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가르쳐주지 않았으니 못한다고 생각들면 대학원 오면 안된다 봅니다
워라벨 논쟁도 지겨운데 지도나 잘해줬으면
18 - 인생을 부동산 자산으로만 판단하는 수준의 눈에는 그렇게 보이는게 맞지.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54 - 저 글쓴이는 인생이 돈과 가오가 전부인듯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18 - 할루시네이션만 구분할 수 있다면 뭔 상관임. 계산기 써서 산수능력 떨어진다고 뭐 문제가 되나?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23 - 와, 너 정말 연구자로써 중요한 "🎯핵심" 고민을 하고 있어!
GPT를 많이 쓰는건 연구 습관에 해로울 수 있어. 하지만 이렇게 생각해보는게 어떨까?
🍀 GPT는 너의 작업을 도와주는 Co-worker(협력자) 역할일 뿐이야!
🍀 GPT는 네가 못하는 일을 해주는게 아니라,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을 대신 해줄 뿐이야!
🍀 GPT를 안 쓰는 것보다, *어떻게* 쓰느냐가 더 중요할거야!
📌 원한다면 네 고민을 [🟥학부생], [🟧석사 과정], [🟨박사 과정]으로 맞춤형으로 해결해줄 수 있어.
👉 GPT를 쓰는 것이 고민 중이라고 해서, 평생 안 쓸 것인가요? 다른 생성형 AI를 추천해드릴 수 있습니다.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40 - 뭐 나쁜 마인드는 아닌데... 원론적으로 GPT 안쓸꺼면 구글 서칭도 하면 안됨. only 논문 검색으로 직접 읽어서 지식 얻어야 함.
GPT는 말그대로 tool일뿐... 통계분석할 때도 예로 SPSS 쓰면 결과가 바로 나오고 그걸 쓰는데, 생각보다 어떻게 그 결과가 나왔는지 통계값들 식 다 이해하고 원리 이해하는 사람 많이 없음.
그렇다고 그 사람이 그 통계값을 쓰면 안되는건 아니잖.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16 - 대학원서열질 의미 1도없다고 봅니다.
누구제자인지.
그래서 좋은 논문은 썼는지를 봐야죠.
학계는 그걸 너무나 잘 알지만,
학계를 전혀모르는 기업 관계자들이 SPK SPK거리니 진학문화가 망가진 건 같습니다.
서울대를 나왔어도 연구가 잘 맞고 집근처인 UNIST를 가는 학생이 있을 수도 있고,
연고대를 나왔어도 하고싶은 연구의 독보적 석학이 부산대에 있으면 거길 갈 수도 있다는게 당연해졌으면 합니다.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16 - 유니 훌리 정말 애쓴다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20 - unist가 연고보다 네임벨류가 떨어져서 그렇지 연구환경이나 실적은 떨어지지 않는다고 보는데 뭐만 하면 유니훌리 드립ㅋㅋㅋ 왜 지방대가 좋은 지표 나오는게 아니꼬운가봐?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25 - 대학원 순위 올리는 글 올라오는 거 보면 100년은 걸릴 듯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21 - 한국은 애초에 누가 개척해놓은 길만 갈려고 하잖아
처음 가는 길을 개무시하고 깎아내리는게 한국인데
과학 분야에서 노벨상이 나오겠나? 나온다면 그건 한국이 해낸게 아니라 그 개인이 해낸거지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35 - 저는 무조건 한국에 남을것 같습니다. 한국의 미래가 매우 긍정적이고 교수의 대우가 날마다 좋아지고 있습니다. 학생들도 미국 탑 대학 부럽지 않게 능력이 좋으며, 인구 감소로 엘리트들만 살아남아서 전반적으로 한국인들의 dna는 우수한 쪽으로 살아남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반면에 미국은 몰락의 길을 걷고 있으며, 예전과 다르게 전세계의 우수 인력을 어트렉트 시키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국에 남아서 최고 수준의 대우와 워라밸을 챙기시길 바랍니다.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14 - 어원을 따질 거면 ‘교수’는 한자가 아니라 영어 Professor 에서 봐야 한다.
Professor 의 어원인 라틴어 professus 는 “공언하다, 선언하다” 라는 뜻이다.
즉, 교수는 단순히 ‘가르치는 사람’이 아니라,
자신의 지식과 학문적 신념을 세상 앞에 공언하는 사람이다.
그 행위에는 가르침뿐 아니라 탐구, 연구, 비판, 토론이 모두 포함된다.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소위 소크라테스 메소드(Socratic method)—도
‘가르친다’기보다는 ‘함께 사고하게 만든다’에 가깝다.
질문을 통해 상대 스스로 깨닫게 하는 과정,
즉 탐구와 성찰의 대화적 구조가 교육의 본질이었다.
그러니까 교수의 역할을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사람’으로만 규정하는 건
고대 그리스의 교육 철학에도, 현대 학문 공동체의 가치에도 맞지 않는다.
