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의치대 계열 대학원은 왜 많이들 비추하시나요?

2022.06.11

25

3816

학부 전공이 생명공학이고
SKY중 두 곳의 치대에서 제가 원하는 연구 분야가 있는 랩이 있어서 이번 방학에 컨택을 해보려합니다.
두 곳다 연구 실적도 많고 교수님께서도 연구에 집중하시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아직 졸업을 앞둔 학부생이다보니 주위의 의견에 갈팡질팡 할때가 많아서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주위에서 치의학 쪽은 SKY라도 같은 SKY로 생각 하면 안된다 사회에서는 인정 안해준다
이러는데 대학원에서의 성과는 연구성과 아닌가요......?

아님 연구성과가 잘나와도 치의대 쪽은 알아주지 않는 건가요....?
정답은 없겠지만 여러분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5개

꼼꼼한 레오나르도 다빈치*

2022.06.11

Md가 아니여서 임상못하고
의치대 교수는 전공진료말고는 다른 공학적 지도 불가

대댓글 1개

2022.06.11

그런가요...ㅠ

2022.06.11

보통 교수가 md면 바빠서 연구지도 제대로 못해주고 md가 아니면 임상을 못해서 의대 대학원의 장점이 없어짐. 의치대쪽이랑 생명공학쪽이랑 연구 흐름이 좀 다르기도 하고 의치대가 임상데이터가 많아 결과는 잘내도 연구나 지도면에서는 일반랩이 나은 경우가 많음. 의치대랩에 md학생이 있는 경우 그 학생 뒤치닥거리 하는 경우 꽤 있음. 학생들 비선호 때문에 랩에 인원이 없어서 석사 3년 졸업하는 경우 종종 있음. 마지막 두문장은 케바케.

대댓글 3개

2022.06.11

spk 대학원으로 인정안해준다는 말은 의치대 대학원은 자대 진학자가 적어서 비교적 들어가기 쉬워서 하는말일텐데 나도 많이 들어봄.

2022.06.11

음... 그럼 사회 나가서도 평가가 많이 안좋을까요?
임상과 관련되지 않은 기초과학 쪽이고 IF높은 논문도 계속나오고 있더군요
치대 출신은 교수님 뿐이고 다른 포닥들은 다들 바이오 백그라운드입니다

2022.06.11

SKY에 치대 쪽에 바이오 기초로 연구 뛰어난 분은 없습니다.
열정적인 찰스 다윈*

2022.06.11

그쪽 대학원은 대부분 임상이 1순위라, 상대적으로 연구도 임상을 보조한다는 개념이 큼. 의치대 대학원 졸업하는 분들은 보통 기초의학 하려는 md가 아니면, 석사만 하고 테크니션이나 취업 할려고 하는 사람들만 많이 본거 같네요.

대댓글 3개

2022.06.11

실제로 임상과는 관련없이 유전학 연구에 기초한 논문들이 많이 나오는 랩이면 어떤가요?
구성원 모두 바이오 백그라운드이고 치대출신은 없습니다

2022.06.11

그럼 그 논문들 양 말고 수준은 어떤가요?
진짜 좋은 저널이고 유전학 분야에서 인정받는 랩인가가 중요합니다.
치대.. 는 숫자가 적어서 잘 못 봤지만 유전학이든 어디든 학회 가 보면 자연대 공대 의대 등 다양한 구성원들이 있는데 결국 그 분야에서 좋은 논문들 많이 내는 선도 그룹인가 아닌가의 문제 입니다.
학부생이라서 저널 수준을 잘 모른다면 자대 대학원 선배들한테 그 방 실적 보여주면서 물어보세요. 어느 정도 수준인지요. 그리고 대학원생이 주저자인 논문 비중도 중요하고요.

2022.06.11

최근 3년동안 IF 10점 이상 3개 아래는 6개입니다

2022.06.11

랩바이 랩의 편차가 크지요. 특히 임상의가 PI인 랩은 위의 단점들이 많고 우리나라에서 임상의 PI이면서 랩 규모가 어느 정도 되고 좋은 리서치페이퍼가 꾸준히 나오는 랩 자체가 적어요.
기초랩은 자연대나 공대와 비슷하게 생각하면 되고 위의 단점들이 대부분 해당되지 않습니다.

