실력에 맞는 랩을 잘 찾아가면 될것임
조용한 임마누엘 칸트*

2022.06.20

자연대 수업 듣다가 공대 수업 들으면 제일 처음 먼저 드는 생각이 (컴공 제외) '이렇게 쉬운걸 과목으로 만들어서 수업으로 가르친다고?' 였습니다.

대댓글 3개

넉살좋은 아이작 뉴턴*

2022.06.20

솔직히 학부공대는 거품심하긴해 ㄹㅇ 높은학교일수록 그냥 물리학과 가는게 낫다. 내생각에 이과학부는 물리(대부분의 공대 대학원에서 커버가능) 수학 cs 전전 이렇게 4개가 갈만함
다정한 임마누엘 칸트*

2022.06.20

컴공도 비슷하게 느꼈습니다

2022.06.21

이름도 하필이면 뉴턴이네 ㅋㅋㅋ

IF : 5

2022.06.20

학교마다 다를지 모르겠는데 신소재과는 학부 대학원에서 열역학 빼고 다른 역학 안가르칩니다
그리고 수업 그 자체보다는 연구하시는 테마에 맞게 수업도 듣고 따로 공부도 하시는 개념으로, 연구에 훨씬 중점 두시는게 좋습니다. 대학원은 수업듣고 학점채우는 곳이라기보다는 연구하는 곳이라서요

대댓글 3개

2022.06.20

혹시 에너지공학과도 비슷할까요?

IF : 5

2022.06.20

다른 과는 몰라요. 근데 필수과목이랑 논자시과목에 없으면 굳이 무슨 과목 들을지는 신경 안써도 될거같은데..

2022.06.20

아하..
감사합니다!!
그럼 좀 더 해당 연구실 알아보겠습니다!
집요한 도스토예프스키*

2022.06.20

저는 공대에서 석사따고 화학과 이차전지쩍 렙실 왔어요
근데 화학과에 이차전지 렙실 많은데
왜 기초학문계열 이학박사 메리트 버리고 공대가서 학위받을려는거지 신기하긴 하네요
머 석사만 할거면 상관없긴한데

대댓글 3개

2022.06.21

이학계열 졸업후 공학석사 받으려는 학생입니다. 혹시 이학석사박사의 메리트라함은 어떤것을 말씀하시는건가요?

2022.06.21

일단 현재 석사까지만 계획하고 있습니다.
하다가 정말 생각보다 너무 재밌다싶으면 아무래도 박사를 고민해봐야겠지만,
현재로서는 석사 후 최대한 빠르게 취업을 준비하려고 합니다.

제가 석사를 공대로 가려는게, 제가 알아본 선에서는 이차전지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연구실이 공대에 주로 있었고,
현재 재학중인 대학교 자연대에도 이차전지를 다루기는 하나, 일부분만 다루는 느낌이라서 조금 고민중에 있습니다.
사실 제가 그렇게 뛰어난 학생은 아니라서 메이저한 연구실(앞서 말씀드린 공대쪽이 이차전지 분야에선 메이저 연구실이라고 합니다)로 갈 실력은 안됩니다. 그럼에도 이차전지를 부분적으로 배울 가능성이 있는 곳보단 확실하게 중점적으로 배우는 곳을 찾아가는게 맞지않나 하는 생각때문에 공대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2022.06.21

혹시 원댓쓴이님께서 자연대 이차전지쪽 많다고 하셨는데,
어디서 알아볼 수 있을지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제가 일단 구글쪽으로 계속 조사해봤긴 한데 공대위주로만 나와서
가능하면 저도 화학과 쪽으로 가고싶긴합니다...

2022.06.27

자연대면 쭉 자연대가 좋은듯. 그리고 화학과도 배터리를 많이함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