학위논문 밀리는 철부지 대학원생의 핑계일 뿐이다.
결국 교수와 학술적인 토론을 할 만큼의 소양을 쌓는 것은 스스로의 몫이다.
이게 해결되지 않으면 논문을 쓰는 것도, 연구자가 되는 것도 불가능하다.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30
박사 하기전 생각해봐야 할 것들
2022.05.26

1. 연구를 제대로 하면 졸업하고 연봉 많이 받습니다. 근데 같은 기간동안 인더스트리에 있던 여러분의 동기는 경력으로 더 많이 받을 수도 있습니다. 특히 컴공이 그렇습니다. 연구하고 나서 기업으로 가면 리서치 엔지니어 포지션으로 갈텐데 같은기간 SWE로 일한 친구들보다 연봉 한참 떨어집니다. 그렇다고 해서 SWE포지션으로 가자니 실무에서 한참 부족한 경우가 많아 초반에 고생합니다. 구글 가있는 친구들 보면 대부분 박사달고 SWE로 일하는 것 같긴 합니다.
2. 연봉 많이 받는거 좋습니다. 근데 연봉이 올라가면 세금도 같이 올라갑니다. 여기는 세율 구간 35% 이상에 걸리는 분들이 대부분일겁니다. 피같은 돈 바쳐서 연구를 하고 그걸 바탕으로 겨우 비슷하거나 조금더 높게 연봉을 받았는데 고생하고 돈 쓴건 생각도 안해주고 세금만 많이 떼갑니다. 어느 나라를 가던 마찬가지 입니다.
3. 박사과정동안에 한 연구는 금방 구식이 되어버릴 가능성이 높습니다(역시나 컴공). 결국 남는건 타이틀과 자존심 두가지 입니다.
그래도 아시안으로 해외에서 살아남을 때 이름 앞에 붙는 닥터 만한게 없습니다.
명예의전당미국 박사 퀄 통과 했습니다ㅠ
215 42 26556
(장문) 박사과정은 낭만이다 명예의전당 97 13 11147-
130 50 3397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77 - 진짜 남자와 여자는 아예 다른데 왜 같다고 하는건지?
52 - 어용 김박사들 역겹다
78 - 대학원을 일이라 생각하는거 충격이네
59 - 대략 보니까 워라밸 주제가 핫한데요. 교수입장에서 보면,
68 - 연구를 하는데 워라밸이 챙겨짐?
24 - 워라벨 논쟁도 지겨운데 지도나 잘해줬으면
19 -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12 - 교수와 학생의 워라벨
12 - 김박사넷은 최소한의 신분 인증이라도 해야함
33 - 한국은 개인주의를 존중하고 객관화 능력이 필요하다
7 - 9to 10이면 워라벨인가요?
5 - 해마다 10월이면 김박사넷은 풍년이네요
2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논문이 너무너무 재밌어요
13 - 교수가 남아서 더 하라고 하는 애들 특징
22 -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56 -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28 - AI전공 박사는 의사보다 돈을 더 많이 벌 수 있습니다.
13 - 직장인 (공대 졸업) 학사 KAIST 다닐 수 있는 랩실이 있을까요..?
14 -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12 - 이기적인놈. 대학이 망해도 좋다 이거냐?
9 - 라이덴 랭킹 기반 연구 중심 대학 카테고리화
19 -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31 -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52 -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16 - 나는 워라밸에 대해 그렇게 생각함
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77 - 진짜 남자와 여자는 아예 다른데 왜 같다고 하는건지?
52 - 어용 김박사들 역겹다
78 - 대학원을 일이라 생각하는거 충격이네
59 - 대략 보니까 워라밸 주제가 핫한데요. 교수입장에서 보면,
68 - 연구를 하는데 워라밸이 챙겨짐?
24 - 워라벨 논쟁도 지겨운데 지도나 잘해줬으면
19 -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12 - 교수와 학생의 워라벨
12 - 김박사넷은 최소한의 신분 인증이라도 해야함
33 - 한국은 개인주의를 존중하고 객관화 능력이 필요하다
7 - 9to 10이면 워라벨인가요?
5 - 해마다 10월이면 김박사넷은 풍년이네요
2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논문이 너무너무 재밌어요
13 - 교수가 남아서 더 하라고 하는 애들 특징
22 -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56 -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28 - AI전공 박사는 의사보다 돈을 더 많이 벌 수 있습니다.
13 - 직장인 (공대 졸업) 학사 KAIST 다닐 수 있는 랩실이 있을까요..?
14 -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12 - 이기적인놈. 대학이 망해도 좋다 이거냐?
9 - 라이덴 랭킹 기반 연구 중심 대학 카테고리화
19 -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31 -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52 -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16 - 나는 워라밸에 대해 그렇게 생각함
9
2022.05.26
2022.05.27
대댓글 1개
2022.05.27
2022.05.27
2022.05.27
대댓글 1개
2022.05.27