대댓글 2개

2022.06.11

임상논문은 보통 이공계에서 말하는 연구논문이 아니니 제껴놓고 보세요. 학생 주저자인 좋은 연구 논문이 많이 나온다면 자연대든 공대든 의대든 좋은 랩인걸 부인할 순 없습니다. 다만 의대는 위의 단점들로 그런 랩의 비율이 낮아서 그렇지요. 단과대의 비교는 의미 없습니다. 의대든 자연대든 그 분야에서 논문 실적이 뛰어난 랩에서 '그 랩 출신' 의 특히 실적 좋은 졸업생이 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2022.06.11

유전학 연구 랩입니다!
구성원 모두 치대 출신이아니고 모두 바이오쪽이구요
논문모두 임상관련 논문은 없었습니다

IF : 5

2022.06.11

유전학 전공 랩인데 구성원도 전부 치대출신 아닌데 임상도 안하는데 왜 그 랩이 치대에 있나요? 이거부터 이상한데요

대댓글 5개

2022.06.11

아..저는 홈피를 다녀보니 여러 의치대 기초랩에서 많이들 유전 관련 랩이있어서 이상함을 못 느꼈는데 이상한거군요....!

2022.06.11

의대에는 유전학 랩 많습니다.
유전체의학 분야 커요.
치과와 유전학을 연결하는 뭔갈 할 수는 있겠지요.
그런게 아니라 치과와 전혀 상관없이 유전학만 한다 하면 이상하긴 하겠네요.

2022.06.11

치대에 유전학 하는 랩 없습니다. 혹시 초파리 하는 ㅇ교수 랩은 아니겠죠? ㄷㄷ

2022.06.12

치의과학과는 치대랑 다른가요?
엉뚱한 제인 오스틴*

2022.06.12

치대 기초교실이라면 이상할게 없죠. 기초하시는 분 들 중에서도 applicatiom하시는 분 안 하시는 분 반반이예요. 또 교육하실 분들도 필요하고, 치과, 구강악계 유전병도 있기 때문에 유전학, 후성유전학 기초연구하는거 정상입니다

2022.06.12

치의학과 - 치의학석박사학위
치의과학과 - 생명과학석박사학위
아닌가요?

유전학 관련 연구는 하겠지만 PI가 임상의 이시면 치의학 관련 유전학 연구를 하시겠네요. 치의과학과면 다른 자대 생명과학과나 자교 바이오계열 학과와 통합(?)된 기초의학 학과인거 같은데..

의치한의 계열 학과에서 기초의학/임상의학 으로 나뉘는데 기초의학(생화학, 면역학, 약리학, 미생물학 등) 같은 경우는 바이오출신 학생들이 학위를 하는 것에 별 문제가 없으나.. 임상의학 전공 같은 경우에는 좀 힘들죠. 윗 댓글 내용들이 잘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엉뚱한 제인 오스틴*

2022.06.12

그냥 흔한 바이오랩 같은데요? 윗분들은 임상교실 생각하시는거같은데 기초교실은 그냥 바이오랩이예요. PI가 면허들고 있어도 사실 장식용인게 많고, 맨날 피펫돌리고 노시죠. 원생들도 싹다 바이오생이구요(의치대생은 안 오구요 가봐야 임상랩 가죠). 그리고 의치대 랩이라면 연구하시다 application쪽으로 나가시길 원하면 자연대에 있는 랩보다 훨씬 나을 수 있어요. 분위기 자체가 약간 생명과의 공대같은 느낌이거든요. 저는 기초교실 괜찮게 생각합니다.

2022.06.14

바이오쪽에서 IF 10이상 3개 이하 6개면 평범한 랩같아요.

2022.06.14

의대 소속 대학원 좋습니다. 생명계열에서 휴먼쪽 연구에 관심있으시면 의대소속의 biomedical science 학위 좋은 옵션입니다.

대댓글 2개

2022.06.14

특히 informatics 관심많으면 생명계열 소속 랩보다 의대소속 랩 추천합니다
엉뚱한 제인 오스틴*

2022.06.14

진짜 이건 맞는 거 같아요. 생각보다 생명랩은 휴먼연구까지 잘 안 뻗어나가더라구요. 진짜 휴먼셀 직접 핸들링 하고 싶으면 의대 기초랩가는게 훨씬 나은듯 해요. 페이나 연구비 많은것도 솔직히 큰 메리트기도 하구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